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국어시간에 시 읽기 1 나라말 중학생 문고
배창환 엮음 / 나라말 / 200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중간고사 마치면, 아들에게 이 시집을 선물해 주겠다.

그리고 날마다 날마다 아들에게 시를 읽어 주겠다.

수업 시간에도 아이들에게 시 한편씩 읽어 주겠다.


시의 마음으로 세상을 사는 것이 얼마나 따스한 일이고, 얼마나 꼿꼿한 일인지를 가르치는 국어 선생이 되겠다.

시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도 있다는 것을, 공부만 잘하는 것이 다가 아님을 아들에게 가르치는 아버지가 되겠다.


이 책은 학생 시와 시인의 작품이 어우러진 좋은 책이다.

중학생이나 고등학생들, 어른들에게 시는 분석을 위한 대상이 아니라 주제별로 세상을 만나고 세상을 느끼게 하는 한세상임을 보여주는 책이다.


남들도 이 책 사서 아이들과 같이 많이 보면 좋겠다.


엄마 걱정/ 기형도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간 창 틈으로 고요히 빗소리

빈 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내 동생/ 주동민

내 동생은 2학년/ 구구단을 못 외워서/ 내가 2학년 교실에 불여갔다. / 2학년 아이들이 보는데/ 내 동생 선생님이/ “야, 니 동생 구구단 좀 외우게 해라.”/ 나는 쥐구멍에 들어갈 듯/ 고개를 숙였다. / 2학년 교실을 나와/ 동생에게/ “ 야, 너 집에 가서 모르는 거 있으면 좀 물어봐.”/ 동생은 한숨을 푸우 쉬고, 교실에 들어갔다. / 집에 가니 밖에서/ 동생이 생글생글 웃으며/ 놀고 있었다. / 나는 아무 말도 안 했다. / 밥 먹고 자길래/ 이불을 덮어 주었다. / 나는 구구단이 밉다.


민담 3 - 과장님 먹을 쌀 / 류근삼

시골 버스 삼백리 길/덜커덩거리며/과장으로 승진한 아들네 집에/쌀 한 가마/입석 버스에 실었것다.//

읍내 근처만 와도/사람 북적거린다./뚱뚱한 할매/울 엄마 닮은 할매/ 커다란 엉덩이 쌀가마 위에/ 자리 삼아 앉았것다.//

“이눔우 할미 좀 보소. / 울아들 과장님 먹을 쌀가마이 우에/ 여자 엉덩이 얹노? 더럽구로!”/ 하며 펄쩍 하였것다.

“아따 별난 할망구 보소./ 좀 앉으마 어떠노./ 차도 비잡은데.../ 내 궁딩이는/ 과장 서이 낳은 궁딩이다.”

버스 안이 와그르르/ 한바탕 하하하.../ 사람 사는 재미가/ 이런 것이렸것다.


눈을 감는 사람들/ 박희경

사람들의 몸이 고정되고/ 입구 열리는 소리에/ 앞으로 집중되는 시선들//

새하얀 머리에/ 굽은 허리가,/ 그 허리가/ 힘겹게 올라온다.//

버스 안의 사람들은/ 눈을 감고서/ 스스로 장님이 된다./ 마음을 닫는다.//

흔들리는 버스에/ 서리내린 머리가/ 구부정한 허리가/ 박자를 맞춘다./ 애처롭던 몸뚱이가/ 내려진 후에//

겨울잠 깬/ 개구리처럼/ 차 안엔 생기가 가득.//

그러나 그때/ 마음 한구석에선/ 응어리가 맺힌다.// ‘내가 왜 그랬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하고 싶지만 시간이 없어

2. 인맥이 있어야 뭘 하지

3. 이 나이에 뭘 하지

4. 왜 나에겐 걱정거리만 생기지

5. 이런 것도 못하다니, 난 실패자야

6. 사실 난 용기가 없어

7. 사람들은 날 화나게 해

8. 오랜 습관이라 버리기 어려워

9. 그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냐

10. 맨 정신으론 살 수 없는 세상이야

11.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나 가지

12. 난 원래 이렇게 생겨먹었어

13. 상황이 협조를 안 해줘


- 스티브 챈들러의 "성공을 가로막는 13가지 거짓말" -

 

이 나쁜 넘들이 내 성공을 가로막고 있었구나. 정말, 이거 딱! 나다. 난 원래 이렇게 생겨먹었어. 근데 상황이 전혀 협조를 안 해요, 협조를... 도저히 맨정신으론 살 수 없잖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양반가문의 쓴소리 - 이덕무 <사소절(士小節)>, 이 시대에 되살려야 할 선비의 작은 예절
조성기 지음 / 김영사 / 2006년 1월
평점 :
절판


간혹 어린 아이들에게 4자 소학 같은 것을 가르쳐야 한다고 웅변하는 사람들이 있다.

조선 시대, 중국보다 더 꼿꼿했던 성리학의 전통이 가졌던 서릿발같은 선비 정신을 배울 필요가 있는 시대임은 분명하지만, 아이들에게 이런 <의식의 정조대>를 채울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行勿慢步(행물만보) 걸어갈 때에 걸음을 거만하게 걷지 말고
坐勿倚身(좌물의신) 앉을 때에 몸을 기대지 말라
口勿雜談(구물잡담) 입으로는 잡담을 하지 말고
手勿雜戱(수물잡희) 손으로는 장난을 하지 말라.
膝前勿坐(슬전물좌) 부모님 무릎 앞에 앉지 말고
親面勿仰(친면물앙) 부모님의 얼굴을 똑바로 쳐다보지 말라.

