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꿀을 돌려줘 달팽이 과학동화 1
심조원 글, 김효순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먹고 먹히는 자연의 법칙, 즉 식물에서부터 동물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의 한 예가 들어 있는 책이다. 아이가 무척 재미있게 보는 책인데 아마 내용보다 그림이 더 재미있어서가 아닐까 싶다.

표지에서 볼 수 있듯이 곰의 뱃속에 잡아먹힌 존재를 전부 그려 놓았다.(꼴라주기법이 ?) 따라서 누가 누굴 잡아 먹었는지 바로 알 수가 있다. 이런 종류로 '옛날에 파리를 한마리 꿀꺽 삼킨 할머니가 있었대'라는 책을 본 기억이 난다. 그 책에서도 할머니가 삼킨 내용물(파리부터 시작해서 개, 소까지..)들이 차곡차곡 쌓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먹이사슬의 처음 시작은 민들레다. 민들레는 자기 몸을 스치는 바람이나 개미도 마음에 들지 않다. 그런데 꿀벌이 꿀을 빨아 먹고 난 후 자신의 모습이 흉하게 변해 버렸다고 믿게 된다. 바람의 도움으로 날수 있게 된 민들레 홀씨는 자신을 꿀을 훔쳐 먹은 꿀벌을 찾아간다.

그러나 꿀을 먹어버린 꿀벌을 거미가, 그 거미를 메추리가 잡아 먹고, 메추라기는 여우에게 먹히는 먹이사슬이 계속된다. 마침내 여우가 커다란 곰에게 잡아 먹히자 민들레 홀씨는 겁을 내면서도 자신의 꿀을 돌려 달라고 말한다. 그런데 곰은 똥 한무더기를 누고 가버린다.

곰이 누고 간 똥의 양분을 받아들여 다시 예쁜 꽃을 피울 수 있게 된 민들레는 결국 자신의 꿀을 돌려받은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뒷편에서 동물의 숫자가 균형을 이루려는 자연의 법칙에 따라 자연스럽게 조절된다는 것을 설명해 놓은 부분이 있다. 약육강식의 세계는 잔인함을 지니고 있지만 그것이 자연이 균형을 이루어 가는 방식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꼬꼬 아줌마네 꽃밭 달팽이 과학동화 1
심조원 글, 최미숙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식물의 운동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데, 우리 아이도 그 제목을 보고는 식물도 움직이느냐며 신기한 호기심을 가지고 책을 보았다. 물론 꽃들도 끊임없이 움직이고, 성장하지만 단지 너무나 미세한 움직임들이라 사람의 눈에 거의 띄지 않는 것이다.

꼬꼬아줌마는 채송화, 나팔꽃, 수세미 등의 꽃들을 심고 알뜰살뜰 보살피는 '꽃애호가'이다. 꼬꼬아줌마는 집을 비울 일이 생기자 도둑쥐를 걱정하며 집을 나섰다. 그러자 꽃들이 집을 지키겠다고 나서는데... 그 중에서 담쟁이와 수세미, 나팔꽃들은 덩굴식물답게 담 위로 기어 올라가 망 보기를 자청한다.

그런데 아쉽게도 나팔꽃은 밤에 잎을 오무려 버리는 속성때문에 밤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 다음에 직접 나팔꽃을 아이와 함께 관찰할 기회를 꼭 가졌으면 한다.)
몰래 부엌에 들어가려던 도둑쥐는 밤에 피어난 달맞이꽃의 고함소리에 놀란다. 그리고 사방에서 터지는 봉숭아의 씨앗 공격과 끈끈이주걱의 들러붙기 작전에 놀라 결국 도망치고 만다..

책을 통해 아이에게 여러가지 꽃 이름을 가르쳐 줄 수 있었다. 예전에는 누구나 마당 한쪽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꽃들이지만 요즘 아이들은 구경하기도 힘들어지기만 하는게 안타깝다. 그리고 얼마전에 콩을 심어서 키운 적이 있는데 하루 하루 지날 때마다 커가는 모습이 신기한지 수시로 들여다 보던 아이의 모습을 보니 나도 저런 때가 있어지 하는 생각에 흐뭇하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운 꿀은 없나요 달팽이 과학동화 1
김용란 글, 서은영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음식의 맛을 알 수 있는 신체 기관은? 아이들은 무엇이라고 대답할까? 혀? 입? 코? 아무래도 입이라고 생각하기 쉬울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어주면서 혀라는 존재를 아이에게 인식시킬 수 있었다. 우리의 혀가 모든 맛을 알아내는 것은 아니다. 생물시간에 배웠듯이 4가지 맛을 인지한다.

혀는 짠 맛, 신 맛, 단 맛, 매운 맛 등을 알 수 있지만 눈을 감고 음식을 알아맞추기 위해서는 또 다른 기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바로 코이다. 혀가 특정한 맛을 감지할 수 있을지라도 코로 냄새를 맞지 못하면 아무리 유능한 음식감별사가라도 알아맞출 수가 없다.

