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수:20개 오븐온도:180℃ 굽는시간:12분
재료:화이트:박력분200,달걀1,바닐라에센스½작은술,설탕100,버
터80g 블랙:박력분180,코코가가루20,버터100,설탕100,달걀1개
 

 
1. 버터를 실온에 녹여 볼에 넣고 거품기로 저은후 설탕을 넣고섞음
2. (1)에 달걀 ,바닐라 에센스를 넣어 잘섞는다.
3. 체에 내린 박력분을 (2)에넣고 섞은후 ,손으로 반죽(화이트반죽)
4. 박력분과 코코아가루도 체에 내려 화이트반죽과 같은방법으로 반
죽한다.(블랙반죽)
5. 각 반죽을 랩으로 싸 냉장고에 1시간둔다.
6. 반죽을 꺼내어 각각 2등분한다음 도마에서 15×20㎝로 민다.
7. 밀어놓은 화이트 반죽,코코아 반죽 각 하나씩을 바닥에 깔고 우유
(글레이즈)를 솔로 바른다.그래야만 포갰을대 경계선이깔끔.
8. (7)의 반죽위에 각각 다른 색을 포개어 돌돌 말았다가, 냉동실에
10분정도 넣었다가 실온에 5분정도 둔 후 칼로 1㎝두께로 자름
9. 180℃의 오븐에서 5~20분간 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남문(南門) 안 주점(酒店)

 

 

남대문 안 어느 탁주 장수가 개점한 첫날 해장국을 끓여서 파루 즉시 가게문을 열고 등불을 걸었다.  한 상주(喪主)가 혼자 들어오더니,
"해장국에 술 한 잔 주오."
했다. 곧 내가니 또르르 마시고는,
"여기 국하고 술 한 잔 더 따르오."
또 얼른 내가니 쭉 들이켜고는,
"내 돈이 없소. 이담에 갚으리라."
탁주 장수는,
"아무렴 어떻겠수."
그 상주가 나간 후에 술군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어서 진종일 밥 먹을 겨를도 없이 술을 팔았다. 이튿날도 새벽에 가게문을 열고 등불을 내걸자, 그 상주가 또 들어와서 어제와 똑같이 행동했으나 탁주 장수는
"아무렴 어떻겠수."
하였다.
상주가 나간 후로 술꾼이 역시 어제처럼 밀렸다. 탁주 장수는 그가 도깨비거니 생각하고, 그 이후부터 더욱 각별히 대접했다.  
그 상주가 어느 날 밤 돈 200 냥을 들고 와 주면서,
"이게 외상 술값이오."
했다. 종종 이렇게 했고, 술도 한결같이 잘 팔려서 1년 미만에 돈은 여러 만금을 벌었다.
술장수가 상주에게 묻기를,
"내 술장사는 치우고 달리 계획을 세워보는 게 어떨까요?"
"좋지."
가게를 내놓으니, 어느 선혜청 사령 한 놈이 집 판다는 말을 듣고 그 술집이 술이 잘 팔리는 데 잔뜩 눈독을 올렸다. 사령이 집값을 두둑히 지불하고 기명 부정 등속도 후한 값으로 사갔다.  사령 놈도 술을 수십 항아리 빛은 연후에 해장국을 끓이고 파루 즉시 가게를 열고 등불을 달았다.  한 상주가 혼자 들어오더니,
"해장국에 술 한 잔 주오."
곧 내 가니 또르르 마시고는,
"여기 국하고 술 한 잔 더 따르오."
또 얼른 내가니 쭉 들이켜고는,
"내 돈이 없어 내일 갚으리다."
술 장수는 잔뜩 골이 나서,
"남의 새로 낸 가게에 외상술이 어디 있어. 빨리 돈을 내시오."
상주는,
"돈이 없는 걸 어떻게 하겠소."
"돈이 없거든 상복이라도 잡히고 가시오."
상주는 욕을 퍼부었다.  
"상복을 너 푼 술값에 잡는단 말야?"
술 장수가 욕설에 바짝 약이 올라 맨발로 뛰어내려와서 상주의 볼따귀를 갈겨 주려 했더니, 상주는 욕을 연발하며 달아났다. 술 장수는 붙잡아서 때려 주려고 뒤쫓았으나 잡히진 않고 오히려 점점 멀어졌다. 한 모퉁이를 돌아섰을 때 웬 상주가 붙들리었다. 다짜고짜로 방립을 벗기고 왼손 오른손 번갈아 볼따귀를 갈기며 욕지거리를 해붙였다.  
"남의 마수에 와서 돈도 안 내고 술을 마시고는 게다가 욕가지 하니 무슨 버릇이야. 이런 자는 심상하게 다뤄선 안 되지."
하고는 상복을 벗겨 가지고 방립과 함게 옆에 끼고 갔다. 이 상주는 다름 아닌 벼슬아치 양반이었다. 큰집 기제 에 참례하고 파제 후에 단신으로 귀가하다가 뜻밖에 망칙한 변을 당한 것이다. 뺨이 얼얼할 뿐 아니라 분기가 탱천하여 다시 큰집으로 돌아갔다. 온 집안이 대경하여 어찌된 영문인가를 물었다.  
"엉겁결에 어떤 놈이 돌출하여 약차약차 합디다."
모두들,
"술 장수 놈 소행이 틀림없다."
하고 하인을 다수 발동하여 방립과 상복을 찾고 술 장수를 잡아왔다.
우선 단단히 분풀이를 하고 날이 밝자 형조로 이송했다. 형조에서 법에 의거해 귀양을 보내니, 저간에 난 비용이 불소하고, 술 역시 한 잔 마시는 이 없어 이로 말미암아 가산을 탕진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난한 선비의 이야기


