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은 그 속에서 지루해하기에는 수백 배나 너무 짧지 않은가?

 

성실함, 만일 이것이 우리 자유정신이 벗어날 수 없는 덕목이라고 한다면 ㅡ 그러면 우리는 모든 악의와 사랑으로 이것을 위한 작업을 해보고자 하며, 단지 우리에게 남겨진 우리의 덕 안에서 지치지 않고 우리 자신을 '완성'해보고자 한다 : 그 덕의 광채가 언젠가 금빛으로 빛나는 푸르면서 조소하는 듯한 저녁 노을처럼 이렇게 늙어가는 문화와 그 희미하고 침울한 진지함 위에 머물러 있다고 해도!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성실함이 어느 날 피로에 지쳐 한숨을 내쉬고 손발을 내뻗으며 우리 자신을 너무 가혹하다고 느끼고, 마치 기분 좋은 악덕처럼 더 낫고 더 편하고 더 부드러운 것을 지니고 싶어해도, 우리는 엄격한 태도로 남아 있자, 마지막 스토아주의자들인 우리는! 그리고 이 덕을 돕기 위해 우리 안에 오직 악마성으로 가지고 있던 것만을 보내도록 하자 ㅡ 졸렬하고 우연한 것에 대한 우리의 구토도, 우리의 '금지된 것을 향한 갈망'도, 우리 모험가의 용기도, 우리의 교활하고 까다로운 호기심도, 탐욕스럽게 미래의 모든 나라를 찾아 배회하며 열광하는 우리의 가장 섬세하게 위장된 정신적인 힘에의 의지와 세계 극복을 향한 의지도 보내도록 하자 ㅡ 우리는 우리의 모든 악마를 데리고 우리의 '신'을 도우러 가자! 아마 우리는 이것 때문에 오해받고 혼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 그러나 그것이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사람들은 "그들의 '성실함'ㅡ이것은 그들의 악마성을 말하는 것이며 그 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라고 말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설령 그 사람의 말이 옳다고 해도 말이다! 모든 신은 지금까지 이와 같이 신성화(神聖化)되어 개명된 악마가 아니었던가? 그리고 결국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가? 우리를 인도하는 정신은 어떻게 불리길 원할까? (이것은 이름의 문제이다.) 그런데 우리는 얼마나 많은 정신을 숨기고 있는가? 우리의 성실함, 우리 자유정신은, ㅡ 우리는 그것이 우리의 허영, 우리의 화려한 장식, 우리의 한계, 우리의 어리석음이 되지 않도록 조심하자! 모든 미덕은 어리석음이 되고, 모든 어리석음은 미덕이 되는 경향이 있다. '성스러울 정도로 어리석다' 고 러시아 사람들은 말하는데, ㅡ 우리는 성실에서 벗어나 마침내 성자나 권태로운 사람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자! 인생은 그 속에서 지루해하기에는 수백 배나 너무 짧지 않은가?

 

 - 니체, 『선악의 저편』, <제7장> 우리의 덕, 제227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슬과 칼

 

우리는 의무라는 엄격한 그물과 셔츠에 갇혀 그것에서 벗어날 수 없다 ㅡ. 이 점에서 바로 우리는 '의무의 인간'이며, 우리 역시 마찬가지다! 때때로 우리는 자신의 '사슬' 안에서, 우리의 '칼' 사이에서 춤추고 있다는 것도 사실이다. 또 때때로 우리는 그러한 상황 아래 이를 갈며 우리 운명의 모든 비밀스러운 가혹함에 견디기 어려워 하는 것도 대단한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하고 싶어한다 : 우둔한 자나 외관만 보는 자는 우리를 향해 "이는 의무가 없는 인간이다"라고 말한다. ㅡ 우리에게는 항상 우둔한 자와 외관만을 보는 자가 우리에게 대항하는 자로서 있는 것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7장> 우리의 덕, 제226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통의, 엄청난 고통의 훈련

 

