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나의 오월 이삭문고 1
윤정모 지음, 유승배 그림 / 산하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꽃잎처럼 금남로에 뿌려진 너의 붉은 피
두부처럼 잘리워진 어여쁜 너의 젖가슴
오월 그날이 다시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솟네...

5월의 노래를 윤정모가 다시 살려 썼다.
윤정모의 소설은 참 오랜만이다.
늘 운동의 한켠을 지켜보고 소설로 쓰는 작가였는데,
이 소설은 예전의 그의 소설과는 좀 다른 느낌이다.

청소년 소설로 쓴 것은 이유가 있을 것이다.
386세대가 스스로를 개혁의 세대라고 우월하게 생각하지만,
그래서 후일담으로 지껄여대고 술안주로 씹어대지만,
그들의 머릿속에서 80년대는 지워져 가고 있는 현실이 작가는 아팠을 것이다.

왜 찔렀지 왜 쏘았지 트럭에 싣고 어딜갔지
망월동의 부릅뜬 눈 수천의 핏발 서려있네...

최루탄 가스와 날이 밝고 밤이 오던 80년대의 5월은 망월동 묘역의 멋대가리없는 기념물로 잊혀져도 좋은 것인가?
아직도 광주는 천박하게 핍박받고 있는데,
그 후예들은 국가유공자라는 당근이나 받아먹고 그 시절을 잊어야 하겠는가?

대화를 하지 못한 사람들.
토론이란 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
그러면서도 자기들이 무식하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
그들은 광주를 <빨갱이>라고 아직도 생각한다.

폭도들을 국가 유공자로 대우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은 일이다.
그들의 세계관, 의식 속에서 <폭도>에 불과한 <광주>는 십자가가 되어 가슴에 박혀 있을 것이다.

윤정모는 애써 잊으려 하는 광주를,
기념 조형물과 잔디로 덮어버리고 미화해 버리려는 민주화 항쟁을,
폭력은 안 된다는 저항의 정신을,
그 건강한 마음을 자라는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던 것이리라.
그것이 후일담 문학을 뛰어넘은 성장 소설의 가치라고 여겼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빨간 기와 3 마음이 자라는 나무 37
차오원쉬엔 지음, 전수정 옮김 / 새움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군가 그랬다.
'교육'이란 말이 잘못되었다고...
'가르쳐 기르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자라는 것을 보는 일이어야 한다고...

그래서 <교육자>, <교사>보다는 <선생>이 더 적절한 어휘라고.
'가르쳐 기르는 이, 올바른 길을 가르치는 이'의 역할보다는, '먼저난 이일 뿐'인 동등한 입장.
그러나 선배이기에 후배의 길을 바라보는 것이다. 사랑과 인내를 가지고...

문화 혁명기, 중국의 청소년들의 성장을 담은 소설이다.
고등학생용 우리말 우리글에 수록되어 많은 학교에서 구입해 둔 듯한데,
문화 혁명이 한국 청소년들에겐 생소하기 그지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특히 제3권은 고교생으로서의 <하이틴>으로서, 이성에 눈뜨는 소년들의 모습을 잘 그리고 있다.
그 하이틴들은 성공적으로 성장하기보다는, 씁쓸한 눈물을 머금고 쓰러진다.
가난과 적은 기회로 인하여 평탄한 교육의 기회를 갖지 못하는 아이들.
인습과 현실 사이에서 인격을 빼앗긴 아이들...

그러나, 그들은 쓰러지면서도 자란다.
가난도, 인습도, 시골이란 환경도 그들에겐 척박하지만 성장의 토양이 되는 것이다.
60년대 성장했다면 지금은 환갑을 바라볼 연배가 되었을 것이다.

그들에게 문화 혁명기는 어떤 빛깔일까?
중학생처럼 얼치기 청소년기의 빨간 기와와,
고등학생의 단맛, 쓴맛을 좀 아는 까만 기와의 추억은...

나의 학창 시절이 쓴맛 중심으로 기억나지만, 간혹 아스라하게 떠오르기도 하는 것은,
그 척박한 토양이 나를 성장하게 했기 때문이리라.

지금 한국의 학교가 가지고 있는 한계. 부조리 속에서도 아이들은 성장한다.
훨씬 강도가 높은 <학대형 학교>에서 아이들은 신음하지만, 때론 밝게 웃고, 때론 울부짖는다.
졸업식 날, 교복을 찢고 밀가루를 뿌려대는 아이들에게 난 솔직히 욕하지 못한다.
오히려, 그래, 이렇게라도 퍼포먼스를 통해 너희를 드러내는 게 오리혀 자연스럽다...란 생각이 든다.

