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시 삶의 노래
전국국어교사모임 매체연구부 지음 / 나라말 / 2004년 1월
평점 :
품절


국어교사들의 연구 모임에서 <매체교육>을 주제로 책을 만들었다.

기존의 근엄한 <시>의 영역을 <동요, 민요, 유행가>의 범주까지 외연을 확대하여 학생들에게 활용할 수 있도록 참고 자료를 편 것은 큰 의미로 다가온다.

아이들에게 자료를 보여주고 들려주어야 할 필요성은 새삼 말할 것도 없는 시대적 요청이지만, 과연 교과서와 수업이 어떠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선뜻 이렇다할 답이 없다.

교과서는 어떠해야 할까?

시라고 하면, 이육사 윤동주 류의 저항시인 아니면, 김소월 한용운 류의 20년대 시나, 30년대 이후 의식이 바랜 김영랑 청록파 시인들의 시들을 가르쳐온 교육의 역사에서, 도대체 무엇을 가르치려고 했던 것인지 알 수 없다.

교육이라고 하면 의도적으로 어떤 재료를 아이들에게 들이 밀어야 하는데, 중학교 1학년 1학기 첫 단원의 김지하 시는 당최 무슨 의도로 실은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절절한 절창으로 기억된 김지하 시인의 피끓는 맥박의 숨소리가 살아있는 시들은 다 버려두고, 거세된 수캐마냥 벚꽃 너도 좋다고 해살거리는 김지하 시를 시라고 실어 둔 건지... 참고서들에는 조화로운 삶의 중요함...을 주제라고 써 두었다마는... 참 실없는 교과서다.

이런 교과서로 시를 가르치다가는 시에 대한 마음을 그리치기 쉽다.
시는 그냥 어렵고 뜬구름 잡는 소리라고 착각하면서 교육을 마칠 수도 있다. 수능에 시를 내는 사람들의 취향도 가지각색이어서 시교육이란 결코 쉽지 않은 분야다.

시는 아이들에게 어떻게 들이밀어야 하는지를 이 책은 가르쳐주고 있다.

결국, 인간의 언어는 리듬과 멜로디를 통해 새로운 맛을 엿볼 수 있는 것이고, 시와 유행가는 여기서 만날 수 있다. 그래서 교사라면 아이들이 듣는 최신 유행가도 들어 가면서 필요한 요소들을 추출하여 가르칠 용기가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저 옛것이 좋다고, 좋은 것을 가르치는 사람으로서의 교사는 박물관의 박제처럼, 굽어버린 낙타 등허리를 한 늙은 선생이 되어버리기 십상인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교사들에게 좋은 지도의 틀을 보여 준다.

아쉬운 점이라면, 학생들에게 질문을 던지는 이런 학습의 모습들이 과연 아이들의 언어 사용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것인지... 아이들의 감수성을 깊게 할 수 있는 것인지... 늘 자신감이 없다는 점이다.

국어 교사들이 만든 책인데도, 115쪽의 수면의 한자가 水綿으로 잘못 적힌 것은 유감스런 일이다.
그리고 요즘 세대 교사들이 만든 것인지, <광주 출정가>를 몰라서 출전가로 적은 것도 신뢰를 떨어뜨린다.

오랜만에 김준태의 감꽃을 만난 것은 반가운 일이었다.

감꽃/ 김준태 시
어릴 적엔 떨어지는 감꽃을 셌지/ 전쟁통엔 죽은 병사들의 머리를 세고/
지금은 엄지에 침을 발라 돈을 세지/ 그런데 먼 훗날엔 무엇을 셀까 몰라.

고전 시가 기아사(寄兒死, 아이의 죽음에 부침)를 만난 것도 고마운 일이다.

九歲七年病   구 년 동안에 칠 년을 병으로 앓다
歸訛爾應安   땅 속으로 떠났으니 차라리 편하리
可憐今夜雪   하얀 눈 퍼붓는 이 밤
離母不知寒   어미를 떠나 춥지는 않은지(여기도 부지를 '불지'로 적은 것도 아쉽다. 젊은이들에게도 한문 교육이 필요하지 않을까? 적어도 국어 교사가 될 사람이라면...)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승주나무 2006-09-11 1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제게 절실히 필요한 책이군요. 퍼갈게요^^

2006-09-11 12: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몽당연필 2006-09-11 13: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는 쪼개고 나누는 게 아니라 사과를 베어물듯 통째로 먹어야 한다...는 김상옥님의 글이 생각나는군요.
국어선생님뿐만 아니라 부모와 아이들도 읽어봐야할 책인 것 같아요.

