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기자 정문태 전쟁취재 16년의 기록
정문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그 대답은 이 책에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을 했다.
총을 쏘는 일은 얼마나 무서운 일인가.
인간이 다른 인간의 심장을 겨냥해서 총을 겨누고 방아쇠를 당기는 일은 얼마나 비인간적인 일인가.
군대에서 인간이 인간에게 인간을 사냥하라고 총을 맡기는 일은 얼마나 징그러운 일인가를...

다행히 내가 군에 있던 시절엔 베트남이나 이라크와는 엮여있지 않던 시절이었지만, 아직도 이라크에 파병되어있는 자이툰 부대원들 중에는 혹시 내가 가르친 아이들이 몇이나 가 있는 것은 아닌지 자주 반성한다.

수업 시간에 틈나는대로 아이들에게 전쟁의 무서움과 무식함의 공포스러움을 가르쳐 주고자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온 몸에 전율이 이는 것을 금할 수 없다.

다음 학기 부터는 무조건 아이들에게 세뇌를 시켜야겠다. 무슨 일이 있어도 전쟁터에 나가선 안 된다고. 상대방을 죽여서는 안 된다고... 총을 들어서도 안 되고, 누굴 죽여선 결코 안 된다고...

이 책을 사 둔지는 꽤 오래 되었는데, 바쁜 정신으로 읽기엔 좀 복잡한 책이라 생각하고 묵혀 두었는데, 주말을 이용해서 정문태 기자의 서늘한 말발에 동화되어 내쳐 읽게 되었다.

예전부터 종군기라자라는 낭만적인 이름으로 전선을 누비며 <군인>으로서 전쟁을 편향되게 전달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래서 그는 종군기자라는 이름을 거부하고 <전선기자>라는 이름을 쓴다.

전쟁이라는 것은 '국가'로 위장한 정부가 저지르는 가장 극단적인 정치행위임에도 '국가'와 '정부'를 동일시하면서 사태를 더욱 꼬이게 만드는 기자들을 비판하면서, 기자들이 정부의 정치 행위를 거드는 것이 <애국심>이 아님을, 전선에서 본 그대로를 쓰는 일이, 민중의 편에서 기술하는 일이 올바른 일임을 그는 밝히는 과정인 것이다.

91년 이라크를 침공한 미국은 환상 게임으로 만들어 버렸고, 가장 비열하고 가장 비인도적인 전쟁으로 기록해야할 걸프전을 모든 언론은 침묵했다. 그리고 국제 언론은 대이라크 경제 봉쇄로 백만에 이르는 어린이들이 죽어가는 동안에도 눈을 감았다. 전선기자 없는 전쟁은 그렇게 일방적인 피의 잔치가 되고 만다.

"미군은 모든 전쟁에 참여하지만, 미군은 언제나 정의롭고, 미군은 모든 전쟁에서 승리한다."

이것이 미국의 본질이다. 군산 복합체의 나라. 전쟁이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사탄의 나라. 미국.

그 본질과 실체를 이 책을 통해 만날 수 있다. 악마의 그림자처럼 폭탄이 있는 곳, 전쟁과 전투가 있는 곳엔 얼른거리는 미국의 전투기, 항공모함, 군인들, 그리고 영원히 지울 수 없는 학살의 흔적들을...

베트남과 버마, 이라크와 코소보, 라오스와 캄보디아, 아프간과 카슈미르, 팔레스타인과 인니의 자유아체운동, 발리 학살까지 악마들은 피비린내를 풍기며 다가왔다 화약 냄새 풍기며 사라져 갔지만, 남아있는 이들에게 공포의 추억은 영원히 남아있다.

이 책을 과거로 읽는다면 세상은 영원히 악마인 수퍼맨이 일 초에 지구를 일곱바퀴 하고도 반을 도는 곳이겠지만, 이 책이 우리의 미래로 읽힐 때, 세상에 수퍼맨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평화를 외치는 유일한 길은, 미국에 반대하는 길 뿐이다.
전선기자 정문태는 그래서 전선에서 사진을 찍고, 죽음과 삶을 꼭 끌어안고 달리고 또 달린다.
한국에서 유일하게 존경스러운 기자라고 할 만한 사람이다. 정문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07-27 2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문태 그 사람 글은 어떨 땐 무섭더라구요. 저도 읽어보고 싶네요.
 
