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쾌하게 읽는 불교
고명석 지음 / 동숭동 / 2005년 2월
평점 :
품절
제목을 보고는 명쾌한 이야기들을 통해 불교의 논리들을 꿰뚫는 책을 기대하고 펴 들었다.
그렇지만, 열 장 정도 읽었을 때, 그게 아님을 깨닫게 되는 책.
뭐랄까, 불교에 대한 기본편 써머리라고나 할까?
지은이가 불교 공부를 하면서, 교리와 수행의 맥을 짚은 불교 입문서가 없어서 좀 답답했던가 보다.
나처럼 불교 연구가도 아니고, 불교 신자도 아닌 사람이,
그저 수행의 한 방도로 불교 관련 서적도 읽고, 불경도 사경해 보는 사람으로서는,
이런 책은 좀 마땅치 않다.
왠지 이 책을 읽으면서는 밑줄을 좍 그으면서 암기해야할 것처럼 정리해 놓은 책이다.
4무량심을 읽으면서, 자비희사 慈悲喜捨를 만났는데, 버린다는 데 생각이 오래 머물렀다.
자상하고, 큰 사랑으로 슬프고, 기뻐하는 마음에 모든 상을 버리는 마음. 무량한 마음
4홍서원도 느낌이 크다.
중생을 끝없이 제도하고, 번뇌 가없어도 끊으며, 법문이 무량해도 배우고, 불도가 더없이 높아도 이루겠다는 투철한 수행의 서원
구운몽 같은 책에 나오는 <호승>이 서역승이란 것도 배웠다.
한국의 선의 특징은 간화선인데, 몰록 자기 자신의 본래 모습을 보라고 한다.
그 절차에서 誓願, 捨緣 , 調食, 調眠, 擇處, 調身. 調氣, 調心, 辨魔, 護持
여기서도 사연이 보인다. 인연을 버리라... 버리라. 버리라.
비우고, 버리라.
그러면, 자, 비, 희가 온다. 공에서 몰록, 자, 비 희, 사가 오리라.
아상을 버리고, 인상을 버리고,
제 잘난 맛에 살지 말고, 남 못났다 깔보지 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