글샘 2006-09-11 13: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승주나무님... 교육을 생각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 볼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님의 고민과 계획을 제가 들을 주제가 될는지는 모르지만... 메일 주소는 shy3042@hanmail.net입니다.^^
몽당연필님... 그래요. 시는 통째로 맛을 음미해야 하는 건데요... 어쩌다 보니 배부른 놈들의 전유물처럼 되어버렸지요. 부모님들이 읽어도 좋을 것입니다. 다만, 설명하는 책이 아니라, 활용하기 위한 책이라 일반인들이 보기엔 값이 좀 비쌉니다. ^^
 
선이란 무엇인가?
스즈키 다이세쓰 지음, 이목 옮김 / 이론과실천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책을 받아들이는 것은 머리가 아니라 마음이다. 머리로 이해하는 것은 처음의 독서이고, 마음이 받아들이는 것이 궁극의 독서다.

이 책을 반 쯤 읽다가 던져 두었던 것이 미안해서, 다시 주말을 이용해서 곰곰 읽어 보았다. 다 읽긴 했지만 역시 오리무중이다.

제목처럼 선이란 무엇인지... 거기 대해서 깨달음까지는 아니더라도 심정적 동조라도 얻고 싶었던 기대치는 차치하고, 스즈키 다이세츠라는 유명한 사람에 대해서까지 불신하게 되는 책이 되고 말았다.

서양 사람들의 불교 이야기를 읽노라면 스즈키 선사에 대한 스승으로서의 존경심이 두드러져 보인다. 그래서 읽었건만, 번역의 문제일지, 내 심보의 문제일지...

서양에게 동양의 존재는 신비스런 것이었다. 고요한 은자들이 사는 곳으로 상상되는 곳이었다.
그들에게 동양의 불교를 알린 것은, 원산지 인도도, 발흥지 중국도, 선불교의 보고 한국도 아닌, 군국주의자들 일본 사람들이었다. 사실 서양이 알고 있는 동양의 역사, 동양의 철학, 동양의 사상은 모두 일본 사람들이 소개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 세기를 번역에 바친 일본인들의 헌신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불교도 마찬가지인 것을 보고 머리가 아찔하다.

한국 불교가 높다는 것이 아니다. 불교의 모습을 제대로 밝히고 선의 정수를 드러내기에는 이 책의 존재가 그를 위해 죽어준 나무에게 미안하다.

글쓴이든, 번역자든, 잘못 읽은 나든, 누군가는 회초리를 맞아야 할 것인데, 나는 회초리를 피하고픈 생각에 몇 자 적는다. 아직 잡스런 생각이 가득할 뿐, 마음이 허허로운 탓이리라... 여기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팽이 2006-09-12 17: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을 읽고 실망을 했습니다.
분명히 예전에 본 낡은 책의 제목이 이것이었는데... 하고 말이죠...
근데 다이세츠의 같은 제목을 달리 옮겨놓은 책이 있습니다.
'아홉마당으로 풀어쓴 선'입니다.
이 책은 아마 글샘님의 꼬인 마음의 실타래를 좀 풀어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글샘 2006-09-13 09: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저랑 같은 마음으로 책을 읽으셨다니 좀 위로가 되는군요. ㅎㅎㅎ
다이세츠의 그 책을 찾아봐야겠습니다.^^
 
이 뭐꼬 - 마음에 새겨듣는 성철 큰스님의 말씀
성철 스님 지음 / 김영사 / 2002년 10월
평점 :
절판


성철 큰스님의 법어집이 열 몇 권 된다는데, 그걸 다 읽을 마음을 내진 못하겠고, 법어들중 간략한 구절들을 뽑아 둔 책이 있어 마음을 두고 읽는다.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라던 말씀으로 유명하신 성철스님.

산을 산으로 볼 줄 알아야 한다. 산을 자연 자원으로 거기서 금을 캐고, 산의 물을 막아 댐을 만들고, 국립공원으로 개발해서 관광단지를 만들면 산은 이미 자연으로서의 산이 아닌 '교환 가치 덩어리'로서의 산이 되어버리고 만다.

한국은 교육부의 이름이 '교육인적자원부'로 바뀐 지 몇해 되었다. 사람을 사람으로 볼 수 있어야 하는데, 사람은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 부처라고 했는데, 그 사람을 인적 자원으로 본다는 것은 사람도 교환 가치 없으면 인간으로 보지 않겠다는 뜻인지...

낮은 곳으로, 더러운 곳으로 부처님은 가신다고 한다. 아니, 낮은 곳도 더러운 곳도 없는 중도를 실천하려함은 상없는 진리를 가르치는 것일게다.

불교란 세상과 거꾸로 사는 것이라는 구절이 돋보인다. 세상은 내가 중심이 되어 나를 위해 사는 것인데, 불교는 나를 버리고 세상을 위해서 사는 것이라는 말씀. 무겁게 듣고 무겁게 행할 일이다.

