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재의 궁극의 문화기행 2 - 건축가 김원 편 이용재의 궁극의 문화기행 시리즈 2
이용재 지음 / 도미노북스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인상깊은 구절


이 책은 선생 개인의 기록이기보다는 대한민국 현대 건축사다. 기록이다. 후학들이 이 책에서 많은 영양분을 얻어 대한민국 인문학적인 건축의 위대함을 전 세계에 알려주기를 기대한다.


이용재의 궁극의 문화기행


  궁극이라는 말은 어떤과정이나 마지막이나 끝을 말합니다. 혼용되는 용어로는 피니쉬라고도 말하기도 합니다. 도미노북스의 이용재의 궁극의 문화기행을 그대로 보자면 이용재가 말하는 문화기행의 마무리쯤으로 해석해서 볼 수 있을듯 싶습니다. 수많은 문화기행 관련 책들이 많이 있지만서도 이용재 만의 문화기행책은 언제나 작가의 삶에서 궁극을 지향하고 있는듯 싶습니다.

  <이용재의 궁극의 문화기행>을 읽다보면 그러한 느낌이 더욱 강하게 듭니다. 작가의 파란 만장한 삶 속에서 궁극의 위치에 서서 지금까지 경험하고 배워오고 바라본 것들을 정리해서 펼친 글을 보면 궁극이라는 표현이 잘 어울린다고 생각이 듭니다. 새삼 스럽게 수많은 문화기행 책 가운데 한권의 책이 더해졌다고도 말할 수 있을지 몰라도 '이용재'라는 인물의 삶과 그가 말하고픈 문화기행의 삶을 정리하는 글에서 궁극의 문화 기행을 통한 새로운 관점을 배워봅니다. 
 


건축가 김원의 실록


  <이용재의 궁극의 문화기행1>이 우리나라 각지에 흩어진 다양한 이색문화를 경험하고 정리하였다면 2권은 건축가 김원 선생님에 관한 실록입니다. 역대 제왕의 사적을 편찬한 책이라고도 알려진 '실록'이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쓰일때 있는 그대로를 사실대로 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작가는 책의 서론에도 이러한 입장을 명백히 드러냅니다. 선생의 제자도 아니고 사무실 출신도 아닌 그럼에도 불구하고 10년간 김원과 교제하면서 그의 이야기를 나누었던 작가는 있는 그대로의 김원의 모습을 다양한 건축물을 통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한가지 궁금 하실 겁니다. 개인에 대한 지대한 관심이 문화기행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김원의 경력과 삶 그리고 그가 남긴 건축물들을 보면 그 답이 보입니다. 대한민국 건축 역사에 자신의 족적을 남긴 건축가 김원의 작품들은 현대 건축 양식에서 빠질 수 없는 한국의 문화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10년간의 인터뷰와 작가가 가지고 있는 수많은 기록들은 건축가 김원을 말하면서 동시에 대한민국 건축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김원의 삶과 예술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건축을 함께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용재의 구수한 입담 그리고 쉬운 글


  작가 이용재는 소위말하는 구수한 입담을 가진 인물입니다. 사실 주의를 표방하며 비관적인 밑바닥을 뚫고 올라온 성향은 낙천적이고 해학이 묻어난 글들의 영양분이 되어줍니다. 전편과 마찬가지로 이용재 식의 글쓰기는 재미와 실감 그리고 중독을 함께 자기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입으로 먹고사는 느낌이 들 정도로 재담가인 이용재의 글은 독자들로 하여금 쉽고 재미있는 문화기행으로의 초대와 동반자의 역할을 해줍니다.

  <이용재의 궁극의 문화기행>의 구성은 쉽고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서도 중요한 지식에 있어서도 게으름이 없습니다. 진지할때는 진지하고 가벼울때는 가벼운 그의 책은 봄바람과도 같은 나긋 나긋함과 괴팍스러운 느낌을 더해줍니다. 문화를 사랑하고 함께 나누기를 소망하는 작가의 글에서 우리는 무엇을 발견할 수 있을까요?

  대한민국의 수많은 문화를 우리는 모두알지 못합니다. 시간은 그것들을 오늘의 우리에게서 미래의 우리에게 옮기우며 때로는 망각의 틈사이로 문화를 밀어 넣기도 합니다. 알지 못하는 곳에서 망각되어버린 수많은 작품들 그리고 그 작품들을 우리에게 가져와서 알려주는 작가들이 있습니다. 이용재 작가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작가들과 마찬가지로 혼신을 다하고 진정을 담아서 글을 씁니다. 한 가지 차이가 있다면 그의 글에는 남들보다 조금더 즐거운 느낌과 경쾌함 그리고 중독성이 있다는 것 정도입니다. 작은 차이지만 이 차이가 크게 느껴집니다. 문화기행 한번쯤 모두와 함께 떠나보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 - 풍경과 함께 한 스케치 여행
이장희 글.그림 / 지식노마드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인상깊은 구절

흥망성쇠, 흥한 적이 있으면 쇠하게 되는 날이 오고, 언젠가 다시 번성하는 날도 찾아오리라. 

