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별 여행자
류시화 지음 / 김영사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인도라는 땅은 지구의 블랙홀인지도 모른다. 적어도 류시화의 시선을 좇아 움직여 본 인도 사람들의 삶은 행복을 위한 여행, 그 자체이다. 늘상 '아 유 해피?'라고 인사하고, 인도 말을 하나 가르쳐 달라는 시화의 말에 처음으로 '아즈 함 바후트 쿠스헤!(오늘 난 무척 행복하다)고 가르쳐 줄 수 있는 행복의 달인들. 누가 행복할 수 있을 것인가. 어떻게 하면 삶에서 행복할 수 있는가? 이런 질문에 인도의 스승들은 '그대 자신이 행복하다는 사실을 매 순간 기억하라'고 알려 준다. 신은 언제나 어디에나 우리 안에 계시다는 것을 깨달으면 불행할 일이 없다.
그리스의 철학자 에픽테투스도 '삶에서 잃을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아무 것도 우리는 잃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도 '난 이러이러한 것을 잃었다'고 말할 것이 아니라, '그것이 제자리로 돌아갔다'고 말하면 마음의 평화를 잃지 않을 것이다.'고 했다. 늘 행복하고, 불행할 수 없으므로, 늘 '노 프라블럼'을 외치는 짧은 식민지 영어로 사는 사람들. 가장 가난하고, 가장 더럽지만, 가장 행복하고, 가장 신과 가까이 사는 사람들. 그 속에서 사기꾼같은 스승들도 만나고, 반딧불이로 홈시크를 고쳐준 소마의 따스한 사람의 마음. 주그누, 순다르 주그누(반딧불이, 아름다운 반딧불이)를 잊지 않고 사는 사람들이 거기 있었다.
우리는 불평을 하기 위해 온 것이 아니라, 배우기 위해 세상에 온 것인데, 우리는 얼마나 나의 신세에 대해 쉽게 불평하며 사는가. 내 자신이 초라해 보일지라도, 원숭이가 골프 경기를 방해할 때마다 원숭이가 공을 떨어뜨린 바로 그 자리에서 다시 시작하는 마음으로, 모든 것이 신의 뜻임을 이해하는 지혜를 가지고, 우리가 창조한 어제와 내일에 마음 태우지 말고, 신이 창조하신 '오늘'을 심호흡하며 살기를 간절히 바라게 해 준 고마운 책이다.
<하늘 호수로 떠난 여행>을 읽고 마음 속 울림이 너무 컸던 기억이 난다. 한 5년 전이던가. 이제 다시 류시화를 만나 보니, 지구별을 여행하는 그같은 사람이 있어, 이 좁은 서재에서도 네모난 산들과 온갖 더러운 것들을 감싸안고도 더럽지 않은 어머니 강, 갠지스가 내려다 보이는 영광을 누리고 있다. 몇 년 마다 한 번 씩 그와 함께 인도를 거닐고, 멍하니 대지의 어머니를 바라보는 일은 축복받은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