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르칠 수 있는 용기
파커 J. 파머 지음, 이종인 옮김 / 한문화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방학을 맞아 전 직원이 여행을 떠났다.
요즘은 예전에 비해, 버스 안이 조용해서 좋다.
전엔 버스 안에서 음주와 노래방 모드가 혼재해서 관광버스는 그야말로 <혼돈의 도가니>였던 데 비하면...
여간해서 잠이 오지 않아서 비상용 책을 펴 들었다.
표지를 보고, 오지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에 대한 용기 같은 걸 떠올렸던 것 같은데,
책을 펴들고는 공감하는 대목에 진도가 빨라졌다.
이 책을 중간 정도 읽고는 눈이 피곤해서 좀 쉬었는데,
그 이후는 별로 새로운 것이 없었다.
이 책에서 저자가 말하는 것은 몇 가지 안 되지만, 교직에 몸 담은지 이십 년에서 몇 년 빠지는 나로선,
동감할 부분이 정말 많았다.
내가 초보 교사이던 시절,
아이들이 떠들고, 말을 안 듣고,
수업을 잘 듣는 것 같지 않고,
내 말은 아이들에게 감동적으로 날아가지 않을 때,
교실에 들어가기가 <도살장에 끌려가는 소>에 비유됨이 적절함에 동감했다.
그런데, 십년도 훨씬 넘은 지금,
내가 아이들을 조용히 시킬 줄 아는 기술은 익혔지만,
아이들에게 내 수업이 정확히 먹혀들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여전하단 생각이다.
아이들이 나에게서 공포를 느끼게 되었고,
나도 아이, 수업, 우리의 관계, 그리고 나 같은 것들에게 여전히 공포를 느끼고 있다.
변한 것이라면, 아이들은 나를 멀게 생각한다는 것.
내가 초보 시절, 경력 많은 선생님들의 앞에선 고분고분하던 그 아이들을 떠올리면, 좀 부끄럽다.
그래서 그랬던가 보다.
초보때 아이들을 가장 잘 가르칠 수 있다고...
지금 십여 년 전보담은 국어란 교과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수업 기술도 훨씬 늘었다고 생각하지만,
테크닉으로 아이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것은 명백한 한계를 지닌다는 사실을...
내 마음이 사랑으로 가득했고,
그래서 아이들 앞에서 두려웠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들과 잘 지낼 수 있었던 그 아름답던 시절을 추억하게 해 준 책이다.
가르침에는 용기가 필요하다. 맞다.
가르치는 사람으로서, 늘 자괴감을 갖게 되는데,
문제는 내 앞에 선 그 무능력한 아이들이 아니라, 그 아이들 앞에서 <무기력>을 느끼는 <나 자신>이다.
이제 다시 방학이다.
모르는 사람들은 교사들이 방학이면 완전히 학교에서 해방된다고 생각할는지 모른다.
그렇지만, 아는 사람들은 안다.
방학이 없다면 교사들의 퇴직 신청이 얼마나 많이 늘어날 것인지를...
방학을 통해서 녹이 낀 자신을 닦아 내려고 연수원 강의실은 얼마나 후끈 달아 오르는지를...
집에서만 보낸 방학보다 연수원에서 보낸 방학이 훨씬 아름다운 기억으로 남아 있음을...
다음 주부터 2주간 <중등학교 전문 상담 과정>을 수강하게 되었다.
1년간 실업계 아이들의 무식함을 탓했던 나 자신을 닦는 기회가 되도록 만들 생각이다.
그리고 남은 방학 동안은 교지를 만들러 다녀야 한다.
별로 보는 사람도 없는 책을 만드는 데, 힘을 쏟기가 귀찮긴 하지만,
내 이름이 뒤에 조그맣게 찍히는 책에, 맞춤법 오자 투성이인 책을 만들 순 없는 노릇이다.
교지는 아주 얇게 만들 계획이다.
예산은 많지만, 많이 남길 계획이다. 돈이 아까워서.
내 돈은 아니지만, 그것이 모두 혈세가 아닌가 말이다.
솔직히 교지 나눠주고 나면, 버리는 것이 절반 이상이다.
조선일보 욕할 것이 아니다. 내년엔 우리 학교에서 먼저 교지 없애기를 해 보고, 결과가 좋으면, 널리 힘을 모아볼까 생각 중이다.
고등학교 하나에서 드는 돈이 500-1000만원이다. 부산만 해도 고등학교가 1300여개니깐 연간 수십 억의 돈이 교지란 책으로 낭비된단 생각을 하면, 아깝기 그지없다.
이 책을 <지친 교사>들이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
방학을 통해, 우리 교사가 얻어야 할 것은,
해외 여행을 통한 견문도, 많은 공부를 통한 지식도 아닌,
또 다음 학기를 버텨낼 <용기>이고,
나 자신 가치로운 인간임을 깨닫게 되는 <계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