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에 잘못 떨어진 먹물 한 방울 - 운영전 국어시간에 고전읽기 (나라말) 1
조현설 지음, 김은정 그림 / 나라말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대학 입시와 연관 지어 고전을 읽어야 한다는 사람들이 많다. 그 고전이란 면면을 보면 정말 웃기는 짬뽕과 자장이 천지로 들어앉았다. 성인들도 읽기 어려운 책들도 수두룩하고, 과연 이런 것들이 <상식>차원의 글인지도 의문이다.

그렇지만, 아이들에게 쉽게 고전을 읽힐 방법은, 그 고전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사람이(전공한 자가) 원전에 충실하면서 낯선 낱말을 흔히 쓰는 낱말로 바꾸어 내는 길이다. 거기에 적절한 시대적 배경을 담은 삽화까지 가미된다면 더 좋을 수 없겠다.

우리 고전은 거의 독해가 불가능한 책들에 낱말 주석을 붙여 내던 것이 대부분이다. 이렇게 해두고 아이들에게 읽기를 강요하는 일은 읽지 마란 말보다 심하다.
그래서 이런 책들이 만화로 그려져 나왔을 때, 아이들은 쉽게 고전을 대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어떤 만화들은 지나치게 장난기가 많이 들어 있어 개그 콘서트를 보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였다.

가나 출판사의 그리스, 로마 신화처럼 멋진 책을 기대하고 있었는데, 전국 국어교사모임에서 그 첫번째 책으로 운영전을 풀어 내었다.

운영전은 한국 고전에는 드문 <비극>이며, 그 수준이 우아하다. 춘향전 같은 이야기가 평민의 이야기이면서 진솔하지만 지나치게 음탕한 측면을 가지고 있어 아이들에게 읽히기엔 적합하지 않기도 하고, 홍길동전의 앞부분(용꿈을 꾸었다고 대낮에 차를 가지고 온 춘섬이에게 임신을 시킨 일 등)은 성폭행의 제도화이기도 하다. 운영전이 그닥 쉽진 않지만 고졸한 조선 선비와 궁녀의 아름다운 사랑을 담백하게 담은 이야기여서 충분히 교육적 효과도 높다고 하겠다.

이 책은 안평대군의 비극적 삶(세종의 셋째 아들로, 수양대군의 제물이 됨)도 잘 설명하고 있고, 궁녀들의 생활에 대해서도 관심을 두고 있다.

시를 쓰는데, 옆에서 먹을 갈고 초서를 휘갈기다가 그만 그 필세에 밀려 먹물 한 방울이 손가락에 튀었다.
이 먹물과 함께 운영의 가슴에 남은 진한 한 점의 사랑 이야기.
로미오와 줄리엣보다도, 그 어떤 사랑 이야기보다도 한국적이고 낭만적이지 않은가?

한국의 미, 한국 문학의 품격을 어려서부터 읽게 되는 이런 일은 행복한 일일 것이다. 중고생들 기말고사 끝나면 권해주기 좋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해콩 > 나라 온통 불타는 집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
공지영 지음 / 황금나침반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선수는 선수를 알아보는 법이다.

영화에서 보면, 여자 후리기로 난 놈들에게 걸려드는 여자들은 한결같이 순진한 아이가 아니라 더 심각한 꽃뱀이듯이, 화투판에서 내가 수작을 부릴 때 상대방은 그걸 다 읽고 앉은 것이 순진하지 않은 세상이듯이...

나는 공지영을 보면 그의 영혼의 색깔을 본능적으로 느낄 수 있다. 그가 스스로 자기는 섬세한 사람이고 민감한 사람이라지만, 그 섬세하고 민감한 만큼 페르소나의 종류는 많다. 마치 어렸을 때, 인형놀이할 때 뒤집어 씌우던 옷의 가짓수 만큼이나...

이 책은 그래서 무미무취한 글로 가득하다. 도대체 어디 실었던 글이었는지 알 수 없지만, 공지영이 가슴 속 응어리져 삼킬 수 없는 것들을 검붉은 핏빛으로 토해 놓은 글들로 보이지 않는다는 말이다.

한 편의 시를 적어 두고, 적당히, 정말 건성건성 마지못해 타이핑을 두들긴 것처럼 보인다. 내가 그런 글을 자주 쓰기 때문에 나는 알아볼 수 있다.

그러다가 그미가 간혹, 자기 이야기를 하는 듯하면 제법 윤기가 흐르는 글도 보인다. 우행시를 쓸 때의 심사라든지, 김남주 이야기라든지, 아니면 학교에서 얻어맞은 이야기처럼 '나'가 들어있는 글들은 공지영을 '지영씨'로 느껴지게 만들기도 한다.