시간의 꽃 우리시대 현대시조 100인선 75
박권숙 지음 / 태학사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여름 방학 동안 중학생들에게 읽으라고 권장한 도서 중 한 권이었다. 왜 이 책을 가려 권했는지는 대략 짐작이 가기도 하고, 갸웃거려지기도 한다.

이 시조집의 주제는 죽음과 삶의 고비를 넘긴 작가가 그 사이에서 느낀 것들, 본 것들을 뜨거운 언어로 적은 것이다. 그래서 중학생에게 어울린다고 보기엔 책이 좀 어려울 수밖에 없다.

중학생에게 권해줄 만한 시집이 무엇이 있겠는가. 중학생이면 아직 초딩에서 벗어나지 못한 솜털들이고, 이제 막 변성기가 올 정도의 혼란한 아이들인데... 봉순이 언니 정도의 소설이라면 족할까.

아무튼 작가의 언어에 대한 감각은 예민하다.
시조 작가들이 고리타분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는데, 리듬을 타고 넘는 그의 품세가 예사롭지 않다.
내가 평소 시조에 관심이 없어 그럭저럭 봐줄 만 했는지도 모르겠다.

윤오월 고목나무 어디선가 매미 운다
비로소 목을 틔워 소리를 얻는 것은
저렇게 참는 일이다 기다리는 일이다

물처럼 흘러온 날을 정수리에 받으며
청록의 나뭇입들 가부좌 풀지 않는 낮
여울이 되어 흐르는 매미 소리, 소리들... (아버지의 밭 6)

이런 시들을 읽으면, 삶의 한 고비를 넘긴 이의 지혜가 다가 선다.

철조망 아래 잠든 내 어린 날 돌푸 끝은
이립의 나이에도 문득 살아나곤 한다
너와 나 사이에 쌓는 영토들의 견고한 벽

월남 소식 알리는 오후 뉴스 목소리가
봄 햇살로 부서지던 개굴창 옆 골목길에
선명히 나누어 긋던 땅따먹기 하얀 줄(줄2)

이 시에 나온 '돌푸'란 낱말에 왈칵 어린 시절이 다가 온다. 경상도 말로 '석필'을 가리키는 말이다. 돌푸. 얼마나 정겨운 사투리던가.

그의 투병일지들은 삶이 곧 찬란한 순간들의 연속이며 아픔의 순간들임을 가르쳐준다.

아프지 말 지어다. 깨진 그릇 못 쓰나니...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콩 2006-07-23 2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돌푸'를 몰라 여쭤보려했더니... '석필'은 뭔가요?

글샘 2006-07-23 23: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석필은요, 시멘트 땅 같은 데 잘 그려지는 돌입니다. 과학에선 무슨 돌이라 하는지 잘 모르겠네요. ^^ 납석이라 하던가(?)

해콩 2006-07-25 2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石筆'인가 보군요. ^^; 이 정도면 직업병이죠?

글샘 2006-07-26 0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잘했어요. ^^ 에게게... 돌석 붓필 쓰고 직업병이라뇨. ㅋㅋ 곧 1정되실 분께서..ㅋㅋ
 
미술이 좋아지는 5분간 이야기
시마자키 기요미 지음, 김향미 옮김 / 미술공론사 / 2005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원 제목을 보면, ず-こう 라는 단어가 나온다. 화공, 화가라는 뜻이다. 도화, 공작이란 뜻도 있다. 작가가 미술보다는 화가 중심으로 글을 써 나가는 것을 보면, 제목에 즈코우카가 좋아지는 이야기책...이러고 붙일만 하단 생각이 든다.

이 책을 곰곰 읽다 보면, 작가 시마자키 기요미가 얼마나 아이들을 사랑하는 사람인지를 여실히 깨달을 수 있다.

아이들의 입장에서 쉽게 쓰려고 얼마나 고심한 흔적이 많은지... 이런 글을 만나게 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한다.

아이들에게 미술 공작을 시켰더니 사고가 적게 나더라는 연구... 고층 건물에서 공부하는 아이들이 사고가 더 많이 나더라는 연구... 아이들을 사랑하지 않는 사회에선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연구다.