우리의 동정은 더 높고 시야가 넓은 동정이다 : ㅡ 우리들은 인간이 어떻게 스스로 작아졌으며, 그대들이 어떻게 인간을 작게 만들고 있는지 바라본다! ㅡ 그리고 우리가 바로 그대들의 동정을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불안한 마음으로 바라보는 순간이, 이러한 동정에 대해 저항하는 순간이 ㅡ, 우리가 그대들의 진지함을 그 어떤 경박함보다도 더 위험하게 느끼는 순간이 있다. 그대들은 가능한 한 ㅡ 이것보다 더 미친 듯한 '가능한 한'은 없지만 ㅡ 고통을 없애고자 한다. 그런데 우리는? ㅡ 우리는 그 고통을 지금까지 있었던 것보다도 오히려 더 높고 힘든 것으로 갖고자 하는 것 같다! 그대들이 이해하고 있는 안락함 ㅡ 그것은 목적이 아니라 우리에게는 종말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는 인간을 바로 조소하고 경멸하게 만드는 상태이고, ㅡ 인간의 몰락을 원하게 만드는 상태이다! 고통의, 엄청난 고통의 훈련 ㅡ 오직 이러한 훈련만이 지금까지 인간의 모든 향상을 이루어왔다는 사실을 그대들은 알지 못하는가? 영혼의 힘을 길러주는 불행에 있는 저 영혼의 긴장, 위대한 몰락을 바라볼 때의 영혼의 전율, 불행을 짊어지고 감내하고 해석하고 이용하는 영혼의 독창성과 용기, 그리고 언젠가 깊이, 비밀, 가면, 정신, 간계, 위대함에서 영혼에 보내진 것 : ㅡ 이것은 고통을 통해, 엄청난 고통의 훈련을 통해 영혼에 보내진 것이 아닌가? 인간 안에는 피조물창조자가 일체가 되어 있다 : 인간 안에는 소재, 파편, 과잉, 진흙, 오물, 무의미, 혼돈이 있다. 그러나 또한 인간 안에는 창조자, 형성자, 해머의 강인함, 관찰자의 신성함과 제7일도 있다. ㅡ 그대들은 이러한 대립을 이해하는가? 그대들의 동정이란 '인간 안에 있는 피조물'에 해당하며 형성되고 부서지고 단련되고 찢기고 불태워지고 달구어지고 정련되어야만 하는 사람에게, ㅡ 반드시 고통을 당하지 않으면 안 되고 고통스러워해야만 하는 사람에게 해당된다는 것을? 그런데 우리의 동정 ㅡ 모든 유약화와 허약함 가운데 최악의 것인 그대들의 동정에 저항할 때, 우리의 이 반대의 동정이 누구에게 적용되는지 그대들은 이해하지 못하는가? ㅡ 즉 이것은 동정에 반항하는 동정인 것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7장> 우리의 덕, 제225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메로스와 셰익스피어의 경우

 

예를 들어 우리는 다시 호메로스를 : 어떤 고귀한 문화를 가지고 있는 인간들이 (호메로스의 광막한 정신을 비난했던 생 테브르몽Saint-Evremond 같은 17세기 프랑스인들이나, 그 세기 마지막 인물인 볼테르조차도) 쉽게 소화할 수 없었으며 ㅡ 거의 즐길 수조차 없었던 호메로스를 우리가 맛볼 수 있다는 것은 아마 우리의 가장 행복한 우월성일 것이다. 그들 미각의 매우 단호한 긍정과 부정, 쉽게 일으키는 그들의 구토, 온갖 이질적인 것에 대해 머뭇거리는 신중함, 활발한 호기심이 가지고 있는 몰취미 자체에 대한 그들의 경계심, 그리고 일반적으로 어떤 새로운 탐욕이나 자기 것에 대한 불만, 또는 이질적인 것에 대한 경탄을 스스로 인정하는 고상하고 자족적인 모든 문화가 가지고 있는 저 나쁜 의지 : 이 모든 것 때문에 그들은 자신의 소유가 아니거나 노획물이 될 수 없는 것이면, 세상에서 가장 좋은 것이라 해도 호의를 보이지 않는다.그리고 이와 같은 인간들에게는 바로 역사적 감각이나 거기에 굴종하는 천민적 호기심보다 더 이해하기 어려운 감각은 없을 것이다. 셰익스피어에 대해서도 경우가 다르지 않다. 이 놀라운 스페인식과 무어식, 색슨적인 취미의 종합을 보았다면, 아이스킬로스와 친교가 있던 고대 아테네 사람들이라면 반쯤 죽도록 웃거나 화를 냈을 것이다 : 그러나 우리는 ㅡ 바로 이러한 거친 다채로움을, 가장 섬세한 것과 조야한 것, 예술적인 것의 혼합을 은밀히 신뢰하고 진심으로 받아들인다. 우리는 우리를 위해 비축된 예술의 정수로 셰익스피어를 즐기며, 이때 그의 예술과 취미가 살아 있는 영국 천민의 불쾌한 수증기가 근처에 감돈다 해도 거의 그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것은 마치 우리가 나폴리의 키아야 천민 지역의 하수구 냄새가 공기 중에 떠다닌다 해도, 모든 감각을 동원하여 매혹된 채 즐거이 우리의 길을 걷는 것과 마찬가지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7장> 우리의 덕, 제224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멸하는 법

 

자신의 적을 사랑한다? 이것은 잘 배워온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 이것은 오늘날 크든 작든 수천 가지 모습으로 일어나고 있다. 때로는 참으로 더욱 고귀한 일들이, 더욱 숭고한 일들이 일어난다 ㅡ 우리는 우리가 사랑할 때, 특히 우리가 진정으로 사랑할 때, 경멸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 ㅡ 그러나 이러한 모든 일은 무의식적으로 소란스럽지 않게 가식도 없이 그리고 격식을 차린 말이나 도덕의 형식을 입에 담지 못하게 하는 저 선의의 부끄러움이나 감춤으로 행해지고 있다. 태도로서의 도덕 ㅡ 이는 오늘날 우리의 취향에 거슬린다. 이것도 하나의 진보다 : 마치 종교에 대한 적대감과 볼테르식의 신랄함(그리고 과거 자유정신의 몸짓 언어에 속했던 모든 것)을 포함하여 결국 태도로서의 종교가 취향에 거슬렸다는 사실이 우리 선조에게는 진보였던 것처럼 말이다. 우리의 양심에는 음악이, 우리의 정신에는 춤이 있으며, 그 어떤 청교도의 연도(連禱)도 그 어떤 도덕의 설교나 속물주의도 거기에 음조를 맞출 수 없을 것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7장> 우리의 덕, 제216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