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니마와 아니무스 ㅣ 분석심리학의 탐구 2
이부영 지음 / 한길사 / 200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들은, 특히 여학생들은 심리학에 대해서 상당한 관심을 갖는다. 나도 인간의 심리와 무의식에 대해서 많이 알려고 노력한 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심리에 대해서 안다고 자부할 수 없다는 걸 알게 되었다. 심리학은 인간의 심리를 알아 맞추는 술법이 아니라, 과학적인 경향성을 파악하는 거란 걸 말이다.
개인적으로 프로이트보다 융을 좋아한다. 프로이트는 너무 남성적이기 때문이다. 내 속의 아니마가 프로이트를 거부하는 거란다. 내 속의 무의식, 아니마는 융처럼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걸 좋아하지, 프로이트처럼 상징적이고 주술적인 결론은 수용하기 힘들어한다.
한때 우리 나라에도 젊은 지성은 불가시리같은 권력에 맞부딪혀 부서지는 것이 미덕이던 때가 있었다. 난 그 시절에 대학을 다닌 것을 아직도 불행이라 생각한다. 난 대학 시절 오직 하나의 생각밖에 없었다. 빨리 졸업해버리고 말았으면 좋겠다는. 그 당시의 저항 논리를 부정했던 것이 아니라, 난 원래 그렇게 생겨먹었던 인간인 것이다. 박봉성 만화에 나오는 강타같은 야인보다는, 맹수의 눈빛을 번득이며 자신의 적의 급소를 노리는 들짐승보다는, 따스한 햇살과 점진적인 합리의 성숙을 갈망하는 아니마가 내 속에 잠자고 있음을 이 책을 읽으며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난 사극을 싫어한다. 사극의 주인공들은 풍운의 시대를 억세게 이겨낸 인물들이기 때문이다. 차라리 눈물 찔찔 짜는 멜로물은 가끔 어깨 너머라도 보는 편이다.
자신(셀프)을 안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임을 안다. 그러나 내 청년 시절, 스스로 머저리가 아닐까? 괴로워했던 한 시대를 떠올리면, 광적인 세계가 만드는 광적인 인간상의 시대를 벗어난 지금은 어느 정도 자신에 대해 더듬어 보는 것이 정신 건강상 좋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그다지 잘 쓴 책은 아니다.
일반인이 읽기에는 문체가 딱딱하고, 그리고 개념 정리가 요목화되지 않고 잡다하게 분산적이다. 전문적 서적 치고는 논리적이지 못한 글이다. 어떤 교수의 강의 중에 융을 들으면서, 프로이트에 대한 저항의식을 극복해보고자 이 책을 샀건만, 읽는 동안 좀 괴로웠다고 할 수 있다. 내 수준에 안 맞아서.
그렇지만, 나의 내면을 좀 다른 각도에서, 다른 용어로 보게 되었다는 건, 상당한 수확이었다. 결국 살아가면서, 스트레스적인 상황에 직면할 수 밖에 없지만, 그 상황을 어떻게하면 현명하고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 누구나의 관심사일 것이다. 자신에 대한 이해가 스트레스의 상황을 강박적으로 대처하지 않고 넘어갈 수 있는 받침에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