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원 ㅣ 그림책은 내 친구 1
앤서니 브라운 글 그림, 장미란 옮김 / 논장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난 재밌게 웃으면서 봤는데, 아래 서평들을 읽으니 갑자기 좀 진지해져야 하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림책이라면 당연히 꿈과 환상을 주어야 한다는 것 또한 우리의 고정관념이 아닐까...어차피 이 책은 유아용 그림책은 아니다. 아이들에게 꿈과 환상을 심어주는 것 만큼으로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현실을 바로 보게 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할 것 같다, 이런 표현은 되도록 안쓰려고 하는데, 현실을 바로 본다는 말이 이렇게 조심스러울 수가 없다. 현실이라는 단어에는 너무나 많은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므로.
앤서니 브라운은 자기 주장을 강요하지 않는다. 단지 우리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 줄 뿐이다. 빼거나 더하지 않고 그대로 그릴 수 있다는 것이 앤서니 브라운의 가장 큰 강점이라고 생각한다.그대로 보여주기에 가르침의 냄새가 없고, 생각할 여지와 유머를 제공한다. 그림을 보면 아이들이 가자고 조르는 동물원의 생기와 발랄함은 없다. 사람 따로 동물 따로...누가 누구를 구경하는 것인지조차 불분명하다. 그런데 그게 동물원의 모습이 아닌가. 사람들이 구경하겠다고 동물을 가둬 놓고 사육하는 자체가 어둡고 침침한 발상이 아니던가?
나는 한 번도 동물원에서 생기를 느껴 본 적이 없다. 이 그림책에 나오는 그 그림의 느낌 그게 바로 동물원이다.그런 의미에서 아이들에게 환상을 깨는 그림책이라면 당연히 깨야 할 환상을 깼다고 얘기하고 싶다. 이 그림책을 보기 시작할 6,7세 이후의 아이들이라면 이 책의 의미를 이해하진 못해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환상을 주지 못하는 그림책이라는 어른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유머를 담고 있어서, 아이와 읽으며 유쾌해질 수 있다. 박물관에 다녀 온 아이에게 무엇이 가장 인상 깊었냐는 질문을 해 본 부모라면, 나오면서 먹은 솜사탕요, 하는 아이의 대답에 실소를 금치 못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아이와 부모가 함께 읽으며 서로를 자신과 상대방을 볼 수 있는 책이다. 변화는 먼저 자신을 아는데서 출발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