난 건전하지 못한 사고를 가진 교사임에 분명하다.
사회가 요구하는 중립적인 선을 지키지 못하고,
늘 갈팡질팡 줄타기를 하다가 휘딱 뒤집어지고 만다.
교생 실습때부터 수업 시간에 조는 아이들이 불쌍하단 생각이 들더니,
아이들의 저항이 오히려 아름답게 보인다.
난 또 안다. 나처럼 얼치기로 저희들을 이해하는 체 하는 교사가, 그 아이들에겐 더욱 힘들다는 것을.
다른 시간엔 잘 수도 있는데, 난 저희를 재우지도 않는 악랄한 교사라는 것을.

아아, 임빙이 학교에서 느끼는 달콤 쌉싸롬하고 싱그러우면서도 뒷맛이 씁쓸한 하이틴의 감정들을 미각으로 후각으로 가득 느낀 오늘 밤엔, 보름달이라도 화안하게 비친다면 눈물이 쏟아질 것 같다.

새까매서 오히려 좋을 수도 있는, 그믐날 까만 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중에서 길을 물었더니 - 우리 시대 큰스님 33인과의 만남
서화동 지음, 김형주 사진 / 은행나무 / 200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큰스님이라고 불러서 인터뷰도 거절당한 필자는 책 제목에 떡하니, 우리시대 큰스님 33인과의 만남이란 부제를 붙여 두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지승호가 얼마나 훌륭한 인터뷰어인가를 실감한다.

지승호는 일단은 공부를 많이 하고 가고, 인터뷰의 맥락을 읽는 일은 곧 사회를 읽는 공부가 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아쉬운 점은, 산중에 계신 스님들의 귀중한 인터뷰를 필자의 눈에 따라 잘라버렸다는 것이다. 제한된 지면에 실었던 기사였을 때는 그럴 수밖에 없었다 치더라도, 이왕 책으로 묶어냈을 때에는 원 인터뷰를 최대한 살려 실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것이다.

스님들과 나눈 이야기를 핵심만 정리하다 보니, 높은 말씀들이 시들해져 버리고 만 것이다.

불법은 아는 법(지식)이 아니라 보는 법이어서, 직접 그 경지에 가보지 않고서는 대답할 수 없다는 말씀들이 많다.
철저한 공부를 통해 가서 보는 <법>
공부의 공 工은 사람이 땅을 밟고, 하늘을 등에 지고 있는 것이고,
부 夫는 하늘 天을 뚧는 것, 즉 스스로 노력해서 진리가 하늘을 뚫는 게 공부라는 말씀은 새길 만 하다.

중들이 까닭없이 집을 크게 짓고 방을 크게 쓰는 것이 옳지 않다는 말씀도 동감이다.
요즘 절들은 너무 크다. 부처님을 예배하기 위해 크게 짓는 게 아니라, 돈벌이로 크게 짓는다.
교회들도 마찬가지다.

서늘하신 말씀들을 자기는 잘 듣고선, 우리에게 제대로 전하지 못한 필자가 원망스럽다.
표지에 금으로 새긴 글자가 탑을 이뤘는데, 제대로 전했더라면 정말 금자탑이 이뤄질 만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당신은 그 안에 있습니까?
자이쓰 마사키 지음, 김활란 옮김 / 창조문화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산성비를 중국 사람들은 공중귀 空中鬼라고 한단다. 중국인들의 상상력은 훌륭한 면이 많다.

제목이 1%, 당신은 그 안에 있습니까... 이래서 '너, 잘 사냐?' 이런 제목인 줄 알고 펴봤더니, 뜻밖에도 환경 공부하기 좋은 책이다.

아이들이 환경에 대한 조사를 하고자 할 때, 인터넷을 뒤지는 것도 좋지만, 이 책 한 번 읽힐 만 하다.

1%의 뜻은 이렇다.
유럽 소비자 70% 이상은 녹색소비자로서의 책임을 자각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어떤가? 1% 밖에 없다. 이런 취지다.
이 책은 환경에 대한 논설문이 아니라, 디자이너들이 달력에 만들어 넣는 식으로 만들어낸 책이기 때문에, 주제가 눈에 쏙 들어오고, 재미도 있다.

