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오디세이 3 미학 오디세이 20주년 기념판 3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CJK, 이 석자가 표지에서 시종 거슬린다.

"원래 말할 가치가 있는 것은, 내용으로 첨부되는 게 아니라, 형식 속에 침전되는 것."

이런 중요한 걸 아는 저자가 왜 표지에 지 이름 석자를, 그것도 미제 글자로 떡하니 박아 두었단 말인가.

이 책의 뒷표지엔 알라딘의 어느 독자 리뷰에, 쉽게 쓰였고 이해하기 쉽다고 한 서평이 적혀 있지만, 미학과 그렇게 멀리 살아오지 않았다고 착각하는 나에게 이 책은 충분히 어려웠다.

'가상'과 '진리' 사이를 오간다는 예술의 진자를 작가는 잘도 따라가는 것 같지만, 나는 능력(Konnen) 부족을 의지(Wollen)로 읽었다는 쪽이 가깝다.

美란 '알 수 없는 그 무엇'이란 명제에는 동감이다.

'어렸을 적에 우연히 들어간 대나무 숲은 푸른색 숨결을 내뿜고 있었다. 이 신비야 말로 진짜 자연이다.'고 하며 '아우라'를 설명하는 부분은 탁견이다. 올 6월 교육과정 평가원 모의고사에도 실린 부분이다. (난 수능이 정말 대학 입학 고사의 수준으로 적합한지 상당히 회의적인 국어 선생이다.)

몇달 전, 트로이를 볼 때, 트로이 성 앞의 금빛 신상을 보았다. 그 신상이 있던 자리는 바다와 어울려 정말 신성한 아우라를 느낄 수 있던 자리였다. 그 많던 그리스, 로마, 이집트의 신전, 제단, 오벨리스크, 그리고 숱한 프레스코화들, 그것들이 '존재'하던 바로 그 자리에서 우러나는 아우라를,

합리주의적 정신이라는 이름의 제국주의자들은 신비가 존재하는 것을 못견뎌해 그 비밀을 밝혀내 굳이 자연의 아우라를 깨뜨리고 만다. 영국, 빠리의 박물관, 광장들의 미술품들은 그래서 아름답기 이전에 날 다리만 아프게 했던가.

그는 에셔, 마그리뜨, 피라네시의 알레고리를 통해, 눈에 보이는 형체는 아무 의미도 없으나, 뭔가 다른 무언가를 말하려고 우의적 기법을 다양하게 구사한다.

그리고 플라톤, 아리스, 디오게네스의 투박한 대화들과 구어적 문체도 글을 쉽게 읽도록 한 형식적 배려로 보인다.

그러나 이 관점은 역시 고전에 치중한 1권에서 유효했고, 우연의 카오스가 필연의 코스모스를 뒤엎어 우연과 필연의 카오스모스로 변해버린 현대 예술의 이해에는 그닥 효과적인 것 같지 않다.

개체 발생은 계통 발생을 반복 하듯이, 모든 위대한 화가는 자기만의 미술사를 갖고 있다. 진중권의 이 저작은 그의 폭넓은 비평 활동의 한 함축이라 하기엔 아직 좀 미흡해 보이지만...

유홍준(그도 미학과 출신이다.)의 답사기 1권이 '아무리 가까운 말투와 쉬운 예들을 들어 말해도 어떤 먼 것의 일회적 나타남'을 지닌 원작의 아우라를 가진 데 반해, 2권이 멀리 있어도 가까운 것이 반복된 듯한 복제의 아우라를 보여주었던 것은, 문화재에 대한 그의 독보적인 아우라가 1권에 집약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느낀 적이 있었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현대 커뮤니케이션의 복제술은 "피카소를 보는 보수적 태도를 채플린을 보는 진보적 태도로 바꿔" 주듯이, 매체는 대중을 주체로 만든다고 한 그의 말처럼, 이 책의 제 1권은 충분히 미학 오디세이의 제목을 붙일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본다.

다시 돌아와, 갓낫아이 이름을 원주로 붙일까, 지현이로 붙일까를 고민하던 전씨 부부가 내지른 말, "그래, 전원주가 전지현보다 이쁘다!"는 우리의 눈을 고정시키지 말라는 경고로 듣고 있다.

P.s. 이 책의 저자가 이 비평적인 리뷰를 읽는다면 상당히 기분나쁠 것이다. 이 참에 더 기분나쁘게 하자.