자기 자신이 순금 덩어리이고, 자기가 선 자리가 순금 덩어리임을 잊지 말라는 큰스님 말씀은 자꾸 교환가치로 달아나는 마음을 지긋이 눌러 주신다.

돌덩어리나 금덩어리나 짊어지고 있으면 힘겹긴 마찬가진데, 유별나게 인간은 금덩어리를 분별할 줄 안다. 그래서 만물의 영장이니 척도니 하지만, 사실은 그 분별이 인위를 시작하고 모든 불행을 배태하는 것이다. 분별할 줄 아는 지혜를 놓아 버리고 재물병, 여자병, 이름병에서 놓여나는 길은 내 마음을 끊임없이 다스리는 노력 뿐일게다. 그래야 '봉사는 있어도 구제는 없다'던 큰 스님 말씀대로, 외양에서 놓여나는 길이 뚫릴 것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니네 방 - 내가 혼자가 아닌 그 곳
언니네 사람들 지음 / 갤리온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살림은 참 잘 만든 말-'다. 살다의 어간 '살-'에 '하게 하다'는 사동의 뜻을 가진 '-리-'라는 접사를 붙이고, 명사형 전성어미 -ㅁ을 붙여서 만든 낱말. 살림.

살림을 학교에서는 '생활'이란 한자어로 가르친다. 생활보다는 살림이 훨씬 구체적인데...

의식주가 살림의 구체적 내용이다.

옷을 사고, 빨고, 간수하고, 다리고, 버리는 일,

먹을 거리를 구상하고, 재료를 사고, 요리조리 만들고, 먹이고, 저장하는 일.

살 집을 구하고 이사를 하면 정리를 다 하고, 청소도 하고, 쓸고 닦으며, 관리를 위해 돈을 모으고 각종 잡부금을 내는 일.

이런 것들이 모두 살림이다. 살게 하는 일이란 뜻이다. 사람을 살게 하는 일이 눈에 보이기도 하고 보이지 않기도 하는 사이에 이렇게 복잡한 시스템이 가동되는 것이다.

이 땅의 여성들은 이런 살림을 하는 것은 당연하게 여겨지면서, 사회의 역군으로까지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소위 수퍼 우먼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보다 높은 지위를 누려야 한다는 의식을 가진 남자들에게 여성들은 할 말이 많다.

이 책은 언니네라는 사이트에 올린 글들을 모은 책이라는데, 간혹 성적인 언술을 마구 쏟아놓는 데서는 당황스럽기도 하지만, 이 땅의 여성들의 자유로운 목소리를 당당하게 펼친 씩씩한 책이다.

여성의 적은 남성이 아니라, 여성 내부의 닫힌 사고이기 쉽다.

여성의 자유를 암중모색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을입니다. 아침저녁 찬바람에 감기 걸린 아이들도 생기고요.

알라딘에 둥지를 튼 것이 오래 되었습니다.

이사를 하면 사야지 하고는 책을 안 샀더랬는데, 이젠 버릇이 되어서 도서관에나 다니고 책을 사는 일은 드물게 되었네요. 알라딘엔 좀 미안하지만...

마일리지가 자꾸 쌓이니깐... 미안하네요. ㅎㅎㅎ

1733140

지금 요만큼 되었습니다.

33333을 처음으로 잡아 주시는 분께 1만원 가량의 책 선물을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가을을 맞아...

좋은 책을 소개해 주실 분들이 계시면... 소개해 주세요.

맘에 들면 한두 분 뽑아서 책 선물을 드립지요.ㅎㅎㅎ 아니면 말고.

자, 삼삼한 이벤트... 심심하니 시작해 봅시다~~~


댓글(28)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6-09-06 14: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533148

어느 님 리뷰 제목처럼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가 딱 어울리는 이 가을 읽기 좋은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이사카 고타로의 마력에 빠지게 되는 작품이죠. 종말을 앞두고,
아니 살면서 이런 생각 한번 해봐도 좋지 않을까 싶어요. 


이매지 2006-09-07 0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직 11월은 멀었지만
갑자기 생각이나서 추천하고 가요^^

어떻게 보면 통속적인 연애소설이긴한데
통속성을 벗어나는 뭔가가 있는 그런 연애소설이예요^^  






절판된 책이라 구입하시는 건 힘들 것 같지만 도서관 같은데 가면 있더라구요.
절 미야베 미유키에게 홀딱 반하게 만든 책이예요.
신용불량과 관련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재미도 있고, 생각할 거리도 있는 작품^^ 





위의 책을 정 구하기 힘드시면 같은 작가의 요 책도 좋아요^^
두껍긴 하지만 속도감있게 읽힌답니다^^ 








 


하늘바람 2006-09-06 16: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책 추천합니다.

청소년 책으로 분류되었지만 오히려 청소년보다 어른이 읽는게 좋을 것같아요. 그리고 가을에 딱입니다.

