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티쉬 쿠마르
사티쉬 쿠마르 지음, 서계인 옮김 / 동쪽나라(=한민사) / 1997년 6월
평점 :
절판
인도의 간디 무덤 앞에서 출발하여 케네디의 무덤까지 걸어간 사람, 사티쉬 쿠마르...
다른 나라의 전통과 인습을 이해하고 구별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한국에도 뿌리깊게 남아있는 결혼 풍습 중, 서양식 결혼 후에 드리는 폐백이란 인습을 보면, 사람의 생각은 참 안바뀐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남성 중심의 세계는 자꾸 남으려고 버팅기는 기분이다.
인도라는 나라의 70년 전, 그런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카스트 제도를 교과서에서 배웠지만, 그 사람들의 삶을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 속에서 변화를 꾀하던 사람들이 쉽지만은 않았을 것은 자명한 일이다.
60년대, 그 냉전의 시대에 인도는 종교문제로 파키스탄과 쪼개지고 있었는데...
인도의 간디 무덤 앞에서 두 가지 서원을 하며 미국까지 걸어갔다.
채식주의와 무일푼 여행.
흐르는 강물처럼 아무 데도 집착하지 않고 그저 앞만 보고 걸었던 그를 감옥에 집어넣은 나라는, 파키스탄이나 아프간이 아닌, 소련도 아니고 체코도 아닌, 프랑스였다.
누가 더 똑똑한가는 중요하지 않다. 누가 올바른 길을 갈 수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란 꿈을 꾸고 태어난 그는, 일생을 그렇게 살아간다. 흐르는 강물처럼. 강물이 똑똑함을 추구하지 않고, 썩지 않고 아래로 아래로 흐르듯, 그는 꿋꿋하게 걸어가는 삶을 살았다.
오로지 인간은 모두 같다. 평화로워야 한다는 믿음만으로 종교도, 인종도, 사상도 모두 초월하여 그의 앞길을 막지 못했다.
그의 평화 순례를 한국에서 한다면, 어디서 어디까지 가야 할까?
이승만이가 사익을 위하여 무너뜨렸다는 한강 다리와 전쟁 기념관에서 출발할까?(과연 이승만이 한강 다리를 무너뜨린걸가? 미국이 아니고?)
영동 노근리를 지나고, 황토현의 우금치를 넘어, 눈물없이 오르지 못할 산, 무등까지 가야하겠지.
제주도민의 1/3이 죽었다는 4.3의 한라산 오름들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고...
한반도 점령과 만주 사변 등으로 동아시아를 제패한 일본이, 진주만을 기습해서 얻어터진 생각은 못하고,
늘 핵폭탄의 희생자인 양, 가엾게 구는 꼬락서니는 아니꼽지만,
그들의 나라 일본까지 평화의 순례는 이어졌지만,
정작 아직도 분단의 고통이 이어져 갈 수 없는 나라, 북조선 땅과...
중국이란 거대 국가에 속국으로 자치없는 자치주, 티벳과 여러 나라들...
과연 평화 순례를 떠나야 할 민족은 누구인지, 핵폭탄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나라이면서, 제 나라에선 절대로 전쟁을 치르지 않는 <악의 축>은 누구인지... 깊이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