 


옛날, 청빈한 한 선비가 살고 있었다. 선비의 생활이라 가세는 곤궁하기 이를 데 없고, 오십이 가깝도록 슬하에 자식을 두지 못했다.  어느 해 동지 섣달, 눈이 쏟아지고 모진 바람이 부는 겨울밤이었다. 이 선비 내외는 추운 방에서 잠자리에 들어 말을 주고 받았다.  

"여보, 오늘날까지 당신을 고생만 시켜 미안하기 한이 없소."

하고 선비가 말을 꺼내자 부인이,

"왜 그런 말씀을 하세요. 임자를 만나 아무것도 더 바랄 것이 없으나, 오직 슬하에 혈육이 없어 선조의 향화를 끊게 되었으니 소첩의 죄 죽어 마땅하오나 임자의 은덕으로 살고 있어 몸둘 바를 모르나니 어찌 그런 말씀을 하시나이까? 여보, 밖에 날씨가 추워지는가 봅니다. 어 서 주무세요."

하고 막 잠이 들려고 하는 때에 어디선지 '사람 살려주오' 하는 소리 가 들려왔다. 선비는,

"밖에서 사람 소리가 나는데 이 추운 날씨에 웬 사람인가?"

하고 일어나 문을 열어 보았다. 한 걸인이 눈을 맞으면 벌벌 떨면서 살려달라고 애원하였다. 선비는 걸인을 친절히 안내하여 방으로 들어왔다.

"안사람은 윗방으로 올라갔지요. 방이라고 하지만 냉방 같습니다. 아랫목 이불 속으로 들어오시지요."

하면서 이불을 들어주었다. 걸인은 미안하다는 말을 하면서 이불 속으로 들어왔다. 이 선비가 등잔불에 비친 걸인 의 모습을 자세히 살펴보니 얼굴에 종기가 난 문둥이었다. 선비는 부인을 불러 손님이 오셨으니 식사를 올리라고 했다. 부인은 밖으로 나갔다. 선비도 방에 불을 때기 위해 부엌으로 나가니 부인이,

"좁쌀이 아침거리밖에 안 되는데 지금 밥을 지으면 내 일 아침은 죽거리밖에 안 되는데요." 하자 선비는,

"여보, 손님인데 밥을 지어야지요. 불은 내가 지피겠소." 라고 했다. 얼마 후 밥상을 들고 들어간 선비는 이불을 밀어 놓고,

"어서 밥을 드시오. 얼마나 시장 하시겠습니까?"