1권 166쪽의 정 12면체는 정20면체의 오류다. 개정 전 저지른 오류를 그대로 싣는 것은 나쁜 일이다.

3권 316쪽의 스탈린의 순서를 다시 보시길...

CJK, 너무 기분 나쁘신가. 그럼 칭찬 한마디. 개정 전의 칼레이도치클루스는 따라 만들기 어려웠는데, 이번 책에선 좀더 상세한 그림을 덧붙인 점, 훌륭하다. (근데 순서가 좀 이상하긴 마찬가지인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십분심사 일분어(十分心思一分語)란, 품은 사랑은 가슴이 벅차건만 다 말 못하는 정경(情景)을 가리킴인 듯하다.

이렇듯 다 말 못하는 사정은 남녀간 정한사(情恨事)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일체 표현이 모두 그렇지 않은가 느껴진다. 부끄러워서가 아니라 뜻을 세울 수가 없고 말을 붙일 수가 없어 꼼짝 못하는 수가 얼마든지 있다.

나는 문갑 위에 조선 시대의 제기(祭器) 하나를 놓고 무시로 바라본다. 그리 오랜 것은 아니로되, 거미줄처럼 금 간 틈틈이 옛사람들의 생활의 때가 푹 배어 있다, 날카롭게 어여낸 여덟 모의 굽이 우뚝 자리잡은 위에 엷고, 우긋하고, 매끄럽게 연잎처럼 자연스럽게 변두리가 훨쩍 피인 그릇이다. 고려 자기 같은 비취빛을 엷게 띠었는데, 그 맑음, 담수에서 자란 고기 같고, 그 넓음, 하늘이 온통 내려앉아도 능히 다 담을 듯 싶다. 그리고 고요하다.

가끔 옆에서 묻는 이가 있다. 그 그릇이 어디가 그리 좋으냐 함이다. 나는 더러 지금 쓴 것과 같이 수사(修辭)에 힘들여 설명해 본다. 해 보면 번번이 안 하니만 못하게 부족하다. 내가 이 제기가 가진 정말 좋음을 십분지일도 건드려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더욱 그럴싸한 제환공(齊桓公)과 어떤 노목수(老木手)의 이야기가 생각난다.

한 번, 환공이 당상(堂上)에 앉아 글을 읽노라니 정하(庭下)에서 수레를 짜던 늙은 목수가 톱질을 멈추고, 읽으시는 책이 무슨 책이오니까 물었다.

환공이 대답하기를, 옛 성인의 책이라 하니, 그럼 대감께서 읽으시는 책도 옛날 어른들의 찌꺼기올시다그려 한다. 공인(工人)의 말투로 너무 무엄하여 환공이 노기를 띠고, 그게 말인가 성인의 책을 찌꺼기라 하니 찌꺼기 될 연유를 들어야지 그렇지 못하면 살려 두지 않으리라 하였다. 늙은 목수 자약(自若)하여 아래와 같이 아뢰었다 한다.

저는 목수라 치목(治木)하는 예를 들어 아뢰오리다. 톱질을 해 보더라도 느리게 다리면 엇먹고, 급하게 다리면 톱이 박혀 내려 가질 않습니다. 그래 너무 느리지도 너무 급하지도 않게 다리는 데 묘리(妙理)가 있습니다만, 그건 손이 익고 마음에 통해서 저만 알고 그렇게 할 뿐이지 말로 형용해 남에게 그대로 시킬 수는 없습니다. 아마 옛적 어른들께서도 정말 전해 주고 싶은 것은 모두 이러해서 품은 채 죽은 줄로 아옵니다. 그렇다면 지금 대감께서 읽으시는 책도 옛 사람의 찌꺼기쯤으로 불러 과언이 아닐까 하옵니다.”

환공이 물론 턱을 끄덕였으리라 믿거니와 설화(說話)나 문장(文章)이나 그것들이 한 묘(妙)의 경지(境地)의 것을 발표하는 기구로는 너무 무능한 것임을 요새 와 점점 절실하게 느끼는 바다. 선승(禪僧)들의 불립문자(不立文字)에 더욱 일깨워짐이 있다.

 

                        ― 이태준, <일분어(一分語)>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언어영역 문제집을 풀어주고 있노라면 꽤 그럴듯한 글들을 많이 만난다.

어느 문제에서 자신과 의견이 다른 사람을 설득할 때 명심해야 할 중요한 사항으로 예가 나왔는데...

