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이혁규 지음 / 우리교육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수업을 잘 하려면 다른 사람의 수업을 많이 보라고 한다. 성공하는 수업에서든 실패하는 수업에서든 배울점은 얼마든지 건질 것이 있다고.
하지만, 수업공개라는 이름으로 준비된 수업들은 보여주는 수업으로서 실제 교실수업과는 많이 다를 때가 있다. 공개 수업을 하고 나면 꼭 아이의 일기장에 등장하는 말이 있다. 수업이 정말 재미있다고, 앞으로도 이렇게 수업을 이렇게 했으면 좋겠다고... 그 글을 읽으면서 많이 미안하기도 하지만, 모든 수업을 그렇게 기획하여 하기란 사실 쉽지가 않다.
공개수업을 하면서 딜레마에 빠지는 것 중 하나는 보여주는 수업으로서의 쇼적인 분위기에 대한 비중을 어느 정도 주어야 할까라는 것이다. 수업을 보러 오시는 분들에 대한 예의로 뭔가 보여드리긴 해야겠는데... 그로인해 준비과정이 더욱 고민스럽고 시간도 많이 걸리고... 그래서 수업 준비가 더욱 힘들어지는! 심할 때는 수업목표 도달에 대한 고민보다도 동기유발에 대한 고민으로 주객이 전도된 수업을 짜고 있는 듯한 자신을 만날 때가 있다.
이 책은 정말 잘 쓰여졌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의 비평의 눈이 날카롭고 배울 점이 많으며, 실제 수업을 하신 선생님들의 의식이 남달라 굉장히 많은 가르침을 받았다. 책의 마지막 장에 제공되는 책 속 수업에 대한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배려까지. 책의 구석구석 정성이 느껴지는 책이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함께 읽은 아이들의 반응은 살아있는 교실 수업을 느끼게 한다. 아이들의 반응에 대한 열린 분위기~ 사실 저런 말을 공개 된 수업 시간에 하게 되면 수업자가 당황스러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내용도 많이 있었으나 그 모든 것은 수업 중에 허용되어 있어 보기 좋았다. 각본대로 억지스럽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잘 짜여진 선생님의 의도에 맞게 철저한 계획 속에 살아 움직이는 아이들을 만날 수 있어 참 좋았다.
하나 아쉬운 점은 저자가 사회과를 전공하다 보니 모든 수업비평이 사회과에 국한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적용해 보고 싶은 내용들이 많아 무척 유익한 공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