하니 걸인은 아주 고마워하였다. 걸인은 순식간에 밥그릇을 비웠다. 상을 물리고 둘이 나란히 잠자리에 들었다. 부인은 윗방에서 자리에 누웠다. 잠시 후에 걸인은,

"주인 양반, 잠이 들었습니까?"

선비는 막 잠이 들려고 하던 참에 손님이 말을 청하여 눈을 떴다.

"주인 양반이 보다시피 저는 온 몸에 종기투성이지요. 더운 물로 목욕이라도 하고 나면 가려운 데가 좀 시원할 텐데. 어렵지만 물 좀 데워 주실 수 있을까요?"

선비는 귀찮다는 기색도 없이 부엌으로 나가 목욕할 물을 데웠다. 부엌에서 나오려고 하니 걸인은 등을 밀어달라고 부탁했다. 더럽고 악취가 났지만 선비는 아무 소리 없이 걸인을 불쌍하게 생각하여 정성껏 닦아주었다. 닦고 나서 걸인이,

"주인 양반은 들어가시지요. 저는 물기를 닦고 천천히 들어가리다."

라고 했다. 선비는 방에 먼저 들어가 누워서 걸인이 들어 올 때를 기다렸으나 걸인은 들어오지 않았다 이상해서 부엌으로 나가보니 걸인은 온데 간데가 없었다. 집안을 한 바퀴 돌아보고 아무리 기다려도 걸인은 돌아오지 않았다. 선비는 기다리다가 늦게서야 잠이 들었다.  다음 날 아침에 이들 부부가 일어났다. 선비가,

"여보, 간밤에 난 이상한 꿈을 꾸었소."

하니 , 부인도,

"예 ? 저도 기이한 꿈을 꾸었는데요."

"그럼 부인이 먼저 이야기해 보오."

부인은 간밤에 꾼 꿈을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잠이 깊이 들었는데 밖에서 '이 선비' 하고 부르기에 문을 열고 내다보니 어떤 백발 노인이 '그대들은 죽어가 는 사람을 살렸으니 활인지덕을 베풀었소. 내일 뒷산에 올라가 목욕 재계하고 천제를 지내면 옥동자를 낳아 부귀 영화를 누리리라. 명심 불망할지어다' 하면서 미처 인사도 못 했는데 백밭 노인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더군요."

"허어, 어찌 그렇게 내 꿈과 꼭 같으오. 우리 자식이 없으니 천제를 지내봅시다."

선비 내외가 천제를 정성껏 지낸 달부터 부인은 이상하게도 태기가 있었다. 얼마 후 부인은 옥동자를 낳았는데, 이 아기는 무럭무럭 자라서 학문에도 뛰어나 벼슬이 정승에 올랐다. 이리하여 이 선비 집안은 대대로 번성하였다.

<경북 고령군 전래 민담>

·향화 : 향불. 제사의 다른 말로 많이 쓰임
·활인지덕 : 사람의 목숨을 살려 준 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슬  견  설(蝨犬說)                    -이규보-


    어떤 손(客)이 나에게 이런 말을 했다.

"어제 저녁엔 아주 처참한 광경을 보았습니다. 어떤 불량한 사람이 큰 몽둥이로 돌아다니는 개를 쳐서 죽이는데, 보기에도 너무 참혹하여 실로 마음이 아파서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제부터는 맹세코 개나 돼지의 고기를 먹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 말을 듣고,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어떤 사람이 불이 이글이글하는 화로를 끼고 앉아서, 이를 잡아서 그 불 속에 넣어 태워 죽이는 것을 보고, 나는 마음이 아파서 다시는 이를 잡지 않기로 맹세했습니다."

 

손이 실망하는 듯한 표정으로,

"이는 미물이 아닙니까? 나는 덩그렇게 크고 육중한 짐승이 죽는 것을 보고 불쌍히 여겨서 한 말인데, 당신은 구태여 이를 예로 들어서 대꾸하니, 이는 필연코 나를 놀리는 것이 아닙니까?"

하고 대들었다.

 

나는 좀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를 느꼈다.