이 책의 몇 이야기는 아이들 교과서에 실어 주었으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미술은 그림 그대로가 아니라, 그리는 이의 기분을 더한다는 이야기나, 고갱, 피카소 이야기들은 정말 아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다.

아, 우리가 배운 국어 교과서는 어떠했던가...

조국에 대한 사랑과 관련된 글들, 그리고 장군들의 전기와 공산주의자, 일본에 대한 증오, 유명한 문학가들의 작품들... 멋대가리 없는 논설문과 설명문들...

이제는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예술적인 교과서를 보여줄 수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수가 된 광부 이채로운 시리즈 6
권이종 지음 / 이채 / 200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60년대, 새마을운동 벌이던 시기, 나라에 돈이 없어서 독일이란 머나먼 타국에 간호사와 광부를 팔아먹은 적이 있었다. 케네디 형님께 잘 보이려던 박통은 미국이 제안하지도 않았던 베트남 파병까지 하고 말았다. 일본에 김종필이 보내서 까잇거 대충 도장찍고 돈 받아 오고...

권이종씨도 그렇게 해서 독일에 파견되었던 광부였다.

그의 광부 생활은 말로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힘들었으리라. 지금처럼 교통이 발달한 시대도 아니고, 그 가난하던 시절, 독일에서 굶주린 배 움켜잡고 공부하던 심경은 충분히 이해가 간다.

글뤽 아우프는 '행운을 가지고 위로'하는 뜻이다. 광부가 운 좋게 복귀하길 바라는 인사란다. 슬프지만 처절한 인사다.

권박사의 초등학교라는 산서초등학교 교훈이 <환하게 묵묵하게>란다. 참 마음에 드는 말이다. 환하게 묵묵하게... 발랄하게 자라면서도 듬직한 어린이의 모습이 떠오른다. 그의 삶도 그렇게 보면 환하게 묵묵하게 살아온 일생이다.

내가 권이종씨를 곱게만 볼 수 없는 것은, 그가 독일에서 한국으로 돌아왔을 때, 엄혹하던 80년대가 열리고 있었고, 이순자의 사촌인가 하던 이규호 문교부 장관과 줄이 엮여, 빨갱이 교사를 몰아 내고, 새시대의 파란 교사만 기르려던 교원대학교에서 열심히 살던 시절들에 대한 그의 생각 없음이다.

그는 지나고 보니 다 추억일는지 몰라도, 그의 교육학자적 삶에선 미국에 갔다 온 식민주의자적 권위주의를 본인도 모르게 지니고 있다는 것이 내 눈에는 보인다.

아무 생각없는 교육학자라는 것은, 한국교원대학교에서 길러내고 있는 <아무 생각 없는 교장들>을 제 손으로 가르친 것을 아주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을 보면 여실히 알 수 있다.

아, 이 나라는 <국대안>으로 일컬어지는 국립종합대학교(서울대)의 미국유학자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는 국가로 기틀을 잡았는가. 미국의 본격적인 속국으로 기어 들어가려는가.

그는 스스로 얼마나 큰 상징 권력을 잡은 사람이 되었는지 모르고 있는 듯 하다. 독일 광부에서 대학 교수가 된 자수 성가만을 생각하고, 제가 지닌 권력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를 알지 못하는 듯 한 점, 아쉽다.

아니다. 나나 스스로 잡은 권력이 어떤 것인지를 생각해 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해콩 > [퍼온글] 가슴시린 뉴에이지 연주곡 모음


      가슴시린 뉴에이지 연주곡 모음.. Tears II / 안단테 Dorogi / Djelem Pole / Djelem Beautiful Days / 안단테 Under Swing Candle-Light / Praha Cobalt Moon / Ikuko Kawai Toute Une Vie / Jean Philippe Audin Melancholy Smile / 남택상 Mary From Dungloe / Phil Coulter Dancing In The Wind / Bill Douglas Dancing Waves / Ernesto Cortazar Jeg Ser Deg Sote Lam / Susanne Lundeng Song From A Secret Garden / Secret Garden Serenade / Jim Brickman   Butterfly Waltz / Brina Crain Havana Sunset / Govi Loving You / Oscar Lopez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