삶은 낯선 여인숙에서의 하룻밤... 이라고 작가가 인용했듯이, 그미의 타자 속에서 얽힌 낯선 글들은 성숙하지 못한 채, J에게 던지는 공허한 메아리로 울리는 듯한 허전함이 가득하다.

공지영이란 이름을 팔아,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는 다른 사람의 시를 제목으로 삼아서... 이런 허섭한 책을 만들어 내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가 좀 가깝게 '지영씨'로 느껴지도록, 그런 책을 좀 써 줬으면... 이제 돈도 벌 만큼 벌었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벌 청소년용 애장판 전6권 세트
이현세 지음 / 다크북 / 2005년 9월
평점 :
절판


이 만화는 마치 <한반도>라는 영화처럼 한민족의 피를 끓게 만들려는 의도가 다분하지만, 진실을 이야기하는 데는 그닥 성공하고 있지 못한 듯 하여 아쉬움이 많이 남는 이야기다.

불사신 까치가 전쟁터를 넘나들면서 숱한 여인들의 마음을 울리는 러브 스토리 치고는 스케일이 지나치게 많이 나갔고, 그렇다고 역사를 이야기하기에는 좀 아니다 싶다.

일본 제국주의자들의 발호는 시대에 편승하여 충분히 생길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2차대전을 어정쩡하게 마무리하면서 일본의 마루타 부대 정보를 사들인 미국에도 그 동기가 있겠다.

극우파 수상이 당선되고, 야스쿠니 신사는 계속 일본의 군국혼을 고취시키고 있다. 극우는 단결한다.

마치 한국에서 딴나라당이 발호하며 <박통 신화>를 이어 박공주를 후계자로 만들려는 왕권주의자와 비슷하다.

이현세는 로맨티스트다. 그에겐 역사도 전쟁도 일종의 로망인 모양이다.

까치가 불사조가 되어 날아 다니면, 만사 오케이인 이야기는 좀 지겹지 않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6-11-29 2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작품을 보고 참 많이 실망했었습니다. 이현세의 남녀차별적인 모습이 맘에 안들더군요.

글샘 2006-11-30 1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본 군국주의자들과 똑같이 여성을 상품화 한것처럼 보이더군요. 만두님이 같이 보셨다니 반갑습니다.^^
 
아들이 아니라 학교가 문제다 - 현 교육 시스템에서 아들을 성공시킬 학습 전략 8가지
마이클 규리언.캐시 스티븐스 지음, 고정아 옮김 / 큰솔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아들이 아니라 학교가 문제다. 이런 얄궂은 제목은 참 맘에 안 든다. 그럼, 학교을 안 보낼 거유? 이 책의 원 제목은 <The minds of Boys>이다. 남자 아이들의 마음...이란 뜻이다. 원래 의도는 <남자 아이들의 특성>인데 <학교의 문제>로 제목을 붙인 편집부의 상술에 속상하지만, 이 책은 좋은 책이다.

사회가 남성 중심적이라는 것과, 한 남성이 자기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 사이에는 말할 수도 없이 큰 거리가 있다. 우리 사회가 아무리 가부장적 사회의 유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한 사람 한 사람의 남성들은 그 수레바퀴 아래서 신음하고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은 미국의 <한 아이도 뒤처지게 할 수 없다. No Child Left Behind>는 교육관의 일환으로 연구된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 ADHD(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치료약의 80%를 소비하는 것은 남자 아이들이고, 그것은 지난 10년간 5배 늘어난 수치다.

이런 것은 남자 아이들이 문제가 아니라, <문제아>를 판별하는 시스템 내지는 남자 아이들을 <problem>로 인식하게 만드는 학교 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문제 제기를 충분히 가능하게 한다.

남자 아이들의 특성이 충분히 학습 장애로 오인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진단 자체도 너무 허술하게 이루어진다는 문제도 제기한다. 그래서 두뇌 스캔 등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 이 책의 논지다.

남자 아이들은 주의력이 약하고 산만하며, 자주 쉬고 싶어한다. 그것은 남자 아이들의 두뇌가 여자 아이들의 두뇌와 다르게 생겼기 때문이라는 연구가 있다. 이런 것을 연구하는 분야를 <젠더- 과학>이라 부른다.

