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위해 웃다
정한아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4월
평점 :
『달의 바다』로 문학동네작가상을 받았던 정한아가 첫 소설집을 펴냈다. 전작의 따뜻함이 오래도록 남아 있는지라 반가운 마음에 책을 받자마자 내리 읽었다. 표제작인 「나를 위해 웃다」를 시작으로 모두 여덟 편의 단편이 수록된 소설집엔 전작에서 보여주었던 삶에 대한 따뜻함과 긍정적인 마인드가 어김없이 들어가 있다. 특히 표제작인 「나를 웃다」에서 '나'의 엄마에 대한 이야기는 독특하면서도 꽤 매력적인 단편이었다.
불행해보이지만 전혀 불행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인생, 독자인 나로서는 읽으면서 내내 어이없는 일들에 화가 나, 너무나 무덤덤하게 대처하는 엄마를 보면서 '아휴, 정말'하곤 혼자 분노했지만 읽으면 읽을 수록 마음 저 깊은 곳에서 차오르는 알 수 없는 체념과 무관심이 마지막에 "이제 엄마도 혼자가 아니었다."라는 문장을 보는 순간, 아, 하는 안도의 한숨과 함께 그들 모녀가 동시에 느꼈던 "편안함"을 나도 같이 느끼고 말았다.
이러한, 아프고 힘들었겠으나 앞으론 편안해지고 행복해질 거라는 자기 암시의 긍적적인 글들은 다른 단편들에도 나타난다. 어머니가 집을 나가고 버려지다시피한 '나'는 '온종일 창밖으로 목을 내밀고 길거리를 내려다보며' 아버지를 기다렸으나 그 아버진 '나'의 존재를 보류한 채 새 가정을 이룬다. 유리 조각으로 아버지의 등을 찔러 집을 나온 후 찾아든 사창가에서 '나'는 나를 찾는 어머니의 소식을 접하지만 이별한 종은 다시 합쳐지지 않는 것을 믿으며 과거의 끈을 놓아버린다.(「아프리카」), 불구에 변변한 직업도 없는 아버지 대신 직장을 다니던 노곤한 엄마가 다른 남자에게 흔들리는 것을 보고도 말없이 잡아주며 '품위'를 유지하던 아버지, '품위에 대해서라면, 언제나 아버지는 옳았다.'고 말하던 딸의 생각에서 가정의 지키기 위해 엄마를 감싸 안아주는 아버지로 인해 앞으로 펼쳐질 미래의 삶에서는 그 어떤 바람에도 꿈쩍하지 않을 것이라는 걸 알게 되기도 한다.(「댄스댄스」)
그 외, 이상한 동거를 하고 있던 '나'는 남자의 아내와 아이가 찾아오는 주말엔 요양원에 있는 할머니를 찾는다. 그 과정에서 "내 삶은 늘 어딘가 텅 비어 있었단다. 나는 항상 내가 절름발이처럼 느껴졌어. 그런데 기억이 늘어날수록 내 삶이, 이해가 돼. 구겨져서 보이지 않았던 부분들까지" 라고 말하며 "나는 구름처럼 높은 곳에서 나를 바라본단다."는 할머니의 말을 듣고 존재가 가늘어지는 진짜 외로움을 느끼며 '나'는 남자와 이별을 준비한다.(「휴일의 음악」)
이렇듯 과정으로 보면 「휴일의 음악」에서 할머니가 느끼듯이 '삶 어딘가 텅 비어 있는' 듯 해보이지만 결론적으로 보면 결국 인생이란 나아갈수록 이해가 되고, 그 이해로 인해 「나를 위해 웃다」의 모녀처럼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정한아의 소설들은 버려지거나, 혹은 이별하거나 불행해보이지만 그럼에도 무너지지 않고 다시 일어서서 새로운 삶을 다시 받아들이겠다는 씩씩한 의지가 느껴져서 좋다. 더불어 그녀가 표현하는 인간관계의 소통 방식은 무덤덤하고 아픔을 내보이지 않으면서 그 아픔을 전달하기에 해를 거듭하면서 점점 성숙해지며 깊이가 보인다. 그래서 정한아만의 따뜻한 문체와 함께 바라보는 삶의 긍적적인 태도는 '아무런 목적이나 가치가 없기에 아름다운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