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글로 색슨

커피 對 차

ANGLO-SAXON / 17세기 말, 영국은 커피 하우스의 성공으로 유럽에서 커피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가 되었다. 그러나 그로부터 한 세기가 지나자 영국 사람들은 더이상 커피를 마시지 않고 차만 마시게 되었다. 만일 훌륭한 로스트 가게가 즐비한 대영제국에서 커피 마시는 것을 금지시키지 않았더라면 대부분의 영국 사람들은 인스턴트 커피만을 마시게 되었을 것이다.

대서양 건너편에 있는 신대륙의 식민지 사람들은, 설탕을 타거나 계피로 향을 더해서 마시는 음료가 있다는 사실이 뉴욕에  알려진 1668년에 이르러서야 커피를 마시게 되었다. 차가 영국 식민통치의 상징이었다면, 커피는 커피는 영국에 대한 독립의 상징이었다. 따라서 커피는 아주 빠른 속도로 미국인들이 애용하는 음료가 되었다. 1920년대의 알코올 금지령 또한 미국의 커피 소비를 증가시키는데 한몫 했다. 그러나 커피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한 것은 인스턴트 커피의 등장이었다. 수백만의 미국인들은 인스턴트 커피의 간편함에 순식간에 매료당했다.

1960년대에는 카페인이 많이 함유된 맛없는 로부스타와 인스턴트 커피가 범람하던 때라 한 잔의 좋은 커피를 마신다는 것은 기적과도 같은 일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 시애틀을 중심으로 에스프레소 바 체인점 스타벅스가 등장하여 상황을 완전히 바꿔놓았고, 에스프레소와 카푸치노를 유행시켰다. 서부 해안가에서 처음으로 마시게 된, 시럽(바닐라, 헤이즐넛, 캐러멜, 초콜릿, 박하)을 이용해 향을 낸 커피도 차츰 모든 지역으로 퍼져나가서 성공을 거두었다. 스타벅스의 가장 큰 공로는 무엇보다도 소다수에 길들여진 젊ㅇ느 세대에게 커피의 세계를 알렸다는 점이다. 보다 고전적 풍미가 있는 차갑게 만든 아이스 커피 또한 이미 오래 전부터 세계 어디서나 사랑받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panda78 > 러시아 조각들

표트르 대제 동상










표트르 1세

 표트르 1세



표트르 궁전 내 분수




러시아 예술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어서, 검색 도중 발견한 것들 올려봤습니다.

이파리님,  찾으시던 것이 있으신지요? ^^;;;

나중에 더 잘 알게 되면 또 올릴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렌초의시종 > [퍼온글] 그리스 산토리니 섬


언젠간 꼭 한번 가보고 싶은 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데메트리오스 2004-07-13 2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아름다운 항구네요. 상상한 것 이상으로 아름다워요!!

꼬마요정 2004-07-13 22: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전출처 : 브리즈 > Edward Hopper, "Nighthawks"

 


Edward Hopper, "Nighthawks", 1942.

Miles Davis_'Round Midnigh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 아라비카

 가장 감미로운 향

 ARABICA / 커피의 2대 원종 중 하나인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의 열매가 바로 이 '아라비카arabica'이다. 원산지가 에티오피아인 아라비카는 전세계 생산량의 75%를 차지하고 있다. 로부스타를 맺는 '코페아 카네포라Coffea canephora'와는 반대로 연약한 아라비카는 고지대에서만 자란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아라비카는 커피로서 더욱 우수한 품질을 지닌다. 고도가 높을수록 열매는 천천히 여물게 되고 더욱 더욱 복합적이고 풍부한 향을 함유하게 된다. 이 연약한 관목은 해발 800-2,000m의 맑은 공기 속에서만 자란다. 더 낮은 지대에서는 열을 지나치게 많이 받을 우려가 있고, 더 높은 지대에서는 얼어버릴 우려가 있다. 적도 부근의 해발 800-2,000m의 지역만이 아라비카의 엄격한 성장조건(평균 20-25℃의 기온, 지나치게 습하지 않은 규칙적인 비, 지나치게 강렬하지 않은 충분한 햇볕, 가급적이면 화산지대이거나 비옥한 토양)을 충족시킬 수 있다.

고급 원두의 대부분은 동아프리카나 라틴 아메리카에서 생산된 아라비카이다. 아라비카는 로부스타에 비해서 카페인 함유향이 적고, 생산지와 가공 방식에 따라 다양하고 섬세한 맛과 향을 낼 수 있다.

아라비카는 19세기에 로부스타가 발견되기 이전까지 유일한 커피였다. 그런데 로부스타가 발견되면서 몇몇 국가에서는 차츰 로부스타로 대체하기도 했다. 프랑스 사람들은 아프리카 식민지산 로부스타에 익숙해지자 주로 아라비카와 로부스타를 배합하거나 100%의 로부스타를 마시게 되었다. 100%의 아라비카를 다시 마시게 된 것은 1970년대 말에 이르러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