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털 없는 기러기 보르카 비룡소의 그림동화 7
존 버닝햄 지음, 엄혜숙 옮김 / 비룡소 / 199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명한 존버닝햄 작품이라는 것을 알고는 있었는데, 이제야 책을 만나게 되었다.

플럼스터씨와 플럼스터 부인이라는 기러기 부부에게서 아기 기러기 여섯 마리가 태어났는데, 그 중 보르카는 깃털이 하나도 없었다. 엄마는 그런 보르카를 위해 포근한 회색옷을 지어 주지만, 그 회색 옷도 보르카를 모두와 같은 모습이 되게 해 주지 못했고, 다르다는 이유로 보르카는 자신이 없어지고, 남과 똑같이 공부도 할 수 없게 된다. 수영 수업을 하고 싶어도 잘 마르지 않는 털옷을 말리는 것도 힘이 들고... 형제들로부터도 놀림을 받는 것은 어린 보르카에게는 무척이나 견디기 힘든 일이었으리라. 날이 추워져 모두들 떠나갔지만, 보르카는 떠나지 않았고, 더욱 슬픈 것은 그것을 아무도 눈치채지 못했다는 거다. 그러다가 크롬비호라는 배에 타면서 보르카는 새로운 친구(파울리라는 개, 매칼리스터 선장, 프레드)를 만나게 되고 자기 몫의 일을 하게 되면서 자신감도 얻게 된다. 템스강으로 들어 온 배는 일년 내내 온갖 기러기들이 살고 있는 커다란 공원인 큐 가든에 보르카를 놓아둔다. 이별은 슬프지만, 정말 다행스러운 것은 큐가든의 기러기들은 보르카를 이상한 눈으로 보지 않았다는 거다. 이상한 털옷을 입었다고 웃지도 않았으며 모두들 친절했다는 것. 그곳에서 런던에 올 때마다 보르카를 보러 오는 파울리, 선장, 프레드를 기다리면서 새로운 친구들을 다시 사귈 수 있게 된 보르카. 참 다행이다.

다르다는 것, 그것 때문에 다른 사람의 시선을 한 몸에 받아야 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 중의 하나다. 보르카가 그 어려움을 이길 수 있도록 도움을 준 많은 친구들이 있어 정말 다행이다. 그리고 나와는 뭔가 다른 사람들에게 던질 나의 시선도 점검해 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기한 그림족자 - 비룡소 창작그림책 10 비룡소 전래동화 5
이영경 글 그림 / 비룡소 / 200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씨방 일곱동무>>를 그린 작가의 작품이다. 그래서 더욱 기대가 많이 되었다.

이야기는 ‘서정오’선생님의 책을 통해서 먼저 만났다. (내용이 조금 다른 부분이 있긴 하지만, 이야기란 원래 하는 사람에 따라서 조금씩 바뀌니까.)

일단 그림풍도 맘에 들고, 이야기도 재미있어 아이들은 무척 재미있어 하면서 책을 읽지 싶다.

전우치는 한자경이라는 불쌍한 사람에게 가서 족자를 주면서 고지기에게 100냥을 달라고 해서 아버지 장례를 치르고, 매일 한 냥씩 주면 그것으로 만족하면서 살라고 이야기 해 준다. 만약 욕심을 부렸다가는 큰 낭패를 얻을 것이라는 거다.

전우치가 준 족자에는 곳간 하나와 고지기 하나가 그려져 있다. “고지기야....”하고 부르면 곳간을 지키던 고지기가 나와 돈을 주고 가는 거다. 처음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다. 욕심도 없었다. 그런데... 사람이 먹고 살기가 편안해지면 욕심이라는 것도 스물스물 피어나는 것.  땅을 사고 싶은 욕심으로 결국 고지기에게 많은 돈을 요구하고 들어주기 곤란해진 고지기는 한자경을 금은보화 가득한 곳간으로 데리고 간다. 한자경은 욕심껏 가득 망태기에 주워 담는다. 그런데, 나오고 싶은데 문은 잠겨 있고, 아무리 고지기를 불러도 대답이 없다. 한참 문을 두드리는데, 나타난 사람은 고지기가 아니였다. 그 곳간은 나랏님의 살림을 보관하는 곳이었고, 한자경은 나랏님 살림을 훔치는 도둑놈이 된 것이다. 곤장을 맞던 한자경을 전우치가 호랑이를 이용해 휘리리~ 구해주었고... 집으로 돌아간 한자경의 족자에는 곳간만 있고 더 이상 고지기는 없더란다.

아무리 후회한들 소용없고, 전우치 말대로 이제는 힘닿는 대로 열심히 사는 수밖에 없다. 이것이 참 삶인 것을 한자경이 알아야 할텐데...

