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쟁이 열세 살 사계절 아동문고 59
최나미 지음, 정문주 그림 / 사계절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은 책을 읽을 때 자신의 처지와 비슷한 이야기를 읽으면 공감하여 빠져든다고 한다. 아니, 이것은 책을 읽는 모든 사람이 그러하리라. 이 책은 아이들에게 많은 공감을 불러 일으키면서 속도감 있게 읽힐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걱정들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쿨 하고 싶지만 그렇지 못한 성적 문제, 친구 문제(이성 친구 문제까지), 그리고 복잡한 가정사 문제... 그래서 13살 아이들은 걱정쟁이들일 수 밖에 없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멋모르던 어린 시절과는 달리 이제는 무언가를 알만한 나이도 되었으니 이런 저런 걱정들이 마음을 복잡하게 하지 않을까 싶다.

주인공 정상우는 삼 년 전에 집 나가신 아빠가 그립다. 하지만, 아빠 이야기만 하면 우는 엄마 때문에 아빠 이야기를 마음대로 할 수도 없고, 성격 까칠한(아니, 어쩜 담백한) 누나 때문에도 많은 것이 힘들다. 학교에서 선생님은 아빠와 함께 참여하는 야영에 가라 하지만, 함께 갈 아빠가 안 계신다. 그렇지만 그런 속사정을 다른 사람들에게는 알리고 싶지 않다. 친한 친구에게조차도. 방학 숙제로 낸 탐구 보고서는 아빠와 함께 갯벌에 간 체험을 주제로 하였는데, 인터넷을 이용해 거짓으로 꾸민 보고서였다. 물론 아빠와 함께 그런 체험을 하고 보고서를 쓰고 싶은 간절한 마음을 담은 그런 내용이지만... 한데, 그 보고서가 턱 하니 상을 먹어 버린 거다. 그래서 복도 환경으로 붙게 되는데... 상우가 꾸민 홈페이지에 자주 들르는 오폭별(오백년  전에 폭발한 별에서 온 외계인)에게는 이런 모든 걱정 고민을 다 이야기 하는데...상우의 거짓 보고서의 실체가 어느 날 학교에 가니 모두 드러나 버렸고, 오폭별의 정체가 다른 반 아이라는 것을 안 상우는 오폭별이 바로 모든 것을 폭로한 장본인이라 생각해 버린다. 그리고 자신의 모든 처지를 친구와 선생님 앞에 이야기 하고는 집을 나갈 생각을 하는데...  그러나... 친구들이 상우의 모든 것을 알게 된 것은 오폭별 때문이 아님을 알게 되고, 상우의 가출 결심은 걱정쟁이로 살더라도 가족 안에 머무르면서 함께 있겠다는 쪽으로 결론 난다.

걱정없는 자 누구이겠는가? 그 걱정의 크기가 크다고 해서 더 큰 고민을 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자신이 감당할 정도의 걱정이면 참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것을 이겨내는 지혜를 키워 나가는 것도 우리 아이들이 감당해 내야 할 과제가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8-11-19 04: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괜찮았어요~~ 충분히 공감할만하죠.^^
 
이솝 우화와 라퐁텐 우화
조동호 엮음, 변해정 외 그림 / 키다리 / 2006년 1월
평점 :
절판


어린 시절 이솝우화를 정말 많이 읽었다. 그리고 정말 재미있다고 느꼈다. 요즘 아이들도 이솝우화를 그렇게 많이 읽을까?

이 책에는 정말정말 유명한 이솝우화 13편 실려있다. 그리고 조금 생소한 라퐁펜 우화도 재미있게 읽었다.

내년에 학교 들어 갈 우리 아이는 "난, 이렇게 두꺼운 책이 참 좋아."라고 하면서 이 책을 반긴다. 두껍고 글도 제법 많지만, 글자가 크고 그림도 지면 한가득이라 잘 읽히나 보다. 진짜 재미없을 것 같은 책을 붙들고도 재밌다고 보는 아이가 신기한데... 이전에 아이가 본 책들을 생각할 때 이 책은 아이의 환영을 무척 받을 책이다. (이 책은 엄마 눈에 재미없어 보이는 책이라는 뜻은 아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이 재미있게 읽을 이솝우화-가장 기본적이고, 유명한 이야기로 구성되었다고 보면 된다.-가 들어있는 책이니 한 번쯤 아이들에게 읽게 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베스트르
에릭 바튀 글 그림, 함정임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4월
평점 :
품절


나무를 심는 실베스트르! 그가 나무를 심기만 하면 나무는 금세 쑥 자란다. (나무의 요정?)

