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문(南門) 안 주점(酒店)
남대문 안 어느 탁주 장수가 개점한 첫날 해장국을 끓여서 파루 즉시 가게문을 열고 등불을 걸었다. 한 상주(喪主)가 혼자 들어오더니,
"해장국에 술 한 잔 주오."
했다. 곧 내가니 또르르 마시고는,
"여기 국하고 술 한 잔 더 따르오."
또 얼른 내가니 쭉 들이켜고는,
"내 돈이 없소. 이담에 갚으리라."
탁주 장수는,
"아무렴 어떻겠수."
그 상주가 나간 후에 술군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어서 진종일 밥 먹을 겨를도 없이 술을 팔았다. 이튿날도 새벽에 가게문을 열고 등불을 내걸자, 그 상주가 또 들어와서 어제와 똑같이 행동했으나 탁주 장수는
"아무렴 어떻겠수."
하였다.
상주가 나간 후로 술꾼이 역시 어제처럼 밀렸다. 탁주 장수는 그가 도깨비거니 생각하고, 그 이후부터 더욱 각별히 대접했다.
그 상주가 어느 날 밤 돈 200 냥을 들고 와 주면서,
"이게 외상 술값이오."
했다. 종종 이렇게 했고, 술도 한결같이 잘 팔려서 1년 미만에 돈은 여러 만금을 벌었다.
술장수가 상주에게 묻기를,
"내 술장사는 치우고 달리 계획을 세워보는 게 어떨까요?"
"좋지."
가게를 내놓으니, 어느 선혜청 사령 한 놈이 집 판다는 말을 듣고 그 술집이 술이 잘 팔리는 데 잔뜩 눈독을 올렸다. 사령이 집값을 두둑히 지불하고 기명 부정 등속도 후한 값으로 사갔다. 사령 놈도 술을 수십 항아리 빛은 연후에 해장국을 끓이고 파루 즉시 가게를 열고 등불을 달았다. 한 상주가 혼자 들어오더니,
"해장국에 술 한 잔 주오."
곧 내 가니 또르르 마시고는,
"여기 국하고 술 한 잔 더 따르오."
또 얼른 내가니 쭉 들이켜고는,
"내 돈이 없어 내일 갚으리다."
술 장수는 잔뜩 골이 나서,
"남의 새로 낸 가게에 외상술이 어디 있어. 빨리 돈을 내시오."
상주는,
"돈이 없는 걸 어떻게 하겠소."
"돈이 없거든 상복이라도 잡히고 가시오."
상주는 욕을 퍼부었다.
"상복을 너 푼 술값에 잡는단 말야?"
술 장수가 욕설에 바짝 약이 올라 맨발로 뛰어내려와서 상주의 볼따귀를 갈겨 주려 했더니, 상주는 욕을 연발하며 달아났다. 술 장수는 붙잡아서 때려 주려고 뒤쫓았으나 잡히진 않고 오히려 점점 멀어졌다. 한 모퉁이를 돌아섰을 때 웬 상주가 붙들리었다. 다짜고짜로 방립을 벗기고 왼손 오른손 번갈아 볼따귀를 갈기며 욕지거리를 해붙였다.
"남의 마수에 와서 돈도 안 내고 술을 마시고는 게다가 욕가지 하니 무슨 버릇이야. 이런 자는 심상하게 다뤄선 안 되지."
하고는 상복을 벗겨 가지고 방립과 함게 옆에 끼고 갔다. 이 상주는 다름 아닌 벼슬아치 양반이었다. 큰집 기제 에 참례하고 파제 후에 단신으로 귀가하다가 뜻밖에 망칙한 변을 당한 것이다. 뺨이 얼얼할 뿐 아니라 분기가 탱천하여 다시 큰집으로 돌아갔다. 온 집안이 대경하여 어찌된 영문인가를 물었다.
"엉겁결에 어떤 놈이 돌출하여 약차약차 합디다."
모두들,
"술 장수 놈 소행이 틀림없다."
하고 하인을 다수 발동하여 방립과 상복을 찾고 술 장수를 잡아왔다.
우선 단단히 분풀이를 하고 날이 밝자 형조로 이송했다. 형조에서 법에 의거해 귀양을 보내니, 저간에 난 비용이 불소하고, 술 역시 한 잔 마시는 이 없어 이로 말미암아 가산을 탕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