우리가 감기에 걸리면 음식을 먹어도 무얼 먹는지 잘 모르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물론 이 것은 보충설명에서도 나와 있다. 그리고 맛에 따른 우리말의 표현과 씹는 것의 의성어 표현을 배워보는 것도 재미있다. 아이에게 말을 재미를 가르쳐 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도 든다.

책 내용을 살펴보면 짠 음식(소금기 가득한 바닷속이니 당연하겠지만)만 먹던 거북이 무엇인가 색다른 음식을 먹고 싶어 세상에 나왔다. 그러나 약삭빠른 여우에게 속아 엉뚱한 표현을 배워 버린다. 토끼로부터 성찬을 대접받지만 여우가 가르쳐준 엉뚱한 표현때문에 웃음거리가 되고 만다.

나중에 거북이 '달콤한 꿀떡'이라고 말한 걸 믿고 그만 매운 음식을 먹고 마는 여우. 이럴 때 제 발등 제가 찍는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하 보리였구나 달팽이 과학동화 1
심조원 글, 차정인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알을 낳은 엄마 무당벌레가 자고 일어나 보니 이상하게 생긴 알이 하나 더 생겼다. 아빠 무당벌레는 자신들의 알이라고 보기에 크기가 큰 그 이상한 물체를 의심하지만 엄마 무당벌레는 알이 갑자기 커진거라 생각하고 열심히 돌본다. 이 이야기에서 자식에 대한 엄마의 사랑이 더 크다는 생각을 하는 것은 너무 단정적일까? 가시고기등과 같이 부성애가 더 강한 생물도 있긴 하지만 대체로 인간이나 동물이나 모성애가 훨신 더 강한 것 같다.

다른 알들에서 다 무당벌레의 애벌레들이 깨어 나왔는데 오히려 하얗고 작은 것이 돋아나는 그 이상한 알을 엄마는 내다 버리지 않고 열심히 돌봐준다. 시간이 흘러 하얀 애벌레들이 번데기로 변한 동안에도 깨어나지 않는 알. 여전히 걱정스러운 마음으로 나뭇잎을 덮여주고 겨울잠을 자러 들어 간 엄마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봄이 되어서야 무당벌레 부부는 알이라고 여겼던 것이 보리라는 것을 깨닿는다. 하지만 그 존재를 알았다고 본척만척하지 않고 오히려 온가족이 그 보리를 돌보는 것을 보면서 문득 자신의 자식이 있으면서도 아이를 입양한 가정의 이야기가 생각났다. 따지고 보면 생긴 것은 달라도 보리씨앗이 이 무당벌레의 양아이나 마찬가지니까.. 그리고 보리에 이삭이 영글자 아기무당벌레가 '보리가 알을 낳았어요~'라고 말하는데 이 책의 가장 하이라이트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서는 보리의 한살이와 함께 무당벌레의 일생도 함께 알 수 있습니다. 뒷 부분의 보충설명부분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본문내용을 통해 무당벌레가 알에서 깨어나고 탈태(?)와 변태를 한다는 것, 겨울잠을 잔다는 것을 알 수 있잖아요. 그리고 저에게는 낳은 정도 중요하지만 기른 정도 중요하다는 느낌을 주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돕고 살아 달팽이 과학동화 1
심조원 글, 정승각 그림 / 보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태어나서 버둥거리는 것과 젖을 빠는 것, 배설하는 것 이외에는 할 줄아는 것이 없는 포유류(사람을 포함해서) 새끼들에 비해 태어나는 그 순간에 헤엄을 치고, 걸을 줄 아는 새끼들도 있다. 고래나 물고기들이 그 전자의 예이고 파충류의 새끼가 후자의 예가 될 것 같다.

거북의 새끼들도 태어나서 바로 걸을 수가 있다. 알을 깨고 세상에 나오자 마자 본능이 명하는데로 물을 향해 끊임없이 기어가는 것이다. 새끼거북을 잡아먹는 새나 동물들을 피해서 물을 향해 필사적으로 달아나는 것이다.물론 물 속에도 위험은 도사리고 있지만 물 속에 들어가는 순간 그들은 엄마 품 속에 들어간듯한 편안함을 느끼리라..

이 책에서는 오직 두 마리의 새끼 거북만이 바다에 도착하여 바닷 속에서 서로 도와가며 살아가는 생물들을 만나게 된다. 망둥어와 새우, 말미잘과 흰동가리, 고래 상어와 가다랭이 등이 서로를 도와 살아가는(공생 관계) 것을 보면서 서로 도와가며 사는 것의 잇점을 알게 되는 것이다. 두 거북 형제는 사이좋게 지내자고 다짐을 하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아이가 동생과 사이좋게 지내야 하는 이유와 잇점을 알게 되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