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떻게 달리 갈구하지 않을 것인가?

 

사람은 낮에 있었던 일을 밤에 행한다 : 그러나 또 반대도 있다. 우리가 꿈속에서 체험하는 것은, 우리가 그것을 종종 체험한다고 가정할 때, 결국 '현실적으로' 체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영혼의 가계 전체에 속하게 된다 : 우리는 그와 같은 꿈의 체험 덕분에 더욱 풍부해지기도 하고 가난해지기도 하며, 좀더 많은 욕망을 갖기도 하고 좀더 적은 욕망을 갖기도 하며, 결국 밝은 빛이 비추는 대낮에, 그리고 우리의 정신이 깨어 있는 가장 밝은 순간에도 어느 정도는 꿈의 습관에 의해 조정당한다. 가령 어떤 사람이 자신의 꿈 속에서 종종 날아다닌 적이 있어, 마침내 그가 꿈을 꾸자마자 날아다니는 힘과 기술을 자신의 특권인 것처럼 의식하고 또 선망받을 만한 자기 특유의 행복인 것처럼 의식하게 된다고 가정해보자 : 그러한 사람은 어떤 종류의 곡선이나 각도도 아주 미세한 충격을 가함으로써 선회할 수 있다고 믿으며, 긴장이나 강제 없이 위로 오를 수도, 교만이나 굴욕 없이 ㅡ 중력 없이! 아래로 내려올 수 있는 어떤 신적인 경쾌함의 감정을 알고 있다. 이러한 꿈에서의 경험과 꿈의 습관을 지닌 인간은 마침내 자신이 깨어 있는 낮에도 '행복'이라는 말이 다르게 채색되고 규정되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 아닌가! 그는 행복에 대해 어떻게 달리 갈구하지 않을 것인가? 시인들이 묘사하는 '비상(飛翔)'은 그의 '비행(飛行)'에 비한다면, 이미 너무 지상에 가깝고 근육질적이고 폭력적이며 이미 너무 '무거운' 것인 듯하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5장 도덕의 자연사>, 제193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예 상태

 

노예 상태는 조잡하게 이해하든 세밀하게 이해하든 정신적인 훈육이나 육성에 반드시 필요한 수단인 것처럼 보인다. 모든 도덕을 이 점에 비추어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 도덕 속에 있는 '자연'은 방임을, 즉 너무나도 큰 자유를 미워하도록 가르치며 제한된 지평에 대한 욕구, 가장 시급한 과제를 해결하려는 욕구를 심어준다. ㅡ 이는 시야를 좁힐 것을 가르치며, 또한 어떤 의미에서는 삶의 조건과 성장의 조건으로 어리석음을 가르친다. "그대는 누군가에게 오랫동안 복종해야만 한다 : 그렇지 않으면 그대는 파멸하게 되며 그대 자신에 대한 마지막 존경심마저 잃어버리게 된다" ㅡ 이것은 나에게 자연의 도덕적 명법처럼 보인다. 이 명법은 물론 늙은 칸트가 그에게 요구했던 '정언적'인 것이 아니며(그래서 '그렇지 않으면'이라는 단서가 붙었다ㅡ), 개인을 향한 것도 아니다(자연에게 개인이 무슨 문제가 된다는 말인가!). 그러나 그것은 민족, 인종, 시대, 신분, 그러나 무엇보다도 '인간'이라는 동물 전체, 인류를 향한 것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5장 도덕의 자연사>, 제188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애와 임의의 사람

 

사람들은 때때로 인간애로 임의의 사람을 껴안는다 (모든 사람을 껴안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 그러나 바로 이것을 그 임의의 사람에게 알려서는 안 된다.

 

 * * *

 

욕망과 대상

 

사람들은 결국 자신의 욕망을 사랑하는 것이지, 욕망한 대상을 사랑하는 것이 아니다.

 

 * * *

 

인권 침해

 

현명한 사람도 어리석은 행동을 한다는 것을 사람들은 믿지 않는다 : 이 얼마나 인권 침해인가!

 

 * * *

 

되돌릴 수 없는 친밀함

 

우월한 사람이 보여주는 친밀함은 화나게 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되돌릴 수 없기 때문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4장 잠언과 간주곡>, 제172절∼182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능과 친구들

 

재능을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사람들은 또한 그 재능에 대한 그대들의 허락도 받아야만 한다. ㅡ 어떻게? 내 친구들이여?

 

 

 * * *

 

 

병리학의 대상

 

이의(異議), 탈선, 즐거운 불신, 조롱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은 건강의 징조이다 : 무조건적인 것은 모두 병리학의 대상이 된다.

 

 

 

 * * *

 

일과 대응

 

좋은 일이나 나쁜 일에도 우리는 대응해야만 한다 : 그러나 왜 우리에게 좋은 일이나 나쁜 일을 행한 바로 그 사람에게 대응해야만 하는가?

 

 

 * * *

 

 

사랑과 오해

 

사랑은 사랑하는 사람의 고귀하면서 숨어 있는 성질을 ㅡ 그가 지닌 희귀한 것, 예외적인 것을 밖으로 드러낸다 : 이런 점에서 사랑은 그가 일반적으로 지니고 있는 것에 대해 쉽게 잘못 생각하게 한다.

 

 

 

 * * *

 

거짓말과 진실

 

사람들은 입으로 거짓말을 잘도 한다. 그러나 이때 사람들은 거짓말하는 입으로 진실을 말하기도 한다.

 

 * * *

 

그리스도교와 에로스

 

그리스도교는 에로스에 독을 타 먹였다 : ㅡ 그로 인해 에로스는 죽지는 않았지만, 타락해 부도덕해졌다.

 

 * * *

 

칭찬과 주제넘음

 

비난할 때보다, 칭찬할 때 더 주제넘음이 있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4장 잠언과 간주곡>, 제151절∼170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대와 부끄러움

 

성애에 관한 엄청난 기대와 이러한 기대 속에서의 부끄러움이 처음부터 여성의 모든 관점을 망쳐놓는다.

 

 * * *

 

우리의 악과 우리의 최선

 

우리 인생의 위대한 시기는 우리가 우리의 악을 우리의 최선이라고 고쳐 부를 용기를 얻는 그 때이다.

 

 * * *

 

작가와 그리스어

 

신이 작가가 되고자 했을 때, 그리스어를 배웠다는 것 ㅡ 그리고 그가 그것을 더 잘 배우지 못했다는 것은 미묘한 일이다.

 

 * * *

 

기대했던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것

 

화형의 불길 위에서도 환성을 올리며 기뻐하는 사람은 고통에 승리해서가 아니라, 그가 기대했던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것에 승리를 한 것이다. 하나의 비유.

 

 * * *

 

재능과 화장

 

어떤 사람의 존재는 그의 재능이 시들어갈 때, 즉 그가 할 수 있는 것을 제시하지 못하게 될 때 드러나기 시작한다. 재능이란 화장(化粧)이기도 하다. 화장이란 또한 일종의 은폐이다.

 

 * * *

 

하복부

 

인간이 스스로를 신이라고 쉽게 생각하지 않는 이유는 하복부가 있기 때문이다.

 

 * * *

 

괴물과 심연

 

괴물과 싸우는 사람은 자신이 이 과정에서 괴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만일 네가 오랫동안 심연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심연도 네 안으로 들어가 너를 들여다본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4장 잠언과 간주곡>, 제114절∼146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