몇 가지만 봐도 아이들에게 무엇을 하지 말라는 말로 가득하다.

어떤 교육학자는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질문 조차도 부정적 사고를 고착시킬 위험이 있다고 하기도 하는데...

나는 어린 아이들에게 소학을 가르치는 시절은 지나갔다고 생각한다.

사람의 삶이 40 정도에 끝날 때, 어린 아이가 집집마다 가득할 때, 웃어른이 대접받는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

그렇지만, 지금은 집집마다 웃어른이 가득하고 어린 아이 보기가 어렵다.

집집마다 아이를 예뻐하는 정도는 조금 다르지만 그 의식은 같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예전엔 제 애도 고아원에 갖다 버리기도 했고, 남의 집에 식모로 주기도 했다.
봉순이 언니 세대가 금세 지나 버리고, 이젠 아이의 유괴는 평생 잊지 못할 악랄한 범죄로 친다.
여전히 입양 시장이 호황이라고도 하지만, 아이들에게 강압적으로 뭔가 넣는 시대는 아닌 듯 하다.

이덕무처럼 꼿꼿한 선비의 글을 만나러 갔더니, 조성기의 잡담이 판을 치고 있다. 실망이다.

그 말들이 함축한 바가 부족한 것은 아니로되, 이덕무의 무게를 조성기는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옛날 과거장에서도 게를 먹으면 해산(떨어져서 흩어짐)을 연상해서 먹지 않았다거나, 낙지는 낙제를 연상해서 금기시했다는 이런 이야기들은 재미있다.

어떤 책을 읽고, 위인을 어떻게 대하며 바른 충고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이에 따라 사람의 됨됨이를 판단할 수 있다고 한다. 과연 나는 어느 정도 척도에 와 있는가.

병은 사람의 진면목을 알게 한다는 대목에서, 내 손가락에 찔린 가시 하나를 늘 담고 살아야 겠단 생각도 한다.

쓸데없는 말 마라. 같은 말 되풀이 마라. 이런 대목을 읽노라면 날마다 입이 아프도록 애들에게 반복하는 말, 쓸데없는 말들에 되려 미안하다.

관대함과 게으름, 강직함과 과격함, 좀스러움과 치밀함, 줏대없이 뒤섞이는 것과 화합하는 것을 구별하라.

이 말은 이 책에서 얻은 가장 두려운 말이다.

큰 사람은 촘촘하고, 작은 사람이 대범한 체 한다는 말도 있지만,
큰 사람은 마음씀이 자세하지만 용서에 대범하고, 사소한 데 무심하지만 불의에 불같은 강직함을 보이고, 자기와 다른 사람들과도 어울릴 줄 아는 반면,
좁은 사람은 마음에 그지없이 좀스러우면서도 성질이 게을러서 촘촘하게 따지지 못하고, 줏대없이 성질내기 잘 하며, 공짜술에 헤헤거리며 음란한 자리를 즐겨하는 이들과 잘 뒤섞여 정신을 놓치고 산다.

나는 여지없는 작은 사람이다. 그래서 이런 책을 읽어야 하거늘, 양약良藥은 고구苦口라고 이런 책을 읽으면 속이 뜨끔거려 영 자신이 없다.

이런 좁은 사람인 주제에 해마다 한 차례씩 아이들의 장점과 단점을 변별하는 일을 하다 보니, 이덕무의 지혜를 빌리지 않을 수 없다.

단점을 따라 장점을 보도록 하라는 말은 아이들의 특성 기록에 반드시 기울여야 할 노력이다.

정직과 고지식, 순박과 어리석음, 중개와 좁음, 민첩과 소홀, 사리분별과 방자, 믿음고 얽매임은 서로 대척되는 것 같지만 사실은 통한다는 것이다.

지각하는 아이가 느긋하고 여유가 있으며, 성질 잘 부리는 아이가 사리 분별에 밝기도 하고, 공부 잘하는 아이가 어리석고 고지식하기도 하며, 수업 시간에 지나치게 떠드는 아이가 친구 관계가 좋기도 한 것이다.

세상은 이렇게 뒤집에 보면 이쁘게도 보이고, 둥글게도 보면 모난 구석도 이쁜 건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의 여행자
한스 크루파 지음, 서경홍 옮김 / 조화로운삶(위즈덤하우스)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사람마다 사는 방식은 개개인이 모두 다를 것이다.

집 밖에서 즐겁게 노는 일을 즐기는 사람도 있고,
집 밖으로 나가지 않고 사는 사람도 있다.

이런저런 일로 모두 다르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는데, 자기만의 삶의 방식을 큰소리로 말하기도 한다.

학교에서는 공부를 잘 해야 한다.
선생님 말씀을 잘 들어야 한다.
학교를 다녀야 한다.
돈이 많아야 한다.
출세를 해야 한다.

이런 것들이 모두 고정관념이라고 생각한다.

헤르만 헤세의 등장이라고 할만큼 유명하다는데, 나는 처음 만난 사람이다.

이야기는 꽤나 재미있었다.

위에서 말한 고정관념들을 무시하고 자유롭게 살 수 있도록 마음의 자유를 주는 책이다.

책도 두껍지 않고, 크지 않고, 적당한 크기다.(하드커버에 대해서는 늘 불만이지만...)

류시화나 헤르만 헤세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 뒹굴뒹굴 하면서 읽어볼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