 서울의 시간을 담다
 
  시간이 흘러가면서 많은 것들이 바뀝니다. 어릴적 보았던 청계천의 고가도로가 사라지고, 달과 가깝다고 해서 붙여진 달동네는 어느덧 아파트가 자리하게 되었습니다. 책 속에 실려 있던 숭례문은 방화 사건을 통해 재건축을 하고 있으며 광화문 사거리에는 광장이 조성되어 사람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사랑받는 장소로 탈 바꿈 되었습니다.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변화되는 것들을 바라보며 때로는 그 때 그 장소가 그대로 남겨져 있다면 어떨가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변화하는 모습만을 바라보아서인지 변하지 않는 모습이 그리워 집니다. 이러한 그리움이 고조되는 가운데 만나게 된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 이장희 작가가 바라본 풍경은 스케치를 통해서 오늘의 서울을 묘사합니다. 책 속의 수많은 풍경들이 변치 않는 풍경이 되어 독자들의 가슴에 와 닿습니다.
 
풍경 속으로 떠나는 시간 여행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는 서울의 곳곳에서 만나볼 수 있는 풍경을 스케치로 담아 냅니다. 작가 이장희가 바라본 풍경은 스케치로 재 탄생되어 그만의 독특한 감성을 담아 채색되거나 흑백의 스케치로 되어 변하지 않는 풍경을 가지고 싶은 독자들의 마음과 시선을 사로 잡습니다. 그가 머무른 장소들이 손 끝에서 피어나 책 속에 담겨져 독자들에게 전해질때 우리는 작가의 시선과 작가의 생각을 함께 접하게 됩니다. 서울의 풍경을 바라보며 그곳에 있는 이야기들은 때로는 아늑함을 때로는 그리움을 전해줍니다. 우리내 곁에서 바쁘게 변해 가는 서울의 모습이 책 속에 간직되어 있는 모습을 바라본다는 것은 특별하고 독특한 느낌을 가지게 합니다. 시간의 멈춤을 바라보며 그곳에 머무르지 못했음에도 책을 통해서 만난 풍경이 낯설이 않은 것은 작가와 독자의 하나됨의 장소가 서울이라는 실재 공간이기 때문만은 아니겠지요.
 
서울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는 서울 곳곳에 있는 풍경의 이야기를 함께 전달하고 있습니다. 때로는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기도 하며 때로는 일상의 이야기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현실 속에서 만나는 서울의 공간 그곳에는 공간마다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리고 저자는 공간 속 이야기를 스케치와 함께 전합니다. 서울에 살지만 서울을 다 보지 못하고 살아가는 사람도 많습니다. 머나먼 이국을 여행하면서도 서울의 곳곳을 살펴보지 못한 사람도 많습니다.
  여러 공간에 담겨진 소중한 이야기들 그곳의 이야기를 보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서울이라는 공간의 이야기는 얼마나 더 많이 있을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리고 우리가 알지 못하는 곳에서는 우리가 몰랐던 이야기가 세월과 함께 사라져 가고 있다는 생각도 함께 해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 그리고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변화로 인해서 사라져가는 공간과 변치 않는 모습으로 그 자리에 남아있는 공간들 수많은 공간과 이야기가 살아 숨쉬는 서울에 대해서 천천히 다시 살펴보고 싶습니다.
  서울이 풍경이 좋습니다. 그리고 시간을 사랑합니다. 풍경과 함께하는 스케치 여행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 아름답고 소중한 서울의 모습이 다양한 감성이 반영되어있음을 책을 통해서 다시 확인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4
J.M.G. 르 클레지오 지음, 김윤진 옮김 / 민음사 / 200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40년 출생인 작가 '르 클레지오'는 프랑스를 대표하는 현대 작가이다. 작가는 신화적인 세계에 관심이 많으며 현대 문명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여러 작품들을 내놓았다. '르 클레지오'의 이러한 관심사는 작품 <<조서>>에도 반영되어 나타난다. 작품 속 주인공 '아담 폴로'도 이러한 작가의 관심사를 이해한다면 쉽게 생각나는 두 인물이 있을 것이다. 이렇듯 작품을 읽기전 작가의 생각과 관심사를 이해할 경우 작품의 주제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길들이 조금씩 열린다는 점은 문학작품의 공통된 분모가 아닐까 싶다.

