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드
코맥 매카시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로드』라는 제목을 보고 책을 펼치는 순간 머릿속에 떠오르는 장면은 하나의 영상이다. 나무 한 그루 없이 넓디넓은 끝이 안 보이는 황폐한 사막과도 같은 황야, 이어서 폐허가 된 도시, 보는 것만으로도 지치게 만드는 끝이 없는 길. 어느 것 하나 위협적이진 않지만 공포를 느끼게 한다. 저절로 숨이 멎는다.
서로가 세상의 전부인 아버지와 아들이 있다. 끊임없이 이어지는 끝이 없는 길을 걷는다. 그들이 원하는 것이 어디에 존재하는지는 그들도 모른다. 오로지 걷고 또 걷는다. 도시는 파괴되었고 사람들은 죽었으며 살아남은 자는 나쁘거나 그 나쁜 자들의 먹이(?)일 뿐이다.
그 어떤 공포소설보다도 더 두려움을 가지게 한다. 그들은 왜? 무엇 때문에? 어디로? 가는 것일까? 과연 그들은 원하는 곳에 도착할 수 있을까?
공포란 존재하지 않는 유령이나 귀신의 모습이 아니다. 공포란 언제 덮칠지 모르는 굶주린 사람들이며 추위이고 현실이다.
열렬하게 신을 말하던 사람들이 이 길에는 이제 없다. 그들은 사라졌고 나는 남았다. 그들은 사라지면서 세계도 가져갔다. 질문: 지금까지 한 번도 없었던 일이라고 해서 앞으로도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코맥 매카시의 문체는 묘하다. 따옴표 없는 대화들은 그대로 정적을, 감정을 여과 없이 전해준다. 문장들은 공포가 되었다가 아름다운 시로 변하고 다시 아픔과 충격으로, 두려움으로 변한다. 그리고 너무나 놀라운 충격적인 장면들이 나타날 때마다 내 목소리마저 삼켜버린다.
맙소사, 맙소사, 오 맙소사!
우리가 사는 게 안 좋니?
아빠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글쎄, 나는 그래도 우리가 아직 여기 있다는 게 중요한 것 같아. 안 좋은 일들이 많이 일어났지만 우린 아직 여기 있잖아.
우린 아직 여기 있잖아…
글 속에 가득한 절망들 속에 비치는 한줄기 희망, 살아 있어야만 마주할 수 있는 그 희망. 그리고 마침내 책을 덮었을 때 전해오는 그 찌릿한 감동이라니!
지도와 미로. 되돌릴 수 없는 것, 다시는 바로잡을 수 없는 것을 그린 지도. 송어가 사는 깊은 골짜기에는 모든 것이 인간보다 오래되었으며, 그들은 콧노래로 신비를 흥얼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