-
-
적의 화장법
아멜리 노통브 지음, 성귀수 옮김 / 문학세계사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을지도 모르는 남들의 갖가지 단점들을 너무나 쉽게 이야기한다. "그 사람은 질투가 너무 심해.", "저 남자는 너무 뻔뻔스러워.", "저 애는 거짓말쟁이야."... 남이 가진 단점은 내 눈에 잘 보이지만 정작 자신의 단점은 눈에 보이지 않는 법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추악한 내면을 정면으로 바라보기란 결코 쉽지 않다.
<적의 화장법>에서 <적>은 바로 내가 가지고 있는 추악한 한 단면이다. 그 내부의 적은 남에게 보여지는 겉모습에 교묘히 감쳐져 자신을 노출시킬 시도를 번번이 좌절당한다. 그러나 시간은 철통 같던 외양과 가식의 벽을 갉아먹는 법. 세월 앞에 장사가 없는 것처럼 자신이 보길 원치 않았던 단점들은 나의 눈 앞에 떠오른다. 시간이 지나 갈라진 벽 사이를 비집고 떠오른 나의 단점들은 누군가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곧 자신의 정체를 만천하에 드러내고 만다. 겸손한 척 하던 내가 타인으로부터 "책 많이 읽어라."는 말에 발끈했듯이 말이다. 이렇게 순간 뒤틀린 균형은 곧바로 붕괴를 가져오고 그 결과는 둘이다. 하나는 받아들이는 것. 또 하나는 더 단단한 껍질을 만들어 가두어 놓고 불안에 떠는 것.
이 책에서 주인공인 제롬의 선택은 두 번째 결과의 극단이었다. 더 단단한 껍질을 만들다 못해 아예 그 존재를 죽이려 들었으므로. 그러나 그 존재는 바로 자기 자신이었던 까닭에 결국 자기 자신을 죽음으로 몰고가는 비극적인 결말을 가져왔다.
먼저 읽었던 <살인자의 건강법>보다 훨씬 재미있고 쉽게, 빠르게 읽혔던 이 책은 처음엔 그저 호기심으로 책장을 넘겼고, 다음엔 뻔뻔하여 구토를 일으킬 정도의 정신이상자를 혐오하였고, 마지막엔 수긍과 함께 내 안을 돌아보게 하는 어떤 힘을 읽었다. 텍셀이 이야기하던 내부의 적, 혹은 악마는 양심이란 껍질을 비집고 나오려는 침잠해 있던 추악한 내면이 아니었을까.
나는 이 책을 다 읽고, 아멜리 노통 식으로 내 안의 적과 대화를 나누어본다. 내가 말하고, 그가 비웃고, 다시 내가 반박하고, 그가 비아냥거리는 투로 인정하고 싶지 않은 점들을 끄집어 내고... 그러나 나는 그를 벽에 처박지도, 저 아래로 던져버리지도 못한다. 그가 바로 나 자신임을 분명하게 인지하고 있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