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귀고리 소녀
트레이시 슈발리에 지음, 양선아 옮김 / 강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베르메르란 작가에 대해 전혀 몰랐던 것은 내 무지의 소치만은 아니리라. 이런 작가들에 대해 조금씩 알게 되는 것이 후진국 국민을 벗어나는 것 같아 다소간 즐거운 기분이다.

해야 할 일을 산더미같이 쌓아 두고서 책 읽는 스릴은 남다르다. 그럴 때는 보통 책을 빨리 읽게 된다. 그런데 나는 그리트와 빨리 헤어지고 싶지 않았다.

그리트의 하녀로서의 삶은 내 군대생활을 떠올리게 했다. 남의 아랫사람이 되어 아는 일이 거의 없는 공간에서 마음 졸이며 사는 피곤하기 짝이 없는 타인의 삶의 시간들. 그래서 그리트가 맘에 들었고, 그리트 편이 된 것이다.

그림으로 재구해 낸 역사. 픽션. 재미있는 설정이었고, 그림에 대해 화룡점정의 순간이 갖는 법열을 보여주는 읽어주는 그림책이다. 그림 읽어주는 많은 큐레이터들이 있지만, 역시 설명에는 설명문보다 문학적인 손맛이 느껴져야 맛깔스럽다.

난 시를 가르치다가 아이들이 낯설어하면 직접 소설을 쓴다. 콩트라고 해야겠지만... 그 이야기를 읽어주면, 아이들은 간혹 정말인 줄 믿는다. 시의 낯설게 하기가 형상화를 통해 구체성을 띠게 되면 더 잘 보이게 된다고 믿는다.

내가 콩트를 쓰면서, 아이들에게 읽어주면서 아이들 눈에서 읽어내는 재미를 이 책에서 발견하게 된다. 예술이란 상상의 날개를 펴도록 이끌어 주는 메리포핀스가 드나드는 입구와도 같은 거니깐.

왜 터번을 둘렀으며, 입을 살짝 벌렸으며, 반짝이는 귀고리의 윤기가 포인트가 되었는지를 픽션으로 재구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술 이해의 방법일 수 있음을 만나게 되어 반가운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적의 화장법
아멜리 노통브 지음, 성귀수 옮김 / 문학세계사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코스메틱끄
화장법.

이것이 아멜리 노통의 화두다. 화장을 해 본 여성이라면 알리라. 화장을 하기 전의 자기 모습과 화장한 뒤의 자기 모습이 얼마나 달라 보이는지를... 그래서 화장하고 난 뒤의 자기 행동은 화장하기 전의 자기 행동과 상당히 달라질 수도 있음을... 코스메틱끄는 나를 나 아닌 존재(타자)로 만들어준다는 비밀을 간직한 용어이다. 나는 나인가? 나는 나라고 주장한다면, 화장을 해서는 안 된다. 페미니스트들이 화장을 싫어하는 이유는 '나'라는 여성을 부정하면 페미니즘 자체가 상실되기 때문이다. 화장술은 페미니즘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내 속에는 내가 아닌 나(非我)가 들어 있다. 노통은 열 두 살 때부터 자라온 창조적 파괴자인 非我를 찾아내서 그릴 뿐이라고 한다. 참으로 솔직하고, 정직할 따름이다. 나도 아무에게도 보인 적 없고, 보일 수 없는 열두 살의 창조적 파괴성을 떠올릴 수 있다. 사춘기라는 평범한 이름으로 부를 수 없는 殺意 번득이는 시절이 있었다. 그 非我를 적이라고 생각하지 못했을 뿐이다. 그를 무의식중에 잊고 살다 보니 적이라는 것도 잊고 만 것일까. 노통은 그 오랜 무의식 속에 잠겨 있던 非我를 살려내는 데 성공했을 뿐이다. 이 책을 비난하는 사람들은 그런 메타포를 읽어내지 못했을 뿐이다.(그의 '적'은 프로이트의 'id'의 다른 번역이다.)

