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국 사람들에게는 "그것을 들을 만한 귀가 없다"

 

제3의 귀를 가진 사람에게 독일어로 씌어진 책들은 얼마나 고문인가! 그는 얼마나 불쾌한 마음으로 독일인들이 '책'이라 부르는 소리 없는 음향의, 춤 없는 리듬의 느리게 굽이치는 늪 언저리에 서 있게 될 것인가! 게다가 책을 읽는 독일인이란 어떤가! 그는 얼마나 굼뜨게 얼마나 마지못해 얼마나 서투르게 읽고 있는가! 좋은 문장에는 모두 기교 ㅡ 문장이 이해되기를 바라는 한, 미루어 헤아리기를 바라는 기교 ㅡ 가 숨어 있음을 얼마나 많은 독일인이 알고 있으며 또 스스로 알려고 할까! 예를 들어 문장의 템포에 대해 오해가 있다고 하자. 그러면 문장 자체를 오해하고 있는 것이다! 음률로 볼 때 중요한 음절을 의심해서는 안 된다는 것, 너무 엄격한 대칭의 파기를 원하고 매력으로 느끼는 것, 온갖 스타카토(staccato, 짧게 끊어)나 루바토(rubato, 자유로운 속도로)에 섬세하고 참을성 있게 귀를 기울이는 것, 모음이나 복모음의 배열 속에서 의미를 헤아리고 그 모음들이 계속되는 동안 얼마나 부드럽고 풍부하게 채색되고 변색될 수 있는지 헤아리는 것 : 책을 읽는 독일인들 가운데 그와 같은 의무와 요구를 인정하고, 언어에 숨어 있는 그렇게 많은 기교와 의도에 귀 기울일 만큼 충분히 호의적인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결국 사람들에게는 "그것을 들을 만한 귀가 없다" : 따라서 문체의 가장 강한 대조는 들리지 않게 되고, 가장 정교한 예술가적 기질도 마치 귀머거리에게 들려주듯 낭비된다. ㅡ 이것들은 산문 예술의 두 거장이 얼마나 졸렬하고 무지하게 서로 뒤바뀌는가를 알아차렸을 때 내가 생각한 것이었다. 그 중 한 사람의 경우에는 축축한 동굴의 천장에서처럼 말이 주춤대며 차갑게 뚝뚝 떨어지고 있다. ㅡ 그는 그 둔중한 음향과 반향을 고려하고 있다. ㅡ 그리고 또다른 한 사람은 자신의 언어를 휘어지는 검처럼 다루면서 찌르고 쉿 소리를 내며 자르려는 너무 예리하게 진동하는 칼날의 위험한 행복을 팔에서 발끝까지 느끼고 있다. ㅡ

 

 - 니체, 『선악의 저편』, <제8장 민족과 조국>, 246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직 무명의 행복과 슬픔에 탐닉했던 고상한 응석받이

 

저 평온한 대가 펠릭스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은 달랐다. 그는 좀더 경쾌하고 순수하고 행복한 영혼 덕분에 일찌감치 존경받았고, 이와 마찬가지로 독일 음악의 아름다운 우발적인 사건으로 잊혀지게 되는 것도 빨랐다. 그러나 심각하게 생각하고, 또 처음부터 심각하게 생각하게 되었던 슈만Robert Schumann의 경우 ㅡ 그는 하나의 유파를 세운 마지막 인물이었는데 ㅡ, 바로 이러한 슈만의 낭만주의가 극복되었다는 것은 오늘날 우리에게는 행운, 안도, 해방이 아닌가? 영혼이 '작지쉐 슈바이츠'로 도피해, 반쯤은 베르테르적인, 반쯤은 장 파울적인 천성을 가진 슈만은 확실히 베토벤적이지는 않았다! 확실히 바이런적이지도 않았다! ㅡ 그의 만프레트적 음악은 부당할 정도로 실패이며 오해이다. ㅡ 슈만은 근본적으로 작은 취향(즉 고요한 서정과 감정 도취에 이르고자 하는 위험한, 독일인에게는 이중으로 위험한 경향)을 가지고 언제나 옆에 물러서거나 수줍어 머뭇거리거나 움츠리고 있었으며, 오직 무명의 행복과 슬픔에 탐닉했던 고상한 응석받이였으며 일종의 소녀였고 처음부터 내게 손대지 말라는 식이었다 : 이러한 슈만은 이미 음악에서의 독일적인 사건일 뿐이지, 베토벤이 그랬듯이, 더 폭넓은 규모로 모차르트가 그랬듯이, 더 이상 유럽적인 사건은 아니었다. ㅡ 그와 더불어 독일 음악은 유럽 영혼을 위한 목소리를 상실하고 단순한 조국애로 전락하는 최대의 위험에 처해 있었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8장 민족과 조국>, 245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류의 음악

