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에 흩날리는 비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24
기리노 나쓰오 지음, 권일영 옮김 / 비채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다크>를 먼저 볼까 했는데, 이 책이 '미로'의 첫 이야기라 하니 다행이다.


앞부분은 참 지루한데,

그리고 미로가 그닥 주요 인물도 아닌데,

요코의 실종을 둘러싸고 독일까지 공간이 오락가락 해서 정신이 없었는데,

마지막의 반전은 멋졌다.


최근에 읽은 <다마 모에>나 <아웃>에 비하면 역시 초기작이라 재미가 덜하다.


51년 생이니 67세 정도여서 아직 더 좋은 글을 기대해도 좋겠다.


무라노 미로 시리즈는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한다.


이 책을 시작으로 <천사에게 버림받은 밤>, <물의 잠, 재의 꿈>, <로즈 가든>, <다크> 같은 것이 미로 시리즈라 하니 우연히 만나면 읽게 되리라.


인간의 현실계는 참 뜻대로 안 된다.

인간은 그렇게 엉망진창인 부조리의 존재다.

세상의 질서 역시 그렇다.


소설의 상상계는 질서가 잡혀 있어 좋다.

현실계를 반영하지만, 현실계처럼 답답하지 않아 좋다. 그래서 소설을 읽게 된다.


중요한 건

이상하다고 느끼는 감성과 

왜인가를 생각할 줄 아는 상상력(243)


현실계는 이상하다.

그런데 그것은 왜 그런가를 생각하며 상상계로 빠지는 이야기가 소설이라는 걸

아버지의 목소리를 빌려 드러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쎄, 문학이라기엔 형상화에 실패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너무 뻔한 서술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한국에서 페미니즘 담론이라는 것이

지식인 사회에서 회자되는 논문식 글들이 많아서

일반인들이 읽어내기 쉽지 않다는 결정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고,

문학적 소양이 뛰어난 작가들은 팔리는 스토리가 어떤 것인지를 알고 있어서,

페미니즘 이야기를 담아내는 일이 흔하지 않기도 한 것이어서,

이 정도의 책이라도 충분히 박수를 보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표지에 분명히 <장편 소설>이라고 박아 놓았지만,

이 책은 <한국 여성의 현실>이라는 <르포>에 가깝다.


다만, 그것을 이러쿵저러쿵 떠들어 대는 것보다는,

김지영이라는 가장 평범한 한 여자 아이를 형상화하여 

여성이어서 힘겹고 불편한 상황들을 서술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다.


많은 드라마의 <여성>은 많은 것을 가진 <남성>의 애인이 되기를 희망하는 존재들이다.

얼마 전 인기를 끌었던 <아버지가 이상해>란 프로그램의 큰딸 역할은,

똑부러진 변호사 딸이자 아내, 여성으로서의 삶을 그리고 있지만,

스토리가 더 전개되어 아이를 낳아 기르게 된다면

또 나이를 더 먹어 직장생활에서 어떤 한계를 느끼게 된다면,

팍팍한 삶의 질곡에 드라마의 재미는 없어질는지도 모르겠다.


<무궁화~>라는 드라마에서도 

아이 딸린 무궁화는 거의 육아 장면이 등장하지 않고,

2중 연애의 당사자로 등장한다.

현실감이 너무 떨어진다.


이 책을 재미 없다든지, 잘못 썼다든지 하는 타박은 온당하지 않다.

쓴 약에는 단 옷을 입혀, <당의정>으로 만들어 먹듯,

페미니즘처럼 쉽사리 접하기 힘든 이야기를 이렇게 접근하는 일은,

한국에서 페미니즘이 어떤 위치인지를 깨닫게 하는일이다.


아직도 가장 진보적이라는 정의당조차 <메갈>에 대해서 손을 들어주지 못하며,

서울 시장님도 <퀴어 축제>에 박수를보내지 못한다.


페미니즘은 지식인 여성들의 잘난 체를 넘어섰고,

현실 여성들의 삶 찾기에서 이제 말하기가 시작된 느낌이다.

세계적인 추세는 모든 <소수자>들과의 연대 의식으로서의 페미니즘이 유행인 바,

한국 드라마의 문법을 좀 버리고,

한국 여성들의 현실을 좀 일깨우고, 소수자들의 편에 서는 의식의 진보를 경험하는 세상이 되면 좋겠다.


82년생 김지영, 은 

분명 이런 세상에 대한 알람이다.