남자의 두뇌는 평균적으로 여자의 두뇌보다 공간-기계적 자극에 더 많이 의존하고,
남자 아이들은 도파민 수치가 높고 소뇌의 혈류량이 많아 신체 움직임을 통해 배우며,
뇌량(두 반구를 연결하는 조직 다발)이 여자 아이가 많아 한꺼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는 멀티태스킹 점수가 높다.
남아는 도표, 그래프 등의 체계적 제시를 잘 기억하지만, 여아는 언어적으로 더 빨리 발달한다.
여아는 덜 충동적이며, 브로카, 베르니케 영역(두뇌의 언어 중추)이 더 빨리 발달하기 때문이다.

특히 학교에서 교사가 수업 상황에 말을 더 많이 사용할수록, 즉, 도표와 그림을 덜 사용할수록 이 차이는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다.

언제부턴가, 남녀 공학에서 남자 아이들은 중하위권 성적을 가득 메우고 있다. 지금처럼 고등학교 진학을 중학교 내신 성적으로 하게 되고, 특히 내신 성적에 수행 평가의 비중이 높은 세상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과 평등하게 고등학교로 진학할 확률은 극히 낮다. 한 반 30명의 학생 중, 수물 한두 명이 일반계 진학이 가능한데, 그 안에 남학생은 7,8명을 넘어서지 않는다. 반면 나머지 8,9명은 거의 남학생이게 마련이다.

남학생은 쉬는 시간이면 여지없이 교실을 벗어나야 하는 것으로 알고,
쉬는 시간을 노는 시간으로 착각하여 10분 동안의 게임에 몰두하거나 매점에 집착하여 수업에 늦기 일쑤이며,
수업 시간에도 쉽게 집중력을 놓치는 일이 많으며,
학습 동기가 별로 없는 여러 과목을 학습하는 데, 흥미를 놓치기 쉽고,
흥미가 없으면 실무율의 법칙에 따라, 올 오아 나씽이 되어 버려 그 과목은 통째로 포기하게 되며,
과제 제출에 대한 압박감이 적어, 동지만 많다면 되도록 늦게까지 버티려는 속성이 있다.

<차이>를 차별하지 않는 것이 똘레랑스라고 했던가.

여성의 신체적 허약함을 배려해 주면서(나도 예전에 체력장 만점 받으려고 죽을 노력을 했다. 한 반에 만점 못받는 애들이 꼭 대 여섯 명 나왔다. 그렇지만 여학생 반에는 체력장 만점 못받는 애는 거의 없었다.) 남성의 신경적 허약함을 배려하지 않는 것은 또 다른 차별일 수 있음을 이 책은 보여주고 있다.

나도 아들을 기르지만, 이 문제는 해결이 쉽지 않다.

남아들이 차별당하자 강하게 반격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이런 인간에 대한 탐구는 필요한 것 같다.

그런 한편, 도제, 노동, 행동, 실습 등 육체 활동의 시대에서 멀티태스킹, 언어를 통한 창조성, 서비스의 시대로 세상을 바꾼 주역은 남자들이다.
남성 중심의 세상을 극단적으로 이끌어 나가다 보니, 그 부작용으로 여성들이 더 적응하기 쉬운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이것은 남성 중심 교육의 <부메랑>이 돌아와 제 뒤통수를 치는 셈인 것이다.

이제 여성 우위의 시대임을 인정해야 한다.
여학생이 더 똑똑하고, 여성들의 권리가 더 많아지는 시대가 와도 좋지 않겠나?
남성성의 <폭력, 잔인함, 전쟁, 살육>보다는 여성성의 <평화, 공존, 환경친화>적인 세상을 만들 수도 있지 않을까?

꼭 남자 아이들이 피해를 입는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이젠 남자 아이들에게 지배욕, 성공의지 보다는 평화 교육과 진정한 인생의 영적 선배로서 <멘토링>이 필요할 때가 아닐까 한다.

시험이 성공과 실패라는 <판정표>가 되어 자부심을 손상시키는 일은 성공적인 인생에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어서, 양질의 학교 생활과 평생 학습, 지속적 멘토링이 필요하다고 저자는 이야기하는데, 그것은 단순하게 뒤처진 남아들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모든 학생, 모든 인간에게 베풀어져야 하는 은총이 아닐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석란1 2006-11-30 0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직업상 남자 아이들을 많이 상대하는데 100% 공감합니다.

글샘 2006-11-30 1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남자들이란 정말 연구대상이 아닐까 합니다.
아니, 모든 인간이 연구대상이어야 하겠지만, 이적지 남자에 대한 연구가 너무 없지 않았나 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