그가 심은 전나무 꼭대기에서 바라 본 도시에 가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 가 보니 도시는 나무 한 그루, 꽃 한송이가 없이 삭막하기만 하다. 실베스트르는 도시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면 씨앗을 뿌리고 도시는 이제 더 이상 삭막하지 않다. 사람들은 실베스트르에게 감사하며 나무를 심겠다고 약속하지만, 시간이 흘러도 그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 그리고 잠이 들었는데, 눈을 떠 보니 커다란 광장에 커다란 전나무가 우뚝 솟아 있어 사람들이 약속을 지켰음을 기뻐하며 자신의 정원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정원 끝의 전나무는 사라졌고 그 나무 둥치에서 바라 본 도시에는 뾰족한 전나무 꼭대기에 금빛 별 하나가 반짝이고 있더란다.

그리고 눈을 감고 실베스트르가 꾸었다는 꿈은 뭘까? 만약 그 꿈이 이루어진다면....

이야기는 이렇게 여운을 주고 끝나는데. 실베스트르는 마음씨 고운 요정(?)이니까 아마도 좋은 방향으로의 꿈을 꾸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인간들이 한 짓이 조금, 아니 많이 고약한 짓이기는 했지만, 그래도 그 인간들을 뉘위칠 수 있게 하면서도 도움을 주는 그런 어떤 근사한 일을 생각해 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11-19 04: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11-19 06: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생각하는 미술 2: 형 생각하는 미술 2
필립 예나인 지음, 김혜숙 옮김, 김정 감수 / 마루벌 / 1997년 4월
평점 :
절판


시리즈 도서구나.

내가 가진 것은 '형'에 관한 것인데...

그림 그리며 노는 것을 좋아하는 우리 아이에게 딱이라는 생각이 든다.

미술에 있어 '형'을 설명하면서 유명한 명화들을 가지고 와서 설명하는데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설명이 부담스럽지 않아 좋다.

가령, 형에는 아주 반듯한 것도 있고(몬드리안의 '콤퍼지션') 그렇지 않은 것(장 아르프의 '우연의 법칙에 따른 배치')도 있다고 이야기 해 주는 식이다.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는 작품은

조르즈-페에르 쇠라 <<유럽 연주회에서>>

폴 고갱 <<세 마리 강아지가 있는 정물>>

카시미르 말레비치 <<절대주의자의 요소 : 원>>

카시미르 말레비치 <<절대주의자의 요소 : 사각형>>

피에트 몬드리안 <<콤퍼지션>>

장 (한스) 아르프 <<우연의 법칙에 따른 배치 (사각형 콜라주)>>

파울 클레<<대저택의 정원>>

데이비드 스미스<<무제>>

알렉산드라 엑스터 <<에너지 수호자>>를 위한 의상 디자인

파블로 피카소 <<호르타의 제분소>>를 위한 습작

살바다르 달리<<누드 습작>>

게오르게 그로츠 <<기술자 하트필드>>

폴 세잔느 <<사과가 있는 정물>>

파블로 피카소 <<세 악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를 사랑해
팀 원즈 그림, 마이클 콜먼 글, 박민정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마리의 고릴라는 서로 호감을 갖고 있지만, 자신의 외모에 대해 자신이 없다. 상대의 모습이 최고로 좋아보여 그 모습을 닮으려고 조지는 조금 먹고, 운동을 하고 몸을 쫄라 맨다. 마찬가지로 실비아도 많이 먹고 운동을 하고 온 몸에 솜을 갖다 붙이는데... 좋아한다는 말할 용기가 나지 않아 상대가 좋아할 만한 외모라고 생각하는 모습으로 바뀌기 위해 노력하는데, 무대회장에서 자신이 그렇게 좋아하던 조지와 실비아의 모습을 찾을 수가 없다.

무도회장에서 서로의 모습을 알아보지 못한 채로 한숨을 쉬다가 서로를 찾고 있는 한숨 섞인 말을 듣고 자신을 옭아매고 있던 밧줄을 끊고 가짜 다리를 벗어 버리고 솜뭉치를 떼어 내 버리자 원래의 조지와 실비아의 모습이 등장한다.

안녕, 크고 튼튼한 조지!

안녕, 날씬하고 귀여운 실비아.

둘은 서로에게 정말 잘 어울리는 모습으로 그렇게 행복하게 살았더란다.

속표지에 떨어져있던 빨간 하트 두 개가 마지막 속표지에는 나란히 붙어 있어 행복한 결말에 한 번 더 미소짓게 한다.

누군가를 좋아한다는 것은 눈에 콩깍지가 끼는 일이다. 어떤 모습이라도 다 맘에 드는 것. 하지만, 그것을 거짓으로 치장한다면 콩깍지가 벗겨졌을 때 곤란한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는 일. 사랑을 한다면 자신의 모습을 제대로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며, 또 타인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우리 아이가 이 책을 보면 좋아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