<<조서>>의 서문에서 '르 클레지오'는 자신의 작품에 대하여 너무 진지하고 지나친 매너리즘, 그리고 장황암으로 인해 실패한 작품처럼 보일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자신의 작품이 계속 발전하여 완성된 소설이 될 희망을 가지고 글을 써나간다고 말한다. '르 클레지오'의 서문은 작가의 작품이 앞으로 그리고 비록 불안전한 내용일지라도 성장해나가는 작품을 만들어 낼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게 한다. 분명 <<조서>>는 작가와 독자 모두가 아직 접하지 못한 영역으로 확장해나가는 작품이다. 그렇기에 작품은 독자들과 함께 이야기 하며 생각할 수 있는 작가와의 만남의 공간이다.

<<조서>>는 그 시작부터 의도적으로 혼란스럽고 추상적인 이미지가 더해져 있다. 주인공 '아담 폴로'는 혼미한 그리고 혼란스러운 정신 세계를 갖추고 있다. 그의 정신 공간 가운데서 던져지는 질문들은 사고의 전환 가운데서 나오는 질문들이다. 예를 들자면 오늘날 매트릭스와 같은 세계 가운데 '아담 폴로'를 비롯한 '모두'가 빠져있는건 아닌라가라는 생각이다. 세계의 실존 가운데서 자신이 실존하는 인물인지에 대한 자아 정체성을 뒤집어서 자신의 자아 정체성을 만들어낸 세계 자체가 가짜가 아닌가라는 의심은 과거의 다른 작품들과는 분명 다른 모습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아담 폴로'의 대화나 행동을 이해하기란 극히 어렵다는 느낌을 독자들은 받을 것이다. 아마도 작품 속 많은 주제들이 '아담 폴로'의 대화나 행동에서 드러나지만서도 그의 행동과 말 그리고 사고는 논리적이지 못하고 비연속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비연속적인 주제들의 나열 가운데서도 작가는 현대 사회 문명에 대한 거부로서의 몸짓을 보여주는 '아담 폴로'의 행동과 예언자처럼 쏟아내는 '언어'가 존재한다.
  작가는 '아담 폴로'에 관하여 세밀하게 조명하면서 '아담 폴로'를 통해 문명을 향해 일갈하는 것이다. 기독교전 관점과 서양의 철학 가운데서도 높은 곳에 올라 아래를 향해 외치는 '아담 폴로'의 외침이 얼마나 닿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작품은 처음시작 처럼 '혼란'과 '혼미'함이 혼재되어 있으며 작품 속 주인공 조차도 자신의 정체에 대해서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모든 것에 대한 비판과 부정으로 인한 파괴적인 행동의 끝에서 창조되는 그 무언가를 나는 아직 보지 못했다. 세계는 아직 그대로이고 결국 파괴된건 '아담 폴로'라는 사실만이 공허한 메아리로 다가와 나의 뇌리와 감성을 자극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변신·시골의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
프란츠 카프카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세기의 대표적인 실존주의 작가로 구분되는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과 그외의 단편들을 번역해서 소개하는 <<변신.시골의사>>는 파격과 충격이라는 미사여구가 어울리는 작품이다. 카톨릭의 교의와 기독교의 가르침이 만연한 유럽에서 유대계의 독일인 작가인 '프란츠 카프카'는 고정된 사고관에 대하여 반기를 올렸다. 자다 일어나보니 벌레가 되었다는 파격적인 설정은 그 결말에 이르러서도 썩은 사과에 등이 맞아 죽어간다. 작품이 발매될 당시의 문학의 흐름을 본다면 이 작품이 오래전 독자들에게 얼마나 충격적이었을지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살아 생전에는 작품이 올바르게 평가되지 못하였지만 사후 작가 '프란츠 카프카'에 대한 문단의 평가는 '전설'이라고 불려도 될 정도였다고 한다.

