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는 왜 유명할까? - 걸작으로 보는 서양미술사
아멜리아 아레나스 지음, 정선이 옮김 / 다빈치 / 2002년 1월
평점 :
절판


미술 7단원 조형의 아름다움을 공부하면서 아이들에게 우리만의 미술 자료집을 만들자고 자료를 들고 오라고 했더니 은석이가 멋진 모나리자 그림을 하나 오렸다. "그래, 바로 이런 거 가지고 꾸미면 된다. 어디서 사진 구했노?"하니까 책 하나를 가리킨다. 멀쩡한 책 하나가 미술공부라는 이름하에 난도질 당할 뻔한 찰나. 

"은석아, 이렇게 좋은 책을 오리면 안 된다. 이 책 너무 재미있겠네."했더니 "선생님 읽으실래요?"한다.
아~ 읽을 책도 잔뜩인데, 이 책은 또 언제 읽나?
그래도 요즘 내가 음악, 미술에 너무 무지함을 생각하면서 그쪽으로 책을 좀 읽어야겠다고 생각하던 차라 냉큼 받아들고 보기로 했다. 

책을 다 읽은 느낌은
'참 재밌다.'는 것과 '기대이상!'이라는 것.

레오나르도 다 빈치(1452~1519)의 <모나리자>
산드로 보티첼리(1445~1510)의 <비너스의 탄생>
미켈란젤로(1475~1564)의
             <피에타>, <다비드>, <시스티나 성당의 천장화>
카라바조(1571?~1610)의 <바쿠스>
디에고 벨라스케스(1599~1660)의 <라스 메니나스>
외젠느 들라크루아(1798~1863)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에두와르 마네(1832~1883)의 <올랭피아>
클로드 모네(1840~1926)의 <수련>
빈센트 반 고흐(1853~1890)의 
               <빈센트의 의자>, <자화상>, <해바라기>
에드바르드 뭉크(1863~1944)의 <절규>
파블르 피카소(1881~1973)의 <게르니카> 등의 그림에 얽힌 이야기들을 재미있게 풀어놓았다. 그리고 화가의 심리라던가, 시대의 배경이라든가... 그런 것들을 정말 지겹지 않게 잘 풀어내었다는 느낌이 든다.

내가 사 둔 곰브리치작의 35000원짜리 엄청 두꺼운 책(서양미술사)도 재미있게 펼쳐 들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영리한 공주 난 책읽기가 좋아
다이애나 콜즈 글, 로스 아스키스 그림, 공경희 옮김 / 비룡소 / 200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 아레트 공주는 보석세기만을 좋아하는 아버지의 서재에서 책 읽기를 즐긴다. 15살에 서재의 모든 책을 다 읽은 공주.

공주의 선생은 왕에게 달려가 "큰일 났습니다. 임금님. 공주님이 정말 영리합니다."라고 말하자 왕이 똑똑한 여자를 아내로 맞이하려는 남자가 어딨겠느냐고 딸아이 시집 보낼 생각에 걱정이다.

왕자들의 청혼을 시시하게 생각하는 영리한 공주에게 나쁜 마법사 복스가 청혼을 한다. 공주의 영리함을 시험하기 위해 자신이 세 과제를 낼 것인데 만약 실패할 경우 목을 베어도 좋다는 각서를 왕에게 받아냈다. 보석을 잔뜩 주고. (무정한 아버지)

점쟁이가 아레트 공주 때문에 이 다음에 죽을 지도 모른다고 해서 마법사는 그 전에 공주를 없애고 싶었다.

공주의 시녀 또한 마법사인데(그 사실을 숨기고 살았지만) 공주에게 아주 위급한 상황에서 쓸 3가지 마법을 부를 수 있는 세 개의 금반지를 준다. 쓸데없는 데 쓰지 말라는 당부와 함께!

공주는 그림도구를 불러서 복스가 가둔 침침한 지하실에 그림을 그리고, 옷짓는 도구를 불러서 예쁜 옷을 지어 사람들에게 선물도 하고, 그리고 글쓰는 도구를 불러서 재미있는 이야기도 짓는다. 

공주가 수행해야 할 3개의 과제는

영원의 물이 솟는 우물에서 물을 떠 오는 것

독수리 둥지에서 아픈 사람을 낫게 하는 마법의 루비를 꺼내 오는 것

그리고 외로운 초원의 말을 데리고 오는 것(사람들이 올라타지 못하게 저항을 함)이다. 

이 동화에서 난 공주가 마법사의 힘을 빌리지 않고 스스로의 힘으로 이 모든 일을 다 해냈다는 것. 그리고 그것은 엄청난 힘이 아니라 부드러움이었다는 것. - 그것이 무척 새롭고 인상적이었다.

우리 주위에서 만난 비슷한 류의 동화에서는 모두 외부의 도움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그 때문에 우리는 어려움에 처할 때 누군가의 도움을 애타게 기다리게 되는 것은 아닐지...

2~4학년 아이들이 읽으면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절마다 이야기 구구절절 - 우리 절에 얽힌 옛이야기
이슬기 지음, 전병준 그림 / 해와나무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책 제목이 너무 근사해서 손이 끌려 샀던 책이다.