경청하기 : 사람들은 많은 말을 해 주는 사람보다 자신의 말을 잘 들어 주는 사람을 더 필요로 한다. 상대의 말이 끝날 때까지 잘 경청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동의하기 : 그 사람이 옳지 않다고 생각되는 때조차도 당신이 어떻게 상냥하게 그를 대할 수 있는지를 배울 필요가 있다. 상대방이 하는 말에 당신이 동의하지 않는다면 그냥 당신 스스로만 생각하고, 동의하지 않는다는 당신의 입장을 굳이 말하지 말라.

논쟁하지 않기 : 당신이 옳든 그르든 논쟁에 빠지는 것은 자멸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양쪽 모두 이기는 사람도 없이 잃는 것만 너무  많다.

설득하기 : 다른 사람을 설득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그들이 원하는 것을 갖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신뢰 얻기 : 사람들은 나의 생각이라며 직접적으로 해 주는 말에는 자동적으로 의문을 품지만 제 삼자가 한 말에 대해서는 거의 의심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들의 말을 인용하라. 당신의 것이 아닌 그들의 신용도를 이용하라.

결정 돕기 : 큰 결정들은 항상 작은 결정들이 모여서 말들어진다. 그들이 했으면 하는 일이 무엇이든 그 결정을 작은 조각으로 쪼개어, '예'라는 대답이 나오도록 질문들을 던져라.

''''''''''''''''''''''''''''''''

다른 사람을 설득하기, 원하는 것을 갖도록 도와주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이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 2004-09-20 1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큰 결정들을 작은 결정들로 쪼개어......이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21세기 먼나라 이웃나라 미국편 - 전3권 - 미국 역사, 미국인, 대통령 먼나라 이웃나라
이원복 지음 / 김영사 / 200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어렸을 때, 미국은 영어를 쓰는 나라였고, 좀 자라서는 미국은 아름다운 이땅 금수 강산을 지켜준 우방이었고, 가끔 미국 대통령이 우리나라라도 방문할라치면 온 나라가 잔칫집 분위기(방송상으로는)로 들썩거린 기억이 난다.

대학생이 되어서 대자보에서 읽은 미국은 국가독점자본주의의 매판 정권을 조종하는 배후세력이었고, 80년 광주를 승인한 악마였으며, 운디드니에 묻힌 숱한 인디언들의 불공대천의 원수이자, 현대의 저강도 경제 정책으로 세계 경제 구조를 재편하는 신 제국주의 국가의 맹주였다.

이제 소련이 분열되고 사회주의 국가들이 수정자본주의로 돌아선 지금, 세계유일의 초강대국 미국은 경쟁 상대 없는 망나니이며 그 망나니를 말릴 사람 없는 인류의 웬수 덩어리가 되었다. 저런 놈을 불가사리라 하랴, 고질라라 하랴...

그러나 적을 알아야 내가 위태롭지 않다고 했다. 미국은 결국 모든 나라의 공적이라 할 수 있는데, 미국을 아는 것은 세계를 아는 첫 단추로 아주 중요하다. 이제껏 우리가 알던 미국은 너무 좋고 고마운 엉클 샘이었든지, 아니면 악의 화신인 미제국주의자의 가면에 불과했던 것이 아닌가 하고 반성하게하는 책이다.

그들의 역사를 읽으면, 왜 그들의 현재가 그토록 화려하면서도 추할 수 밖에 없는지 알게 된다. 이 역사책을 읽으면 피비린내가 진동하고, 끊임없는 대립의 역사 속에서도 지배자가 없던 신대륙에 꽃피운 그들만의 독특한 역사를 읽을 수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팽이 2004-09-20 0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국의 역사를 사회과학적으로 아는 것도 필요하지만 미국이 가진 긍정적인 면을 또 다른 차원에서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현상적인 면만 보는 것이 아니라면 미국사회가 가진 동양의 정신문화를 받아들이는 개방성과 속도 그리고 그 속에서의 재생산의 가능성도 말입니다. 나아가 불교도 이슬람교도 유대교, 인디언의 영적 전통 및 대안세계에 대한 밑그림의 가장 심오한 전통도 미국에서 역수출되는 현상입니다. 사회적 모순이 극화된 곳에 그 모순의 해결가능성도 극대화된다는 생각이 한편으로는 드는 것도 부정할 수 없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