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03 이라크 전쟁 - Witness to history 01
데이비드 다우닝 지음, 지소철 옮김 / 디딤돌(단행본) / 2004년 12월
평점 :
절판
이라크는 아직도 전쟁중이다. 한국은 이라크에 전격적으로 파병한 나라다.
자이툰 Zaytun의 이름으로 아픔을 함께 하며 다시 일어나는 내일을 꿈꿉니다...
미국과 영국이 이라크와 전쟁을 하고, 한국도 파병을 했는데, 누가 누구와 아픔을 함께 한다는 것이며, 누구의 내일을 꿈꾼다는 것인지... 아무리 공병 부대 중심이라지만, 전쟁터에 나간 것은 분명한데...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과연 누가 알 것인가.
이라크 전쟁의 목적은 단 둘이다. 하나는 군수산업국가 미국의 폭탄 처치고, 다른 하나는 이라크의 석유에 대한 독점이다.
미국의 발표를 보면 가소롭기 그지없다. 세계 평화를 위협하는 무기를 가지고 있어서 이라크는 줘패야 한다고... 지나가던 개가 웃을 일이다. 북한은 그런 성명서를 발표할 줄 안다. 미군 너희 미사일이 더 무섭지, 우리 미사일이 더 무섭냐? 하고 말이다.
이라크 전쟁의 부당함에 항의하여 영국 하원 의장 로빈 쿡은 토니 블레어 정부에서 사임한다.
후세인이란 잔인한 독재자에 대해서는 모두 인정하지만, 후세인이 영국에 위협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무기 사찰을 해야 하며, 성급하게 전쟁부터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한국은 병신같이 거기 <재건단>을 파병했다. 전쟁터에 재건단이라니... 병주고 약주는가?
이라크에 불어닥친 <충격과 공포 shock and awe> 작전에 의하여 이라크 사람들은 물론 큰 충격과 공포에 휩싸였을 것이다. 그러나, 그 충격과 공포에서 다른 나라 사람들은 안전한 것일까? '
세계 유일의 분단국인 조선 땅에서, 북조선은 미사일을 발사한다고 큰소리 땅땅 치고 있는데, 남조선은 축구공에 미쳐서 미사일 발사인지 인공위성 발사인지 아직 확실치 않다는 정보를 내 놓는다. 미국과 일본의 논의에 휩싸여 언제 한반도가 전쟁의 충격과 공포에 휩쓸릴는지도 모를 일이다. 하긴, 그러니 그저 월드컵이나 보고 즐기는 것이 더 현명한 일일는지 모르겠다.
지나간 전쟁, 아직도 진행 중인 전쟁을 읽는 것은 나에게 공포스런 일이었다. 인간이 왜 저렇게까지 잔인해 져야 하는 것인가... 무서울 손 인간이다.
이 책은 이라크 전쟁을 객관적으로 간명하게 간추린 책이다. 화보도 적절하고, 설명문도 짧고, 매 페이지 오른 쪽은 여러 목격담을 실어서 현장감을 살려 주고 균형 감각을 길러 준다. 청소년들에게 읽힐 법한 책이다. 전쟁과 인권에 대한 주관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시기는 청소년기부터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