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옹설 (舟翁說) -권 근-
손[客]이 주옹(舟翁)에게 묻기를,
“그대가 배에서 사는데, 고기를 잡는다 하자니 낚시가 없고, 장사를 한다 하자니 돈이 없고, 진리(津吏) 노릇을 한다 하자니 물 가운데만 있어 왕래가 없구려. 변화 불측한 물에 조각배 하나를 띄워 가없는 만경(萬頃)을 헤매다가, 바람 미치고 물결 놀라 돛대는 기울고 노까지 부러지면, 정신과 혼백이 흩어지고 두려움에 싸여 명(命)이 지척(咫尺)에 있게 될 것이로다. 이는 지극히 험한 데서 위태로움을 무릅쓰는 일이거늘, 그대는 도리어 이를 즐겨 오래오래 물에 떠 가기만 하고 돌아오지 않으니 무슨 재미인가?“
하니, 주옹이 말하기를
“아아, 손은 생각하지 못하는가? 대개 사람의 마음이란 다잡기와 느슨해짐이 무상하니, 평탄한 땅을 디디면 태연하여 느긋해지고, 험한 지경에 처하면 두려워 서두르는 법이다. 두려워 서두르면 조심하여 든든하게 살지만, 태연하여 느긋하면 반드시 흐트러져 위태로이 죽나니, 내 차라리 위험을 딛고서 항상 조심할지언정, 편안한 데 살아 스스로 쓸모 없게 되지 않으려 한다.
하물며 내 배는 정해진 꼴이 없이 떠도는 것이니, 혹시 무게가 한쪽에 치우치면 그 모습이 반드시 기울어지게 된다. 왼쪽으로도 오른쪽으로도 기울지 않고,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게시리 내가 배 한가운데서 평형을 잡아야만 기울어지지도 뒤집히지도 않아 내 배의 평온을 지키게 되나니, 비록 풍랑이 거세게 인다 한들 편안한 내 마음을 어찌 흔들 수 있겠는가?
또, 무릇 인간 세상이란 한 거대한 물결이요, 인심이란 한바탕 큰 바람이니, 하잘 것 없는 내 한 몸이 아득한 그 가운데 떴다 잠겼다 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한 잎 조각배로 만 리의 부슬비 속에 떠 있는 것이 낫지 않은가? 내가 배에서 사는 것으로 사람 한 세상 사는 것을 보건대, 안전할 때는 후환을 생각지 못하고, 욕심을 부리느라 나중을 돌보지 못하다가, 마침내는 빠지고 뒤집혀 죽는 자가 많다. 손은 어찌 이로써 두려움을 삼지 않고 도리어 나를 위태하다 하는가?“
하고, 주옹은 뱃전을 두들기며 노래하기를,
“아득한 강바다여, 유유하여라.
빈 배를 띄웠네, 물 한가운데.
밝은 달 실어라, 홀로 떠 가리.
한가로이 지내다 세월 마치리.”
하고는 손과 작별하고 간 뒤, 더는 말이 없었다.
# 주옹(舟翁) : 배타는 늙은이. 뱃사람
# 진리(津吏) : 나루터를 관리하는 벼슬아치
# 만경(萬頃) : 만경창파(萬頃蒼波)의 준말로 끝없이 넓은 바다
# 지척(咫尺) : 매우 가까운 거리
# 고기를 잡는다 ~ 왕래가 없구려. : 손[客]이 뱃사람[舟翁]의 생활 모습을 관찰하고 나름의 느낌을 표현한 부분. 고기를 잡는 것도 아니고, 장사를 하는 것도 아니고 진리(津吏) 노릇을 하는 것도 아니어서 뱃사람의 생활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 정신과 ~ 있게 될 것이로다. : 몸과 마음이 흐트러져 결국 물에 빠져 목숨이 위태롭게 될 것이다.
# 내 차라리 ~ 되지 않으려 한다. : 뱃사람[舟翁]의 생활 태도가 드러난 부분. 느긋함을 즐기다가 위태롭게 되기보다는 늘 위태로운 배에 사는 것처럼 조심스럽게 긴장하며 살겠다.
# 무릇 인간 ~ 큰 바람이니, : 인간들이 살아가는 세상이란 큰 물결과 같이 흔들림이 많으며, 이 가운데 사는 인간의 마음이란 바람처럼 변화무쌍한 것이니,
# 한 잎 조각배로 ~ 낫지 않은가? : 물 위에서는 배의 중심만 잘 잡으면 되지만 인간 세계는 자신만이 중심을 잡는다고 되지 않으므로 물 위에 떠 있는 것이 더 안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