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유로서의 질병 ㅣ 이후 오퍼스 9
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 이후 / 2002년 12월
평점 :
품절
누구나 중학교 가면, 비유법이란 게 있다고 배운다. 초등학교에서도 배우기도 한다.
그런데, 비유법이 뭐지?(이 글 읽으시는 분, 뭐죠?)
하고 물어 보면, 막상 답하기가 막막할 것이다. 비유법의 뜻을 말하지 못하고 ... 직유법, 은유법, 의인법... 이렇게 비유법의 종류를 나열하는 분도 계실 것이고... ㅎㅎㅎ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은유란 어떤 사물에다 다른 사물에 속하는 이름을 전용하는 것이다."고 한다.
곧, 그것이-아닌-다른 것으로, 또는 그것이-아닌-다른 것처럼 보이는 것으로 어떤 사물을 부르는 것을 은유라고 한다.
이 글에서 쓰인 은유는 비유라고 넓게 생각해서 썼다고 생각해도 좋다.
은유로서의 질병, 이 책은 수전 손택의 이름을 보고 선택한 책이다. 그의 글을 읽고 싶었다.
다른 이들이 수전 손택의 책을 읽고 쓴 리뷰들을 보고, 꽤 괜찮은 여자일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책을 읽고 난 느낌은 <그 여자 정말 괜찮은 여자군>이다. 책이 좋다는 이야기다. 글쓰는 방식이 내 맘에 들었다는 이야기다.
이름에 일요일(Sontag은 독일어로 일요일)을 단 여자.
그러나 그의 삶은 일요일처럼 평화롭지 않았다.
표지에 그가 누워서 생각에 잠긴(ㅋㅋ 포즈를 취한) 사진이 실려 있다.
왜 이런 사진을 실었나.. 했는데, 그에겐 유방이 없었다. 그저 평평한 가슴을 보여주려고 찍은 사진일 따름이다. 그것이 이 글을 쓴 의도에 직접적으로 닿아 있다.
그는 암에 걸렸다. 그랬는데, 암에 걸리고 나니까 세상 사람들이 말하는 <암>이란 소리가 크게 들렸을 것이다. 그러면서 들어 보니깐, 암을 아주 몹쓸 병으로 취급한다는 데 생각이 미쳤다.
<암>에 걸리지 않은 사람들은 <암>을 온갖 몹쓸 상황에 비유해 대고 있었던 것이다. 암종같은, 암적인 존재... 등으로. 그래서 글을 읽으며 암과 관련된 글들을 찾았다.
암이라고 하면, 세포가 굳어가는 병, 더러워지는 병이라고 인식되어 있더라는 것이다. 유일하게 깨끗하게 생각하는 암이 <혈액암>인 백혈병이다. 그래서 청순한 이미지의 소녀들은 백혈병으로 죽어 가게 그려지는 것이다.
마치 수십 년 전, 결핵이 낭만적인 질병으로 오인되었던 것처럼. 그는 결핵에 담긴 오해를 푸는 데도 상당한 지면을 할애한다.
암에 걸려 보니, 암을 치료하는 용어들도 너무도 전투적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암에 걸리기 쉬운 사람들의 체질과 같은 근거 없는 믿음들이 너무도 일반적이었다는 것도... 스트레스가 암을 유발한다는 것은 지금도 널리 퍼진 믿음인데, 스트레스가 결핵을 가져온다는 웃음거리와 비슷하다고 그는 느낀다.
암에 걸린 사람들은 <아픈 사람들>로 가감없이 받아들이지 못하고 <암에 걸릴 만한 기질>을 가지고 있어서 암에 걸린 <우울한 사람들>로 바라보는 세상의 눈을 그는 냉정하게 객관적으로 고발하고 있다.
우린 이렇게 경험해 보지 못한 세상을 <책>이라는 간접 경험을 통해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책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은 얼마나 고마운 일인지를 실감케 하는 책이었다.
유치한 첫사랑 이야기, 감동적인 이야기는 세상에 어디 가나 널려 있다.
그러나, 병원 24시가 우리에게 찡한 감동을 주는 이유는 한 번 뿐이라고 여기는 이 삶을 소모시키는 과정을 그렇지 않다고 착각하고 있는 우리에게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이리라.
현대에 암은 정복 대상이 아니라, 미래엔 치료 가능한 하나의 <질병 disease>으로, 그야말로 ease 편안하지 dis 않은 상태로 이해되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그의 친구가 AIDS에 감염되었다.
그리고 에이즈는 또다른 오염으로, 그 질병에 낙인찍으며, 나아가 그 질병을 앓는 사람들에게 까지 낙인을 찍는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 책을 쓰게 된다.
나는 암 환자임을 당당하게 밝히는 수전 손택의 책을 읽으면서, 삶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죽음에 다가가는 법을 공부해 보아야겠단 생각이 든다.
죽음을 소모라고 생각함에서 비롯된 인류의 숱한 오해들을, 착각들을 바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