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이를 위한 한국 명화 이야기
장세현 지음 / 삼성출판사 / 2003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 그림은 흔히 읽어야 한다고 한다. 그림에 담겨진 작가의 마음이나 시대의 풍속을 짐작해 본다는 뜻에서 그리 이야기한다. 낯선 것은 생소하고 생소한 것은 두렵고 어려워 보이는 것이 이치이다. 우리의 학교 교육은 우리 것을 감상하는 것은 물론 체험하는 것에 많이 인색했다. 세상이 많이 달라 졌다고 하나 학교에서 단소를 배우는 정도이다. 외국문물을 무조건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우리 정신을 먼저 세우고 외국 문화를 알아가는 것이 순서이리라.
그래서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어린 시절부터 우리 문화에 자주 접하게 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손잡고 현장 학습을 떠나 보지만, 무조건 국립 중앙 박물관에 데리고 간다고 아이가 우리 문화에 익숙해지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다.우리 옛그림이 특히 그러하다. 자주 보면 정이 들고 정이 들면 그 속에 담긴 의미도 깨칠 수 있고, 적어도 우리네 정서를 공유할 수는 있다. 자, 그러면 우리 아이들에겐 우리 그림을 어떻게 감상하게 할까. 옛 그림이 있는 곳에 무조건 데리고 가서 그 앞에서 장황한 설명을 한다. 귀를 기울이는 아이들이 과연 몇이나 될까. 아이들에게 우리 그림을 익숙하게 하는 방편으로 '어린이를 위한 한국 명화이야기'를 활용해보자.
이 책의 내용은 풍속화, 산수화, 동물화, 민화와 불화, 문인화, 인물화, 사군자화의 일곱마당으로 나누어 한 마당에 대여섯화가의 그림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의 내용에 대한 쉽고 자세한 이야기에 곁들여 작가이야기나 문인화등의 전문용어에 대한 해설등 다양하고 아기자기한 구성이 어쩐지 고리타분할 것 같다는편견을 몰아낸다. 그림의 판형이 크고 글자도 커서 직접 보여 줄 수 없을 때 최선의 방법으로 쓸 수 있는 책이다. 사실 직접 그림을 보는 경우도 완전히 가까이 다가갈 수 없고 또 유리로 된 진열장안에 있어서 들이대고 보기는 어렵다.그런 갑갑함을 해소해주는 시원함도 있었다.
이 책이 비록 어린이를 위한 한국 명화 이야기이지만 우리 그림을 처음 보는 청소년 독자들에게도 권하고 싶고, 그래도 해설 읽기가 지루한 어린이들은 친절한 어른을 옆에 두고 이야기로 들여달라고 하는 것도 좋은 독서의 방법이 될 듯하다. 집안에 옛 그림 족자 하나를 걸어 줄 수 없다면 자, 이제 이 책을 곁에 두고 우리 그림을 항상 눈여겨 보게 하자. 그러면 우리 아이들은 정신이 살아 있는 개성있는 아이로 자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