남녀 동거에 대하여 <옥탑방 고양이>가 툭, 시작을 보여주었듯,

여성들의 목소리를 귀하게 여기는 담론들이,

이렇게 흔하게 만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세상이 참 많이 바뀌었다.

하지만 그 안의 소소한 규칙이나 약속이나 습관들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세상은 바뀌지 않았다.(132)


이제 여자 아이라고 대학을 안 보내는 시대는 지났다.

그렇지만, 크게 바뀌지 않은 세상 때문에,

한국 여성은 가장 차별 받는 존재라는 결과를 낳았다.


소소한 규칙, 약속, 습관들을 바꿀 때,

세상은 바뀐다.

세상은 결국 '내가' 바꾸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당 밀리언셀러 클럽 147
야쿠마루 가쿠 지음, 박춘상 옮김 / 황금가지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범죄 피해자가 가장 괴로운 순간은

가해자가 행복하게 살고 있음을 알았을 때다.

가해자가 자신이 저절렀던 범죄를

눈곱만치도 반성하지 않았음을 깨달을 때.(75)


영화 '밀양'이 떠오른다.

요즘 부산 폭행이나 인천 살인처럼 청소년 범죄에 대하여

최고형이 20년이라는 것에 대하여 사람들이 분노하듯,

가해자는 반성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자들이다.

세상은 이렇게 부조리하다.


사건 벌인 장본인은 담장 안에 들어가 보호를 받아요.(105)


닭 역시 그렇다.

범죄자 주제에 인권 운운하면서 투덜댄다.

지 아비가 감옥 인권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알면 좀 깨달으려나?


악당은 용서할 수 없다는 걸 잘 알아.

그래서 성가시기 짝이없는 용서 구하지도 않아.

바라지도 않고.

악당은 자신이 빼앗은 만큼 잃는다는 것도 잘 알아.

그래도 기어코 나쁜 짓을 저지르고 마는 인간, 그게 바로 악당.(242)


뻔한 주제의 뻔한 스토리지만,

악의 본질에 대해, 정의를 어떻게 해야 이룰수 있을지

심사숙고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하는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s://www.youtube.com/watch?v=93JfBfMtDS4


이명박근혜 시절, 


공영방송을 어떻게 망가뜨려 왔는지,


왜 그것을 바로잡지 않으면 안 되는지


최승호 감독의 <공범자들>을 보아야 합니다.


울컥, 눈물이 솟구치지만,


역사는 기록된다는 것을 철저히 보여주는 저널리즘의 승리로 보이는 <공범자들>


널리 볼 수 있도록 홍보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환상의 여자 밀리언셀러 클럽 137
가노 료이치 지음, 한희선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미미 여사의 '화차'를 떠오르게 하는 책이다.

'화차'가 의문의 한 여자를 찾아가는 여정에 따라가는 구조라서 그럴 것이다.

 

주인공 여자의 술집이 '라오'인데,

담뱃대의 대통과 빨부리 사이의 대나무 관이다.

 

대통하고 입 대는 곳을 잇는 대나무,

즉 커뮤니케이션의 다리라는 말이야.(82)

 

고바야시 료코는 그렇게 커뮤니케이션을 소망했나보다.

 

괴로우니가 도망친다고 생각하겠지만,

도망치니까 괴로워지는 거야.(121)

 

그렇게 보면 상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보이는 화자다.

 

변호사가 항상 신경을 쓰는 것은

상대가 무엇을 말했는지 보다는

어떤 식으로 말했는지다.

사람은 반드시 거짓말을 한다.

거짓말이라고 할 수는 없어도

자신에게 유리하게 뉘앙스를 바꾼다.(156)

 

추측을 쓰면 사실이 추측에 끌려 간다.(211)

 

경마를 하고 있으면

졌을 때는 데이터적인 필연이었고,

이겼을 때는 뭔가 우연이 작용한 듯한 느낌이 들어.

그게 기분이 좋은 거지.(311)

 

가족이란 당연하게 가족으로 있을 수 있는 듯 보이지만

사실은 누군가 한 사람이라도 강하지 않으면 흩어져 버려.(683)

 

부분부분

날카로운 지적도 많다.

다만, 이야기가 지루하게 전개되고,

건설 분야와 조직폭력의 사이에서

스토리가 분산되는 느낌이어서 산만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찬샘 2017-10-19 19: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표시가 정말 멋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