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화로운 마음이 미소를 부른다
툽텐 초드론 지음, 김성 옮김 / 리즈앤북 / 2005년 5월
평점 :
절판
난 어려서부터 기억력이 뛰어났다. 그래서 공부도 아주 잘 했다. 내가 똑똑한 줄 알고 오랜 세월을 살았다.
그런데, 살면서 보니깐, 나는 바보다.
살다 보면 저절로 터득하게 되는 것들을, 나는 책을 통해서 읽고 나서야 알게 되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요즘 마음 공부하는 책들을 자주 읽게 되는데, 그러면 그럴 수록 바보란 생각이 커진다.
그렇지만, 또 위안을 받는 것은, 이런 책들을 읽으면서 나보다 조금 더 똑똑한 사람들도 '오직 모를 뿐' 같은 말들을 잘 한다는 것이다. 소크라테스도 그랬고, 부처도 그랬다.
마음 공부를 세상과 떨어지려는 마음을 생각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혼탁한 세상에서 떨어져 살 수 있는 길이 없다면, 매일 매일이 전쟁 상태인 그대로 마음을 닦을 필요도 있지 않을까...
이 책의 저자는 미국 출신의 티벳불교 수행자이다. 인도와 네팔에서 불교를 공부하고 수행하며 책을 쓴다. 그러다 보니 이 책은 상당 부분 초심자를 위한 불교 강좌 냄새가 난다. 그렇지만, 삶에서 나는 매일 매일 초심자가 아니냐. 어린 시절 어른들은 경험자라는 생각을 했더랬는데, 살아 보니, 매일 매일이 초심자로서의 삶이다. 내 나이 마흔 하나이지만, 마흔 한 살을 살아본 것은 처음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내 나이 여든 한 살이 되어서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살생, 도둑질, 어리석은 성적 행위 - 세 가지 잘못된 행동을 수정하고,
거짓말, 분열을 일으키는 단어들, 거친 표현, 어리석은 대화 - 네 가지 험한 말을 조심하고,
살생하는 직업을 버리고, 독을 다루는 직업을 버리고, 사기나 속임수를 버려라.
나쁜 버릇는 길들이고, 좋은 버릇은 기르는 공부가 마음 공부다. 길들이다와 기르다는 비슷하면서도 전혀 다른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작은 씨앗이 큰 나무가 되기 위해서는 길들일 필요와 기를 필요가 있다.
삶에서 가장 중요한 자신감을 <타인의 칭찬>에서 얻게 된다면 날마다 얼마나 마음의 부침에 시달리겠는가. 스스로 길들이고 기르는 공부가 필요하다.
스스로 길들이고 기르는 생활.
우리가 불평할 때는 스스로 그 상황을 말로 듣고 싶어서 떠드는 일이 많다고 한다. 그럴 땐, '당장 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 생각해 봤는가?'를 질문하라고 한다. 새기고 새길 일이다. 나도 얼마나 그 누군가를 대상으로 불평하는 일이 숱하게 많은가.
자만하지 말고, 스스로를 길들이고 길러서 '친절'에 이르는 길. 아직도 가야할 길이 먼 공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