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너리티의 희망노래
정창교 지음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04년 12월
평점 :
절판
한국 사회에서 마이너리티로 산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단일 민족, 단일 언어, 단일 국가... 처럼 '순수' 지향적인 사고들은 '우리'라는 말을 남용하는 문화를 낳았고,
'우리'와 다른 '소수자'들에게 가학적이기 쉬운 문화가 생긴 것이 아닐까?
한국 사회가 유난히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심하고, 배려가 적으며,
질환을 앓는 사람들을 병신, 바보 등으로 욕하며,
피치 못할 환경으로 포로로 잡혀가더라도, 애비가 없으면 '호로 자식', 포로에서 환향해도 '화냥년' 소리를 듣는 문화. 그래서 '종군위안부' 할머니들이 돌아와서도 아무 말도 못하는 사회.
오히려 국가에서 그 할머니들을 눈엣가시로 쳐다보는 사회.
선진국일수록 장애에 대한 정의를 적극적으로 내려서 장애인 출현 빈도가 높다.
10%에 가까운 나라도 있는데, 한국은 아직 4%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장애아들에 대한 교육은 아직도 너무도 요원한 일이다.
많은 교사들이 '특수 학급' 과 '통합 교육'에 대해서 성가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너희들은 특수 학교로 가라'고 쉽게 말하지만, 그 아이들은 영원히 특수 학교에서 살 수는 없는 것이다.
어쩔 수 없이 우리와 같이 살아가야 하는 것이다.
한국어에서 '다른'을 써야하는 경우에 '틀린'을 쓰는 일이 잦다.
'틀린 그림 찾기'가 그렇고, '내 생각은 너와 틀려' 같은 경우가 그렇다.
장애아를 가진 부모님들이 꼭 읽었으면 좋겠다.
불편한 자식 때문에 마음 속으로 매일 눈물 흘리실 그분들에겐 큰 힘이 될 것이다.
그리고 특수 학급이 확산될 것이기 때문에, 교사들이 다 읽었으면 좋겠다.
나도 작년에 특수 학급 대상 학생을 맡아서, 특수 교육 기본 연수도 받고 하다 보니,
장애인에 대한 시각이 훨씬 유연해진 느낌이다.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이나니, 그 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은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꼭 적어두고 싶은 말들을 남겨 둔다.
인간이 세상을 살면서 가장 힘든 것 중 하나가 자신과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해 솔직히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라 한다.
수험생이 시험에 불합격했음을 인정하고, 사업가가 사업에 실패했음을 인정하며,
과학자나 이론가가 자기 주장의 잘못을 인정하고, 암 환자가 자신이 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 가장 힘들다.
하지만 이런 인정 중에도 아마 280 여일간 고이 품으며 손꼽아 기다린 사랑의 결실인 내 아이가 ‘다른 아이와 다르다’는 상황을 받아들여야 하는 게 제일 힘들지 않을까?
단풍이 곱게 물들려면 일교차가 커야 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사람의 빛깔도 그러하지 않을까?
그 굴곡이 클수록, 그 큰 굴곡을 의연하게 잘 겪어낼수록, 그 사람의 빛깔이나 인생은 곱게 물들지 않을까?
“그렇게 칭찬할 게 많은 아이가 어떻게 문제아일 수 있나요?
사랑스럽기만 할 것 같은데.,.. 누구나 단점은 있지요. 아낌없이 칭찬해 주세요.
바뀌어야 할 사람은 아이 이전에 가족들입니다.
가족들의 애정어린 칭찬에 아이는 분명 변화할 것입니다.“
임의로 그려놓은 선 안에 갇혀서 사람은 누구든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존재라는 사실을 종종 잊고,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한계치가 여기까지라고 선을 긋고 밖으로 나오는 거슬 누가 막지 않아도 지레 겁을 먹고 단정지어 버리곤 한다.
조금도 서두르거나 조바심낼 필요가 없다. 늘 그 자리에서 기다리면 된다.
처음부터 익숙한 건 아무것도 없다. 모든 익숙한 것 이전에는 낯선 것이 있기 마련.
모든 교사가 처음엔 현실 따로, 이론 따로, 마음 따로...
하지만 배운 대로만 다 된다면, 그건 또 얼마나 따분하고 지루할까?
저마다 개성이 넘치는 아이들과 수없이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만 맺어지고 익숙해지는 인연이기에 더 귀하고 소중한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