<<변신.시골의사>> 외의 단편집으로 이뤄진 '프란츠 카프카'의 작품들은 기이하면서도 고독한 한편으로는 정체성에 대한 여행으로 점철된 작품들로 이뤄져 있다. 작가는 자신의 작품들을 통해서 현대 문명의 부조리를 보여주고 한편으로는 정체성을 상실하고 포기하는 문제에 대하여 '변신'이라는 극단적인 형태를 독자들에게 보여준다. 어느날 자고 일어나니 벌레가 되었다는 소재는 어찌보면 비현실적인 이야기지만 주인공의 죽음에 대한 냉정한 묘사와 평가는 실존주의 문학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몸'의 변화와 더불어서 '가족'에서 '소외'되고 무시되는 모습은 현대의 문제점들의 보편적인 또 다른 모습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사람의 자아가 가지고 있는 가치의 무게가 과연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독자는 '프란츠 카프카'의 글을 통해서 질문하고 또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언제나 믿고 있던 것들에 대한 배신감과 죽어가는 벌레로서 묘사된 작가 자신의 모습은 '생'을 뛰어넘어 이야기되는 '자아'의 끝을 향해서 나아간다는 느낌을 준다.

외면적 가르침과 내면적 가르침을 통해서 나타나는 '프란츠 카프카'에게로의 접근은 짧지만 강렬한 충격적인 <<변신.시골의사>> 외의 다양한 단편을 통해서 경험해볼 수 있다. 비록 독자는 '프란츠 카프카'의 특이하고 괴상한 작품이라는 인상을 경험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란츠 카프카'의 작품을 통한 꾸준한 접근은 시간이 흐를수록 계속될 수록 독자의 자화상이였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명과학 교과서는 살아 있다
유영제.박태현 외 지음 / 동아시아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분은 '생명과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생명과학 교과서는 살아 있다>는 우리가 배우는 교과서에 나오는 다양한 생명공학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 쓴 교과서입니다. 흔히 '생명과학'이라고 말하는 분야는 암기 위주의 학습을 하는 학문을 생각하기 쉽습니다. 이러한 잘못된 인식가운데  '생명과학' 과목은 지루하고 학문의 본질적 의미를 잃어버린채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생명과학'은 정말 암기위주의 학습에 의해서 공부되어져야 할까요? '생명과학'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을 추구하고 있을까요? 다양한 질문들에 대해 <생명과학 교과서는 살아 있다>는 기존의 우리의 잘못된 혹은 부정적인 이해와 인식에 관해 바른 해답을 답변해줍니다.

'암기'가 아닌 '참여', '주도적인 학습'

  <생명과학 교과서는 살아 있다>의 부제는 '생명과학이 세상을 구할것이다.' 입니다. 우리는 자연과학과 생명과학이 가지는 차이와 유사점 그리고 추구하는 방향에 대한 다양한 것들을 책을 통해서 배울 수 있습니다. 배움의 영역에서 책은 분명한 목표를 설정하고 독자들에게 '생명과학' 영역의 바이오 테크놀로지의 현 주소와 미래 방향을 흥미 있게 저배볼 수 있을 것입니다. 단순히 '생명과학'을 암기하던 학생들에게 책이 가지는 독특한 특징은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올듯 합니다. <생명과학 교과서는 살아 있다>는 독자로 하여금 암기위주의 학습방법보다는 참여와 주도적인 학습을 추구합니다.
  기존의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와 생명공학이 연계되면서 이러한 학습 특징은 더욱 두드러지게 됩니다. 쉽고 재미있는 설명은 '생명과학'이 우리의 삶과 어떻게 관계되어지며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알게 합니다. 독자는 '생명과학'을 읽고 깨닫고 실천하며 자신의 새로운 지혜와 지식의 장을 활짝 열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책이 가지고 있는 모두를 위한 세상을 구하고자 하는 첫 시발점은 바로 독자 자신이 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생명에 대해서 얼마나 아시나요?

  생명현사의 특성은 무어신가요? 여러분이 먹는 음식의 영양소와 소화는 어떻게 이뤄질까요? 생명활동이 이뤄지는 순환계와 호흡 생식활동과 유전과 다양성과 환경등 생명과학 주제는 다양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생명과학교과서는 살아 있다>는 고등학교의 교고 ㅏ내용과 연계 되는 내용을 가지고 있지만 고등학교 교과서보다 흥미있고 재미잇는 책입니다.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미처 다루지 못하거나 혹은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책을 통해서 새롭게 이야기 되는 장면을 읽으면서 우리는 '생명'에 대한 이해와 '기술'이 함께 만나 무엇을 만들어 나가는지를 이해하게 됩니다.
  책의 전체적인 내용을 외우기 보다는 참여와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통해서 읽어나간다면 '생명'에 관한 다양한 논의와 생각들을 책에서 찾으며 또한 새롭게 추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생명에 관한 소중함과 배려 그리고 우리가 앞으로 추구해야 할 것들을 배우면서 '생명'에 관한 다양한 것들을 배울 수 있다는 점이 책의 매력이라고 생각하는 바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