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가 알을 낳았대! - 3~8세 ㅣ 세계의 걸작 그림책 지크 2
배빗 콜 글.그림, 고정아 옮김 / 보림 / 1996년 7월
평점 :
이제 30대 중반으로 접어드는 내가 클 때만 해도 성교육이라는 것 자체에 대한 중요성은 물론이고, 필요성도 대두되지 않았다.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나 남녀의 신체의 해부학적 지식을 배우던 시절- 여학생들은 그 페이지를 펴 보는 것을 부끄럽게 여겼고, 선생님도 얼른 가르치고 넘어가야 할 것처럼 서두르셨던 기억이 난다..
부모님들은 그저 나이들어서 때가 되면 자연스럽게 알게 될 것이라 여기셨다. 행여 아이가 물어볼라치면 군밤으로 답을 듣기 일쑤이고, '너는 다리밑에서 주워왔다'는 등의 이러저러한 말을 뭉텅거려서 어물쩍 넘어가는 버리셨던 것이다.
그런 시절에 비하면 요즘 아이들은 참으로 조숙하다. 이미 대여섯살에 여성과 남성의 신체구조가 다른 것을 확실히 알고, 아기가 나오는 곳이 우리가 알던 '다리밑(교량)'가 아닌 '다리 사이'임을 선생님이나 부모님으로부터 교육받아서 알고 있다. 또한 전문가들은'고추'나 '잠지'라는 유아언어보다는 정확한 용어인 '음경', '질', '자궁' 등의 용어를 사용하여 유아들에게 명확한 지식을 전달해 줄 것을 권유하고 있다.
이 책에 나오는 부모들도 아이들에게 '아기가 어떻게 생기는지 알아야 할 때'가 왔다면서 여자아이는 양념과 향기로운 것들을, 남자아이는 달팽이와 강아지 꼬리를 섞어서 만든다고 이야기한다.
공룡이 가져다 주기도 하고, 붕어빵처럼 굽기도 하고, 돌밑에서, 씨앗에서, 심지어 튜브에서 아기를 짜낼 수도 있다고 한다. 그리고 엄마가 소파에 '알'을 낳았는데 그 알에서 아이들이 튀어나왔다고 말해준다. 아이들은 그런 부모의 이야기에 웃음을 터뜨리면서 엄마, 아빠에게 본격적인 성교육-아이가 어떻게 생기는 지를 가르쳐준다.
아이들이 성과 관련된 질문을 할 때 부모가 당황해하거나, 설명을 기피하는 행동을 보이면 '성'이란 것이 부끄러운 것, 숨겨야 할 것이라는 인식을 하게 된다. 그렇다고 아이에게 해부학 책을 들이대고 장황하게 설명을 해 줄 필요는 없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다루는 것이 좋다고 한다.
아이가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을 할 때 무조건 피하기보다는 아이의 생각도 들어보고 이 책과 같이 성교육에 도움이 되는 책을 읽어주면서 자연스럽게 배워나가는 것이 부모에게나 아이에게나 도움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