결국 이 이야기는 자기의 경험을 '텍스트'로 구성해 냈을 따름이다. 박진감 넘치는 긴박한 대화를 통해서 직조하듯이 자기의 경험을 얽어내는 데 성공했다. 화장한 모습에서 전혀 느낄 수 없는 섬뜩함을 보여주었을 따름이다. '我와 非我의 투쟁'을 보여주고 있는 이 소설은, 모순의 변증법적 통일체로서의 '나'를 적나라하게 들여다보고 있다.

인생은 생로병사의 과정이라 한다. 태어나고 늙어가며 병들고 죽는 것이 고통이라고 한다. 난 이 말에서 궁금한 게 있었다. 태어나는 게 왜 고통일까... 나이를 들어가며 느끼는 건, 生이 태어나는 게 아니라, 살아가는 것이란 거다. 산다는 것은 가장 큰 고통이란 말이 아닐까. 그래서 생로병사의 제일 화두가 '生'이 아닐까?

신경림 시인이 발견한 '갈대'의 울음처럼...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것.
갈대는 저를 흔드는 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 것을
까맣게 몰랐다.
---산다는 것은 속으로 이렇게
조용히 울고 있는 것이란 것을
그는 몰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양장)
이케다 가요코 구성, C. 더글러스 러미스 영역, 한성례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글을 읽을 줄 알고, 자가용도 있고, 컴퓨터도 있고 대학교육도 받았으므로... 이 메일을 읽기도 했으므로... 무장단체의 협박을 두려워하지 않아도 되므로...

숫자의 힘은 대단하다. 어른들은 숫자를 좋아한다. 빨간 벽돌집에 사는 담쟁이 장미가 탐스럽게 핀 가정의 아이보다는 의사집 아들로서 80평 짜리 아파트에 사는 우리 반 1등짜리 친구를 데리고 오는 아들을 뿌듯해 한다.

어른들의 약점인 숫자를 이용해서, 그것도 백분율로 조금 과장된 면도 있지만, 우리는 많은 것을 생각해야 함을 배운다. 내가 살고 있는 순간들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를 관념적으로 헛돌고 있을 때, 내 주변에서 얼마나 많은 일들이 살아 움직이고 있는지를 생각해 볼 일이다.

아직은 늦지 않았음을. 나는 그 비열한 편에 서지 않아야 함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新 국어독본
윤세진 지음 / 푸른숲 / 2000년 3월
평점 :
품절


국어선생치고 이런 책 한 권 내 보려고 맘 먹지 않았던 사람 누가 있으랴. 국어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들을 정리해 보고 싶은 맘이야 누구에게나 있으리라만, 능력과 기회가 안 되니 대부분 포기하고 말지. 나는 알라딘 덕분에 이런 잡문으로 풀게 되어 고맙게 생각한다.

학교에서 아이들을 몇 가르치지 않았으면서도 참 많은 생각을 책에 담아 놓았다. 그리고 아이들에게 가르쳐 주었으면, 하는 이야기들을 다 담아 놓고 있다. 의욕이 넘치는 젊음이다. 그는 386세대는 아닌, 387세대다. 386세대만큼의 고루함과 무거움을 털어버릴 수 있었고, 톡톡튀는 개성을 드러낼 수 있으면서도 완전한 새 세대는 아니다.

국어교육에서 다루는 언어와 국어 사용에 대한 문제를 광범위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의욕이 앞섰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기 적당한 사람은 저자가 겨냥한 고등학생이 아니다. 이 책을 읽어야 할 사람은 국문과 1년생 정도, 아니면 국어선생을 하려고 맘 먹은 사람들이 읽어야 할 책이다. 일반인에게 다가가기엔, 더군다나 고등학생에게 읽히기엔 너무 거대한 담론이란 생각이다.

시를 감상해야 한다면서, 실제로 아름다운 감상은 나오지 않는다. 언어를 오염시켜야 한다는 고종석의 의견을 그대로 드러내면서 너무 가볍게 생각한다는 우려가 들었다. 사실 하나 하나의 이야깃거리들이 책 몇 권의 연구로 나와야 할 저작들의 꼭지가 아닐까 하면서 읽었다.