우리 나라 절에 전해져오는 전설이 이 책 속에 담겨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이 다음에 우리 아이들 크면 이 책을 읽히고 절을 한 번 순례 해 보는 것도 유익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절에는 우리 나라의 국보, 보물들도 많으니까 그것도 직접 눈으로 보면서 말이다.

보문사에 전해오는 이야기-불씨를 얻어 온 돌부처님
신륵사에 전해오는 이야기-구렁이가 된 여인
상원사에 전해오는 이야기-문수 동자를 만난 임금님(상원사 동종)
낙산사에 전해오는 이야기-산자락에 묻힌 꿈
부석사에 전해오는 이야기-하늘에 뜬 바윗돌(무량수전 배흘림 기둥)
불국사에 전해오는 이야기-신선들이 붙여준 돌 조각
(김대성의 현세 부모를 위한 불국사, 내세 부모를 위한 석굴암)
관음사에 전해오는 이야기-바다 건너 온 부처님
내소사에 전해오는 이야기-아직도 못다 지은 절

이 중에서 부석사와 상원사 이야기는 널리 알려져 있어서 다른 책(어린이 문화 유산 답사기)에서도 만날 수 있었다.

불국사는 우리가 수도 없이 가 본 절이다. 가까이 있기 때문에. 하지만, 그저 지나치는 것들도 많으리라. 아는 것 만큼 보이고 보이는 것만큼 느낀다(?)-정확한가 모르겠네-했던가? 미리 알고 간다면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으리라.

부석사는 그 주변 경치가 정말 빼어나다는 생각을 했었다. 다음에 한 번 더 꼭 와보리라 했었던 곳이다.

신륵사는 아마 여주 도자기 축제에 갔을 때 배를 타고 들어갔던 곳인 것 같은데... 정확한 가 모르겠다. 입장권 뒤에 뱀이 어떻고 하는 전설이 적혔었던 기억이 어렴풋이 난다. 

절의 여러 가지 건축이라든가, 절을 보는데 도움이 되는 책이 있으면 읽고 싶어서 이 책을 샀는데, 조금 부족한 느낌은 든다. 솟대니, 부도니, 단청이니, 무량수전이니... 그 용어가 뜻하는 것들을 자세히 적은 책을 한 번 더 찾아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아이들이 읽어야 할 경제 이야기 - 이야기 보따리 경제 학습, 고침판
박상률 지음 / 사계절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이야기 보따리 경제 학습이라는 글이 표지에 적혀 있었는데, 그걸 이제서야 보았다.

책을 볼 때는 먼저 책 표지부터 꼼꼼히 읽어야 한다고 한다. 그 책 표지는 작가와 출판사가 가장 공을 들인 곳이란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첫인상이 사람의 마음을 많이 움직일테니까...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이렇게 재미있고 유익한 책을 왜 우리 반 친구들이 한 명도 읽지 않았을까 하는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우리 반은 독서 카드가 책 뒤편에 꽂혀 있어서 누가 이 책을 읽었는가 하는 기록이 남게 되어 있다. 아이들의 책 선별 능력??? 개학 후 학교에 가면 책 광고 좀 해야겠다.

이야기와 함께 경제용어를 쉽게 풀어 써 두어서 거부감없이 지식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책이다.

저자는 경제 학자가 아니라 대학에서 문예창작을 지도하는 분이고 시, 동화, 소설, 희곡 등을 쓰는 문학을 하는 분이라서 그런지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솜씨가 딱딱하지 않아 좋았다.

먹고보자 도깨비와 주렁주렁 도깨비의 이야기에서 자원의 희소성이 설명되었고, 재화, 용역, 보이지 않는 손,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등의 많은 경제 용어들이 나온다. 내가 하나 가져도 참고도서 하기에 참 좋을 책이다 싶다. 꼭 읽어 보아라. 아이들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우리 소리는 좋은 것이여 - 큰 소리꾼 박동진 우리 인물 이야기 14
송언 글, 김세현 그림 / 우리교육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비 몰러 나가자. 우리 것이 소중한 것이여~" 라는 CF로 한 때 화제가 되었던 박동진 옹.
소리꾼이 되기 위해서 큰 스승을 따라 떠난 배움의 길

득음을 위해 절에 올라가서 100일간 소리만을 내 지르던 일. 그리고 그 과정에서 똥물을 마시고, 피를 토한 일 등... 많은 이야기가 책 속에 있다.  

하나를 이루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배움을 위해 온 몸을 다 바치고 그렇게 하여 명인의 경지에 오르셨고, 당대의 고수들로부터 판소리 다섯 마당(심청가, 춘향가, 수궁가, 적벽가, 흥보가)을 전수 받고 그것을 완창하신 분. 하나를 완창하려면 그 긴 가사를 다 외워야 하며 몸은 얼마나 힘이 들꼬? 5~9시간이 걸린다니 말이다. 

 
2003년에 세상을 떠나셨다 한다.

이름이 난 분은 우리랑은 많은 부분이 다른 것 같다.

그 하나가 끈기라는 생각이 든다.

포기하지 않고 한 길을 걷는 자-성공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