일본인들이 쓰는 나무젓가락(와리바시)이 세계 삼림 벌채의 50%를 사용하며,
우리가 흔히 재활용된다고 착각하는 페트병은 거의 쓰레기에 불과하고,
우유팩도 몇 번 화장지로 재생하는 정도밖에 효용이 없단다.

전국의 불필요한 자동판매기는 24시간 전기를 잡아먹고 있고,
어마어마한 24시간 편의점도 불필요한 에너지를 먹는 불가사리다.
토끼집처럼 좁은 집에도 리모콘이 몇 개나 있고, 거기 사용되는 배터리는 상상을 초월한다.

<전투기 한 대도, 탱크 한 대도 보유하지 않는다. '국방비는 없다. 오직, 전 세계가 동경의 눈으로 바라보는 국가와 국민을 육성하는 데 투자할 뿐이다.> 이것은 코스타리카 아리아스 대통령의 원칙이다.
오, 정말 존경하고 싶은 사람이다.

수명이 다 된 일본 원자력 발전소를 철거하는데, 30년 걸려 철거하고, 폐기물 처리 방법과 장소도 없다.
일본에 이토록 위험한 방사능을 53기나 만들었단다. 우러러볼 정도로 대담한 일이다. 아이들에게 부끄러운 일이다. 한국은 어떤가? 안전하다고 미친 박사들이 광고한다. 자기네 안방에 가져다 놔 보라고 하지. 쳇!

유니크로는 불필요한 자사 제품 플리스(양털처럼 보들보들한 직물)를 회수하겠다고 해서 칭찬을 받는데,
아아, 디자인이 아주 중요한 이 책에서, 오자가 보인다. UNIGLO로 쳤다. Q를 G로 보고 만 실수!
디자이너에게 내가 다 미안하다. 그 아래 고양이 가슴에 Q로 보이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빨간 기와 2 마음이 자라는 나무 37
차오원쉬엔 지음, 전수정 옮김 / 새움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빨간 기와와 까만 기와의 접점을 2권으로 편집한 것은 정말 맘에 안 든다.
아마 두 권으로 만들었으면 가격을 만원 정도밖에 못 받았을 것이다.
그런데 세 권으로 나눠서 8천원으로 했으니 좀 더 벌겠지. 칫.
산다는 건 모두 다 속임수일까?

이 말은, 문화혁명기의 갈등을 잘 나타낸 말이라 생각한다.
한국의 70년대, 망명의 길을 떠난 홍세화씨나 윤이상씨가 그랬을 것이고,
이 땅으로 유학와서 간첩이 된, 서승, 서준식 형제가 그랬을 것이고,
80년 광주에서 산화한 숱한 꽃들과, 시들어버린 꽃들이 그랬을 것이다.

이 땅에서도 산다는 건 모두 다 속임수였다.
중국도 천안문에서 88년 다시 속았다.

빨간 기와는 참 낭만적인 소설이다.
많은 성장 소설들이 그렇듯이,
성장하는 아이들은 사실 제 몸 안의 에너지를 감당하지 못하여, 주변을 살피지 못한다.
그래서 성장 소설은 어른의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제격이다.

이 소설이 회고체로 되어있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어린 아이가 화자가 된다면, 그건 <신빙성이 떨어지는, 그렇지만 더 재미있는> 상황을 연출하기 위한 것일게다. 은희경의 새의 눈물이나,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처럼...

이 책은 뒤로 갈수록, 사소한 띄어쓰기, 오, 탈자가 많이 띈다.
가장 짜증나는 것은 중국 최대의 스승으로 일컬어지는 루쉰(魯迅)의 한자 이름을 盧迅으로 잘못 적었다는 거다. 어떻게 루쉰의 한자를 틀릴 수도 있는 것인지... 이런 사소한 것이 책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것은 생각해 보지 않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매력덩어리다.
화자인 임빙과 여자 친구, 주변의 <도련님들>, 뭐니뭐니해도, 왕유안 교장 선생님의 복귀는 전설과도 같았고, 못난이 작문 선생님 <아이원>은 선생님이란 어떠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하는 귀감이 된다.

폐허에 핀 꽃도 아름답다.
역시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6-03-26 19: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떻게 루쉰의 한자어를 틀릴 수 있는지 정말 루쉰의 왕팬으로서 화가 나네요

글샘 2006-03-26 2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죠, 맞죠. 그런 거죠? 제가 이상한 게 아닌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