 

오늘날 우리에게 베버Weber의 <마탄의 사수Freischutz>나 <오베른Oberon>이 무엇이란 말인가! 마르슈너Marschner의 <한스 하일링Hans Heiling>이나 <흡혈귀Vampyr>란 무엇이란 말인가! 또는 바그너의 <탄호이저Tannhauser>마저 무엇이란 말인가! 이것은 아직까지는 잊혀진 음악은 아닐지라도 사라져가는 음악이다. 이러한 낭만주의 음악 전체는 게다가 충분히 고상하지도 않고 음악답지도 못했기 때문에 극장 안에서나 대중 앞에서가 아니면 그 어떤 곳에서도 인정받지 못했다 ; 이 음악은 처음부터 진정한 음악가 사이에서는 거의 고려되지 않았던 이류의 음악이었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8장 민족과 조국>, 245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차르트, 베토벤, 루소, 실러, 셸리, 바이런

 

'좋았던 옛' 시절은 지나갔다. 그 시절은 모차르트에 의해 다 노래로 불리었다 : ㅡ 그의 로코코풍은 아직도 우리에게 말을 걸어오고, 그의 '훌륭한 사교'와 그의 부드러운 열광이, 중국적인 것이나 당초무늬 장식에 대한 그의 어린아이 같은 즐거움이, 그의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정중함이, 우아한 것, 사랑스러운 것, 춤추는 것, 눈물 어릴 정도의 황홀한 것을 향한 그의 갈망이, 남국적인 것에 대한 그의 믿음이 우리 안에 남아 있는 무엇에 아직은 호소할 수 있다는 것이 우리에게는 얼마나 행운인가! 아, 언젠가는 이러한 것도 사라지게 되리라! ㅡ 그러나 베토벤에 대한 이해와 감상이 더 빨리 사라지게 되리라는 것을 누가 의심할 수 있겠는가! 그는 실로 양식의 변화와 양식 파손의 여운에 지나지 않았으며, 모차르트처럼 수세기에 걸친 위대한 유럽적 취미의 여운은 아니었다. 베토벤은 끊임없이 부서지는 흐늘흐늘해진 옛 영혼과 끊임없이 다가오는 미래의 너무 젊은 영혼 사이의 중간 사건이었다. 그의 음악에는 영원히 상실해가는 것과 영원히 무절제한 희망 사이의 희미한 빛이 비추고 있다. ㅡ 루소와 더불어 꿈꾸고 혁명이라는 자유의 나무 주위에서 춤추고 마침내 나폴레옹을 거의 떠받들다시피 되었을 때, 유럽을 흠뻑 적셨던 빛이 이와 똑같았다. 그러나 이제 바로 이러한 감정은 얼마나 빨리 퇴색되어가고, 오늘날 이러한 감정에 대해 아는 것마저 이미 얼마나 어렵게 되었는가, ㅡ 저 루소, 실러F.Schiller, 셸리Shelley, 바이런Byron의 언어가 우리의 귀에는 얼마나 생소하게 들리는가, 베토벤에게서 노래를 부를 수 있었던 유럽의 똑같은 운명이 이들 모두에게서 함께 언어의 길을 찾아냈던 것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8장 민족과 조국>, 245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 독일인이 알고 있는 가장 위험하고 가장 행복한 가장(假裝)

 

이 영혼의 가계 운영 전체는 얼마나 무질서하면서도 풍부한 것인가! 독일인은 자신의 영혼을 질질 끌고 간다. 그는 자신이 체험하는 것을 모두 질질 끌고 간다. 그는 자기에게서 일어난 일들을 잘 소화시키지 못하고, 그것을 잘 '처리'하지 못한다. 독일적 깊이는 때로는 '소화'하기 힘들어 머뭇거리는 것에 불과하다. 지병이 있는 모든 사람, 모든 소화불량 환자들에게는 편안하고자 하는 성향이 있는 것처럼, 독일인은 '솔직함'과 '우직함'을 사랑한다 : 솔직하고 우직하다는 것이 얼마나 편안한가! ㅡ 독일적 성실함이 갖고 있는 이 신뢰할 수 있고 친절하고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것, 이것이야말로 아마 오늘날 독일인이 알고 있는 가장 위험하고 가장 행복한 가장(假裝)일 것이다 : 이것은 독일의 참된 메피스토펠레스적 기교이며 이것으로 그는 '한층 더 성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독일인은 사태가 진행되는 대로 내버려두고 더욱이 성실하고 푸르고 공허한 독일적 눈으로 바라본다. ㅡ 그래서 즉시 외국인은 그를 그의 잠옷으로 혼동하게 된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8장 민족과 조국>, 244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