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깨달음의 연금술 - 나를 통하여 이르는 자유
게이트 지음 / 유란시아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깨달음의 연금술, 연금술이란 금을 구하는 기술을 뜻한다. 금을 만들어 보려고 숱한 노력을 했다.
깨달음을 얻기 위해 인류는 얼마나 노력해 왔던가 말이다. 그런데... 이 책을 읽어 보면, 깨달음 그거 별거 아니다.
부처님 말씀처럼 어렵지도 않고, 예수님 말씀처럼 딱딱하거나 복잡하지도 않다.
이름도 그저 '문'이다. 게이트란 무엇이 있어서 게이트가 아니다. 그저, 그 곳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아무 것도 없어야 그것이 문이다. 딱 가로막혀 있으면 전혀 문의 역할을 할 수가 없다. 그러나 도어와 게이트는 좀 차이가 난다. 도어란 문에는 그저 설치되어 있는 사물에 중심이 있는 것이지만, 게이트의 문에는 누군가가 통행하는 것이 조건으로 내걸린다.
통행의 조건으로 설치된 게이트... 이 게이트는 우리를 손짓해 부른다.
그래서 읽어 보면, 별것도 없다. 그저 누구나 읽고 웃어 버릴 수 있다. 그렇지만, 가벼움을 통해서 깨달음이라는 <금>을 얻는 법을 체험하게 하는 책이다. 가볍지만 가볍지 않은 책이라고 할까.
나를 통하여 이르는 자유라는 부제를 붙였다. '나'를 살면서 '나'에 얽매이는 나날에 <꿈을 깨라!>는 속삭임을 들려주는 이야기. 영적으로 풍요로운 <나>를 나의 주인으로 삼자는 이야기.
나를 혼란의 수렁으로 빠뜨리는 장본인도 바로 <나>고,
나를 우주 만물의 주인공으로 세우는 것도 바로 <나>다.
모든 색, 유위법이 곧 공임을 인지할 수 있는 주체도 <나>이고,
세상 모든 공한 것에서 모든 존재가 나고 스러짐을 깨닫는 것도 <나>이다.
이 가을이 그저 흐르는 것이 아쉬워, 교무실 책상 위에 보랏빛과 흰빛 국화 화분 둘 올려 두었다.
날마다 물 주면서 잘 자라라고 빌어주니, 한 송이, 잎 하나씩 활짝 웃음 짓는다.
썰렁하던 교무실에서 햇살 비치는 내 자리에 환한 국화 분 둘 놓았을 뿐인데,
한결 분위기가 정겹고 다사랍다. 지나치는 사람들 눈길도 한층 따스해 보인다.
말 한마디라도 더 거들게 만드는 화분 하나, 꽃 한 송이.
작년 이맘때, 이 자리가 내 자리라고 생각한 적 없듯이,
한 달 전, 그 화분 놓였던 자리엔 먼지만 소복이 쌓였더랬는데,
화분 속 국화들이 다소곳이 고개들고 앉은 이 자리,
언제 주인 바뀌고 새 책들이 꽂힐지 알 수 없지만,
국화들은 시들면서 아쉽단 소리 한 마디 남기지 않으리.
사랑하는 사람아,
마음을 활짝 열어 보아라.
바람이 마음껏 너의 존재를 통과하도록...
너의 모든 생각을 쓸고 가도록...
바람에게 모든 것을 허용해 보아라.
그리하여 마침내 바람마저 투과하는,
바람보다 더 자유로운 존재가 되어 보아라.
그리고 그렇게 너는,
바람의 전설이 될 것이다.
도서관에서 만나게 된다면, 그의 다른 책들, <신비의 문>과 <안녕! 사랑하는 나의 하느님들>도 읽어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