책을 읽는 며칠간 (난 여러 권의 책을 동시에 읽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커피 카피 코피'란 소설을 같이 읽었고, 정수일의 이슬람 문명을 아직 읽고 있고, 조지오웰의 카탈로니아 찬가도 읽고 있다.) 그의 발랄한 사고에 공감하면서도, 제목이 걸렸다.
그처럼 우리 나라말만 고수하는 사람들을 비판하는 사람이 왜 '국어'라는 말을 여과없이 썼을까.

세계에서 국어라는 말을 쓰는 나라는 우리와 일본 뿐이다. 다른 국가들은 '모국어(mother tongue)'의 개념만 있고, 국어(national language)는 없다. 그런데 일본이 국어를 일본어로 바꾸려고 하고 있다. 그게 객관적인 것이다. 독본도 마찬가지다. 일본말이다. 본(本, 혼)은 책의 일본 말이고, 독본(讀本, 요미혼)도 일본말이다. 우리 나라 사람들이 본을 사러 가는가? 본점에 책 사러 가는가? 본을 읽는가?

사실 우리가 고민해야 할 덩어리는 한둘이 아니지만, 그의 지적 욕심에 질투가 나서 헐뜯고 있기도 하지만, 의욕이 앞서 너무 어려운 책을 만든 것이 아쉽다.

저자에게 바라는 점이 있다면, 한 5년 더 공부해서 그가 좋아하는 영화, 음악, 미술, 고고한 미술 역사까지 곁들여서 우리말(한국어)를 풍부하게 하는 책을 써 줬으면 좋겠다.(제발 복거일같이 사이코 같은 무리가 되어 일본말의 쓰리, 네다바이가 아름답다는 형편없는 자유주의자가 되지 말고) 병팔이에게 들려주는 이야기 형식이래도 어려운 내용은 어려운 내용이다. 정말 잘 아는 사람은 결코 어렵게 가르치지 않는다. <교실 밖 국어여행>이나 <문학이란 무엇인가(김대행)>을 보면 쉬운 책은 어떤 것인지를 알 수 있다.

한국어에 대한 사랑을 품고 더 깊이 공부해 주기 바란다. 깊은 지식을 고답적으로 풀어내지 말고, 정말 쫀득쫀득한 언어로 풀어낸 '국어독본'이 아닌 '한국어 읽기'책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등만화 맞춤법 - 맞춤법과 표준어법, 열린학교 스스로교실 6 열린학교 스스로교실 6
국립국어연구원 엮음, 신은균 그림 / 재능출판(재능교육) / 2003년 1월
평점 :
절판


표준어란 넓은 지역에서 다르게 쓰이는 말을 통일하려고 공식적으로 정한 말이다. 그 표준어를 기준으로 적은 것이 맞춤법이란 것이다. 지금의 맞춤법은 1998년 제정된 '한글 맞춤법'이라고 한다.

어른이 되어서도 글을 쓸 때 자신감이 없는 사람이 많다. 맞춤법이 자신 없다는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지금의 어른들이 맞춤법을 다 배우고 나서 개정되었기 때문에 자신이 없는 것이다.

어린이들이 올바른 맞춤법을 익히게 되면, 자신감이 없다는 생각을 줄일 수 있다. 어린이들은 낱자와 글자를 구별하지 않고 통째로 단어를 외운다. 어린 시절에 맞춤법이 익혀지면 평생 이용할 수 있다.

어느 정도 성장한 후, 맞춤법에 자신감을 가지려면 사전찾기를 생활화해야 한다. 학생들은 말할 것도 없다. 언어 능력의 기초는 사전 찾기다. 바뀐 맞춤법을 고민할 필요 없이 사전을 많이 찾아 보면 좋다.

그리고 이런 책들은 크게 맞춤법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읽을 때는 '아, 그렇구나.'하다가도 시험에 내면 헷갈리는 것이다. 자꾸 쓰고 읽으며 틀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특이한 맞춤법이 나오면 외워두고 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한 시간 동안 이게 맞고, 저게 틀리고 하는 식으로 공부해 봤자, 이틀 뒤면 싸--악 까먹는다. 천천히 하나하나 궁금할 때마다 찾아보라. 사전에서 찾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다.

유안진 시인이 평을 한 것은 조금 이상하다. 가정대 교수가 아동학에 관심이 있다손 치더라도 언어에 관련된 것은 좀 오버한 게 아닌가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5-03-13 11:1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