표지부터 그렇지요?


비자림 2006-09-06 19: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 십자군 이야기

 만화인데 좋았습니다. 작가 이름을 외우게 되더군요.

 

 2. 삼한지

  삼국시대 영웅들 이야기 따라 가며  일상을 잊을 수 있어요.

 

 

 3. 법정 스님의 이 책은 이미 읽으셨을 것 같네요. ㅎㅎ

 

 

 

 4. 오래 전에 나온 책인데 저는 괜찮더라구요.

 

 

 

 5. 문태준 시가 참 깊이 있고 좋았어요.

 

 

 

글샘님, 예전에 님 이벤트에 참여하여 책 선물 받았었어요.  그 때 고마움을 기억하며 참여해 보았는데  저는 책 소개만 해 드리고 물러갈게요.^^  님의 취향과는 안 맞을 것 같지만 한 번 올려 보았습니다. 좋은 저녁 되세요.^^ 


씩씩하니 2006-09-06 2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 그냥,,,33333 꼬리 잡으러 들어왔더니...음,,다들 책을 소개하고 나가시는걸요?
전,,꼬리 잡는데..더 소질있는대........................

몽당연필 2006-09-06 2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꼬리는 어떻게 잡는 건가요?

호랑녀 2006-09-07 09: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 소개도 벅차고, 시간 맞춰 잡는 것도 요즘 상황은 어렵고, 그저 오랜만에 들러 문안 드리고 갑니다.

글샘 2006-09-07 1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랑녀님... 요즘 바쁘신 모양이네요. 꽃병 참 예쁩니다.
몽당연필님... 저도 꼬리가 뭔지는 모르지만, 숫자 캡처는 복사하셔서 붙이시면 됩니다.
하니님... 첨 뵙는 것 같죠? 이름이 참 멋지군요. 씩씩하니... ㅎㅎㅎ 캡처는 때가 되어야 하시겠죠. 좋은 책 소개해 주세요.^^
비자림님... 십자군... 정말 가증시런 사건이었죠. 꼭 읽어보겠습니다. 완간되면...
하늘바람님... 읽어보고 싶은 책이네요. 고맙습니다.
이매지님... 저도 속도감 있는 책 좋아합니다. 책 소개 감사합니다.
물만두님... 가을에 쓸쓸한 책을... ㅠㅠ 감사합니다.

2006-09-07 16: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매지 2006-09-07 18: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833233
이제 백명 남았네요^^

글샘 2006-09-07 2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 ㄴ님... 첨 뵙네요. 반갑습니다.
이매지님... 네 삼삼한 숫자네요. ㅋㅋ

물만두 2006-09-11 1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733315

오늘 되겠어요^^

축하드립니다~ 미리~


파란여우 2006-09-11 1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733333
축하 드려요! ㅋ


글샘 2006-09-11 1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만두님... 감사합니다. 글쎄요, 오늘 되려나 어쩌려나...
여우님... 이 무슨 조화란 말씀이쇼? 물만두님과 투데이는 같은데, 토탈이 바뀐 것은 필시 여우님의 둔갑술인 것이오. ㅍㅎㅎㅎ

물만두 2006-09-11 11: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우성님 앞도 좀 바꾸셨어야죵^^ㅋㅋ

몽당연필 2006-09-11 1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제 카운트 다운이 시작된 건가요?



 


해콩 2006-09-11 14: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133329
아무래도 불가능 할 것 같아서... 출석체크겸.. 흔적 남깁니다. 아~ 아쉬워라~

물만두 2006-09-11 14: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233330

물만두 2006-09-11 14: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333331

해콩 2006-09-11 15: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433332

글샘 2006-09-11 15: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한 분이 아무래도 안 오시네요. 내일까지 넘겨 볼까나?

물만두 2006-09-11 15: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533333

몽당연필 2006-09-11 15: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합니다!!

물만두 2006-09-11 15: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님 33333힛 축하드려요^^

몽당연필 2006-09-11 15: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엇, 제가 한 발 늦었군요. ^^;;;
안타깝지만...글샘님 축하드리구요. 앞으로도 좋은 리뷰 기대하겠습니다. ^0^

해콩 2006-09-11 15: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533333

우와 제가 해냈어요ㅋㅋ.. 심장이 벌렁벌렁거려요~


해콩 2006-09-11 15: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 이런 네 발이나 늦었군요. 이거.. 여러 명도 가능한 거였구낭..
물만두님에겐 역쉬 당할 수 없다니깐요.. 흠흠..

만두님, 글샘님.. 모두 추카추카~

글샘 2006-09-11 2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만두님, 몽당연필님, 해콩님... 삼삼한 숫자를 잡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약속대로 물만두님께 선물을 드립지요. ^^
기념이 될만 한 숫자라고 생각해요. 모두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