자고로, 욕심을 부리면 안 된다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잘잘잘 1 2 3 (양장) 사계절 아기그림책 2
이억배 지음 / 사계절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아이가 처음으로 어린이집 다닐 때 초등학교 부설이어서 운동회날 어린이집 아이들의 공연을 함께 했다. 그 때 한복 입고 이 노래를 불렀다.

“하나 하면 할머니가 지팡이를 짚고서 잘잘잘, 두울 하면 두부 장사....”

그 생각이 나는지 이 책을 펼쳐 들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노래를 한 곡 뽑는다.

글 한 면, 그림 한 면으로 구성된 이 책은 노래를 흥얼거리게 하여서 좋기도 하고, 글 못 읽는 우리 아들 혼자서 그림만 쳐다봐도 너무 재미있을 것 같아 만족스럽다. 귀여운 표지의 여우를 보면서 아이들은 즐거운 맘으로 책을 넘겨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ookJourney 2008-09-30 06: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 이런 책이었군요. 저도 도서관에서 찾아볼래요~~
 
저승사자에게 잡혀간 호랑이 - 저승이야기 우리 문화 그림책 12
김미혜 글, 최미란 그림 / 사계절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발했다. 옛이야기의 새로운 창조. 난 이 책이 무척 맘에 든다.

호랑이 한 마리가 저승사자에게 잡혀 갔다. 그 호랑이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나오는 나쁜 호랑이였다. 저울로도 잴 수 없는 용서받을 수 없는 죄 때문에 지옥단련을 받게 된다. 가마솥 지옥, 얼음 지옥, 혓바닥 쟁기질 지옥, 독사 지옥... 그리고 한 번 더 착하게 살도록 기회를 받아 다시 호랑이로 태어나게 된다. 어떤 호랑이로 태어났을까???(맞춰 보세요.)




두 번째 호랑이가 죽었을 때 저승사자와 함께 저승에 가서 거울로 비춰보는 자신의 과거 모습은 바로 우리 남편을 울렸던 ‘은혜 갚은 호랑이’였다. (딸 아이에게 전래동화 읽어주다가 몇 번이나 눈물을 찍고야 만 그 유명한 동화^^)

저승대왕들은 착하게 산 호랑이에게 다음 생에서는 사람으로 태어나도록 해 준다. 그리고 한 마디를 덧붙인다. “착하게 살면 좋은 곳에 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읽은 아이들은 착하게 살아야겠다고 맘을 먹겠지?!

책도 맛깔스럽지만, 책장을 덮으면 나타나는 속표지가 무척 인상적이다. 까만 바탕에 그림자 그림이 하나 그려져 있고, 할머니와 아이가 이야기를 나눈다. 그리고 책을 덥기 전에 그 이야기를 마무리 한다.
“할머니, 할머니, 옛날 이야기 하나 해 줘.”
“오늘은 무슨 얘기 해 줄까? 우리 강아지.”
“오싹 오싹, 무서운 얘기!”
“그럼 지옥에 간 호랑이 얘기 하나 해야겠구나.”

“할머니, 그 호랑이가 진짜 사람이 되었어?”
“그럼. 저승대왕이 말했잖아. 사람으로 다시 살라고.”
“할머니, 그 호랑이는 엄마 말도 잘 듣고 할머니 볼에 뽀뽀도 하고, 착한 사람이 되었을 거야!”
“우리 강아지가 그걸 어떻게 아누?”
“그걸 왜 몰라. 저승 사자에게 두 번이나 잡혀간 호랑이가 바로 난데. 어흥!”

옛 이야기 들려 주는 할머니가 없는 우리들은 이런 이야기책을 열심히 읽어야 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차 ㄱ ㄴ ㄷ 비룡소 창작그림책 7
박은영 글.그림 / 비룡소 / 199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자 놀이를 해 보세요.

ㄱ~ㅎ까지 글자 공부를 해 봅시다.

기차, 나무, 다리, 랄랄랄, 마을, 비바람, 숲속, 언덕, 자동차, 창문, 컴컴, 터널, 풀밭, 해를 이용하여 재미있는 이야기를 지어 보아요. 이 책이 바로 이 단어 하나하나를 연결하여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낸 그런 책이랍니다. 왼쪽 페이지에서는 커다란 글자를 만날 수 있고, 오른쪽 페이지에서는 그림을 만날 수 있어요.

기차가 지나가는 길을 따라 글자 여행을 해 보세요.

*사실 이 책은 아이에게 글자를 가르칠 욕심으로 일찌감치 구입을 했어요. 그런데, 아이는 자꾸 책을 들이미는 엄마 맘과 달리 이 책을 썩 좋아하진 않았어요. 시기가 아니었던 거지요. 이 책을 통해서 글자를 익혀 나가야겠다는 욕심만 버리면, 아이는 글자를 익히고 난 후 혼자서 책을 가져다 읽는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