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읽기의 달인, 호모 부커스 ㅣ 인문학 인생역전 프로젝트 5
이권우 지음 / 그린비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읽기에도 달인이 필요하다?! 제목을 보면서 책을 읽는 일에 무슨 '달인'이랄 것까지 있는가? 의문이 들었다. 늦은 나이에 책 읽는 재미에 빠지다보니 '달인'이 되고 싶어서라기보다는 그냥 호기심에, 궁금해서 '그' 책을 읽게 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해서, 이 책이 출간되고 온라인 서점에 들어올 때마다(난 거의 하루 종일 온라인 서점에 죽치고 산다) 눈에 띄는데도 불구하고 거들떠보지 않았다. 아마도 '호모 부커스'는 뭐람? 했을 것이다. 검색해볼 생각도 않고 말이다.
인간의 눈은 자고로 겉으로 드러난 아름다운 것에 일단 눈길을 주는 경향이 있어 책의 경우에도 펼쳐보지 않으면 제목이나 표지, 내 취향에 끼워 맞춰 보기 십상이다. 또한 책에도 인연이라는 게 있어 피하고 피하였는데 읽게 되는 경우가 있다. 물론 내가 책에 대한 리뷰는 뒷전이고 이런 쓸데없는 말을 늘어놓는 까닭은 이 책의 진가를 알아보지 못한 나의 실수에 대한 변명 정도라고 생각해주면 좋겠다. 아무튼 나는 내 '눈'에 내 취향도, 그렇다고 썩 마음에 드는 제목의 책도 아닌 이 책을, 피하고 피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어찌어찌하여 내게 굴러 들어왔다. 그런데 세 페이지를 넘기는 순간 구매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기에 이르렀으니 이 책과 나는 운명이라고 할밖에.
내가 이런 쓸데없는 말을 하는 이유는 공감하는 부분도 많았거니와 리뷰라기보다는 페이퍼에 가까운 독후감을 써대는 것이 나의 습관이라 저자의 독후감에 대한 글에 심히 공감하여서이다. "독후감은 말 그대로 읽고 나서 느낀 소감을 적는 것이다. 책의 내용이나 얼개만 정리하는 게 아니라는 뜻이다. 그 책을 나의 삶이라는 문맥 속에 넣었을 때 어떤 감흥이나 문제의식이 떠올랐는지가 주제가 되어야 한다." 물론 그렇다 해도 책 내용은 하나도 없이 내 이야기만 잔뜩 늘어놓으면 리뷰라기보다는 에세이가 되어버리겠지만 "지금 우리는 학자들이 쓰는 서평이나 평론을 쓰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기억하자." 옳은 소리! 갑자기 리뷰 쓰기가 한층 편안해졌음은 말할 것도 없다.
내가 이 책을 읽고 딱 내 수준이라고 말하면 저자가 기분 나쁠지도 모르겠다. 내 리뷰라는 것들을 보면 나의 책읽기는 소설이라는 분야에 지극히 편중되어 있고 리뷰라고는 하지만 내 개인적인 책 기록장에 불과한 글들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그렇다고 생각하시면 된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이고 공감하는 곳에 밑줄 좍좍(삼색 펜은 아니었다. 나는 주로 빨간 줄을 긋는다.) 그었으니 기분 나쁘거나 말거나 내 수준인 걸 어쩌나.
그동안 책읽기나 글쓰기에 관한 책을 읽어왔다. 내가 글을 쓰고자 하는 목적이라기보다는 책을 좋아하고 읽는 입장에서 책읽기, 글쓰기라는 키워드는 늘 호기심을 돋게 하니 말이다. 근데 초반부터 날 사로잡는 책은 없었다(이만한 칭찬(!)이면 저자의 수준을 내 수준으로 끌어내려도 봐줄 것 같은 예감이 들긴 한다. 흐흐). 내 스스로 판단하여 책을 고르고도 몇 페이지 읽으면 따분해져서 던져버리기 일쑤였다. 그런데 이 책은 달랐다. 읽으면 읽을수록 공감이 가고 빠져들었다.(아, 칭찬도 과하면 욕인데;;)
깊고 느리게 읽어라. KTX보다 완행열차가 좋은 점은 느리게 가기에 풍광을 즐길 수 있는 여유가 생기는 거다. 책은 사랑을 가르쳐주고, 남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의 다른 이름이며, 지식을 획득하는 가장 좋은 매체이다. 책은 무엇이 참된 삶인지 가르쳐주기도 한다. 또한 책읽기의 가치는 남을 이해하는데 있고, 살다 보면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이 없다는 것을 깨달으며, 고전이 오래된 지혜라는 것을 알게도 한다. 또 주변에 술친구 많듯이 책을 좋아하면 책 좋아하는 친구들이 많을 것이다. 좋은 책을 고르는 기준은 그들에게 있다. 그 책을 썼거나 만들거나 파는 사람이 아닌데도 자발적으로 그 책이 좋다고 떠벌린다면 믿어도 좋을 것이다. "세상 살아가면서 많은 친구가 필요하지만 책 많이 읽는 이를 가까이 두는 것도 행복이다." 옳소! 어쩌면 구구절절 고개 끄덕이는 말씀만 하시는지…
가끔 좋은 책을 만나면 나도 모르게 칭찬 일색의 글을 쓴다. 나만의 애정 표현이다. 허나 책이란 그렇더라. 내 스타일엔 딱 맞는 멋스러운 안성맞춤의 옷인데 남이 입으면 폼 안 나는 고리타분한 구식의 옷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그러니 항상 책을 선택할 때는 친구의 권유라 할지라도, 나 같은 칭찬 일색의 책일지라도 훑어보고 공감해주시길!!^^
지은이가 이 글을 보았다면 불쾌할 수도 있다. 책 내용을 정확하게 요약한 것도 아니고, 주장의 옳고 그름을 가늠하지도 않았다. 그저 읽은 이의 푸념만 늘어놓았을 뿐이다. 하지만 독후감을 쓰는 사람에게 저자는 하등 고려의 대상이 아니다. 늙어 감이라는 주제에 외려 나는 20대를 떠올렸고, 나이 들어가면서 그때의 건강한 꿈이 훼손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위의 글이 독후감의 표본일 수는 없지만, 이런 류의 독후감도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은 사실이다. 지은이와 책은 사라지고 읽는 이의 감정과 느낌만 오롯이 남는 것, 내가 가장 좋아하는 독후감이다. 소설가 김연수의 다음과 같은 글은 나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는 듯하다.
(…)좋은 독자라면 소설가가 어떻게 바람소리를 생생하게 묘사했는지보다는 그 바람소리를 통해 자신이 무엇을 상상할 수 있었는지 말할 수 있어야만 한다. 소설은, 가끔 이럴 경우 삶처럼 위대해진다. p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