"무릇 피[血]와 기운[氣]이 있는 것은 사람으로부터 소, 말, 돼지, 양, 벌레, 개미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한결같이 살기를 원하고 죽기를 싫어하는 것입니다. 어찌 큰 놈만 죽기를 싫어하고, 작은 놈만 죽기를 좋아하겠습니까? 그런즉, 개와 이의 죽음은 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서 큰 놈과 작은 놈을 적절히 대조한 것이지, 당신을 놀리기 위해서 한 말은 아닙니다. 당신이 내 말을 믿지 못하겠으면 당신의 열 손가락을 깨물어 보십시오. 엄지손가락만이 아프고 그 나머지는 아프지 않습니까? 한 몸에 붙어 있는 큰 지절(支節)과 작은 부분이 골고루 피와 고기가 있으니, 그 아픔은 같은 것이 아니겠습니까? 하물며, 각기 기운과 숨을 받은 자로서 어찌 저 놈은 죽음을 싫어하고 이놈은 좋아할 턱이 있겠습니까? 당신은 물러가서 눈 감고 고요히 생각해 보십시오. 그리하여 달팽이의 뿔을 쇠뿔과 같이 보고, 메추리를 대붕(大鵬)과 동일시하도록 해 보십시오. 연후에 나는 당신과 함께 도(道)를 이야기하겠습니다."

라고 했다.

 

    # 지절 : 팔다리의 마디뼈

    # 대붕 : 하루에 9만 리를 날아간다는 상상의 아주 큰 새. 북해에 살던 곤(鯤)이라는 물고기의 화신이라고 함. 붕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음쉬기

 - 원성스님


   오늘은 쉬십시오.

   일에 지친 무거운 어깨, 산나무 그늘 아래 눕히고

   오늘은 편히 쉬십시오.

   어제까지의 일은 잘 했습니다.

   그리고 내일 일은 내일 시작하면 됩니다.

   오늘은 아무 일도 하지 말고 팔베개 하고 누워

   하늘에 떠가는 구름을 보면서 편히 쉬십시오.


   오늘은 쉬십시오.

   사랑 찾아 다니다 지친발

   오늘은 흐르는 물에 담그고 편히 쉬십시오.

   사랑보다 더 소중한 것은 내 마음의 평화 입니다.

   오늘은 어떠한 사랑도 생각하지 말고 모든 것 잊으십시오.

   그리고 흐르는 물소리를 들으면서 편히 쉬십시오.


   오늘은 쉬십시오.

   주어야 할 돈도 받아야 할 돈도 오늘은 모두 잊어버리십시오.

   그동안 돈 때문에 얼마나 애태웠습니까.

   돈의 가치보다 훨씬 많은 것 잃었지요.

   오늘은 바닷가 모래밭에 누워 가진 것 없이

   자유로운 하늘을 나는 새를 보면서 편히 쉬십시오.


   오늘은 쉬십시오.

   휴대폰도 꺼 버리고 아무 말도 하지 말고 오늘은 편히 쉬십시오.

   그동안 말을 하기 위하여

   듣기 위하여 얼마나 마음 졸였습니까.

   오늘은 입을 닫고 밤하늘의 별을 보십시오.

   별들이 말을 한다면 온 우주가 얼마나 시끄러울까요.

   침묵의 별들이기에 영원히 아름답지요.


   오늘은 쉬십시오.

   모든 예절, 규칙, 질서, 권위,양식

   모두 벗어 버리고 오늘은 쉬십시오.

   그동안 이런 것들 때문에 얼마나 긴장했습니까.

   옷을 벗어 버리고 오늘은 냇가 너른 바위에

   두 팔 벌리고 누워 편히 쉬십시오.


   오늘은 쉬십시오.

   모든 아픔, 모든 슬픔, 모든 아쉬움

   강물에 띄어 버리고 오늘은 편히 쉬십시오.

   흘러가면 사라지고 사라지면 잊혀지는 법,

   잊어야 할 것 모두 강물에 흘려 보내고

   강 언덕 미루나무 그늘 아래서 오늘은 편히 쉬십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