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에서 제일 힘센 수탉
이호백 글, 이억배 그림 / 재미마주 / 1997년 2월
평점 :
아주 화창한 날에 알에서 깨어난 수평아리 한마리. 아주 튼튼하고, 달리기, 높이 뛰기도 잘하는(싸움도 잘하는) 병아리는 점점 자라서 아주 아주 힘이 센, 세상에서 제일 힘이 센 수탉이 된다. 다른 수탉들이 우러러보고, 젊은 암탉들이 줄줄이 따르던 수탉에게 고난이 찾아왔으니.. 자기보다 더 힘이 센 수탉이 나타난 것이다. 이제 세상에서 가장 힘이 세다고 자부하던 수탉은 마을에서 술을 제일 잘마시는 수탉이 되어버렸다.
이 부분은 개인적으로 걸리는 이야기의 전환인데 작가는 어떤 의미를 담아서 이런 이야기의 전환을 나타내려 한 것일까? 가장 힘이 센 닭이 가장 술을 잘 마시는 닭이 된 것은 자기보다 더 강한 수탉이 나타나서 좌절감을 느끼고 그리 된 것이라는 나름대로의 해석을 하긴 했지만 과연 어른들이 술을 마시는 이유를 아이들이 알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좋은 동화책은 그림만 보아도 책의 내용을 이해한다고 하는데, 개인적으로 이 부분만큼은 어른들의 설명이 뒤따라야 하지 않을까 싶다.
술꾼으로 전락하고, 점점 늙어서 마침내는 절망에 빠진 수탉에게 아내가 다가와 조용히 말한다. 그의 진정한 힘은 자자손손들-아버지를 닮아 힘이 센 아들, 알을 많이 낳는 것으로 이름을 날리는 딸, 그리고 그들의 자식들인 올망졸망한 병아리들 등등-을 통해 살아 있음을.. 옛날이나 지금이나 세상에서 제일 힘세고 행복한 수탉의 이야기는 어른들에게는 우리의 나이 드신 '아버지'를 생각나게 한다.
과연 우리 아이들은 이 책을 보고 어떤 느낌을 받고,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는 앞으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아야 알겠지만 아이가 젊은 한 때에 가질 수 있는 물리적인 '힘'보다 세월이 흘러도 변치 않는 지속적인 '힘'의 의미를 깨닿게 되길 바란다. 짧은 이야기지만 많은 의미를 간직하고 전하고자 하는 책이기에 두고 두고 보아야 할 것 같다.. 무엇보다 이 책의 그림들이 한국적인 색채를 담고 있고 있어서 외국 동화책들을 많이 접하던 차에 신선한 느낌을 주는 것 같다. 해학적인 표정이 담긴 닭의 모습들이 인상에 남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