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녀 - 유혹과 저주의 미술사 ㅣ 해시태그 아트북
알릭스 파레 지음, 박아르마 옮김 / 미술문화 / 2021년 6월
평점 :

마녀 : 유혹과 저주의 미술사
예술일반 / 알릭스 파래 / 미술문화
중세의 광기에서 부화한 마녀
끔찍하고 아름다운 그들의 초상
- 책 표지 문구 인용 -
오늘날에 마녀의 이미지는 대중문화와 영화, 문학, 언론을 통해 상당히 매력적인 존재로 대중들에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어릴적에만 해도 읽었었던 동화속에서 마녀는 늙고 추레하며 사악한 존재로 언제나 착한 주인공을 괴롭히고 죽이려고 애쓰는 사악한 존재로 나왔었습니다.
이런 마녀의 이미지의 그 기원에는 중세의 광기가 있는 것이 아닐까합니다. 중세말 페스트와 백년전쟁, 카톨릭교회의 분열과 자연재해 등의 대재난은 사람들의 삶을 황폐하게 만들었고 책임을 물을 대상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때 여성은 약하고 무지하며 감시받아 마땅한 존재로 치부했던 가부장제 사회속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여성들이 남성을 공포에 떨게했을 터 그녀들은 곧 마녀가 되었고 훌륭한 먹잇감이 됩니다.
이 책은 중세의 광기에서 부화한 마녀의 비극적인 역사를 중세에서 근대까지 마녀의 탄압의 역사를 세계의 마녀의 이야기와 명화을 통해서 본 마녀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1580년 부터 1670년까지 마녀 사냥이 확산되면서 마녀재판에 오른 여성의 유죄판결 역사 증가하였고 17세기에 이르러 여러 화가들이 마녀 혹은 마녀가 집회에 참석하는 장면을 전문적으로 그리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18세기에 이르러서야 화형태의 불은 꺼졌고 사람들의 관심은 마녀에서 조금씩 벗어나 거의 사라져 가는 상황에서 마녀의 이미지를 낭만주의 예술가들이 문학저이고 시적인 방식으로 다시금 마녀를 다뤘고, 그림, 비문, 삽화등 셀 수 없이 많이 양산이 되어 유행을 하다가 1890년에서 1900년 사이에 절정에 이르렀고 에르티시즘과 퇴폐적인 미학과 자연스레 뒤섞였다고 하네요


책에서는 세계의 마녀 5을 소개합니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마녀중에서 가장 유명한 마녀인 키르케, 러시아와 동유럽 동화에 아이들을 잡아먹는 흉측한 노파 마녀 바바 야가, 17세기 미국을 공포로 몰아 놓은 세일럼 마녀, 일본의 다키야샤 공주, 영국의 맥베스의 마녀들 입니다.
" 여기, 그녀는 독초 뿌리에서 짜낸 액체를 쏟아 부으면서 영묘한 목소리로
뜻 모를 말이 뒤섞인 정체불명의 주문을 아홉 번 중얼거린다." - 93
책 표지의 주인공이기도 한 그리스 신화속의 키르케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등장하는 매혹적인 마녀입니다. 뛰어난 마술 능력과 아름다운 외모로 오디세우스를 유혹하며 물약으로 가득 찬 술잔을 전냅니다. 키르케는 오디세우스와 일 년을 함께 살며 아들 텔레로노스를 낳기도 했는데 , 수 세기에 걸쳐 그림의 주제이자 희곡으 등장인물이 될 정도로 사랑받는 마녀였습니다.
책 표지의 키르케는 유명한 여배우 틸라 뒤리인데 연극에서 키르케의 역을 하는 모습에 반한 화가가 연극 그 장면을 그대로 그림에 담았다고 합니다.
아래 그림은 1692년 세일럼이라는 마을에서 마녀사냥으로 인해 19명이 교수형을 당하는 사건이 벌어지는데, 영악한 아이들의 거짓말과 연극으로 인해서 수많은 과부, 가난한 사람들이 희생된 비극이죠. 계몽주의 이전시대에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을 사회적 약자들에게 전가한 대표적인 예인 것 같습니다.

18세기 작가미상의 <뿔 달린 마녀 >의 그림은 상당히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사실 마녀의 그림이라면은 두가지로 이미지로 보는데 젊고 관능적이고 유혹적인 마녀이거나 늙고 등이 휜 흉측하고 사악한 노파의 모습이거나요. 이 그림에 얽힌 이야기는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이 여인에 대한 정체는 여전히 불가사의하지만 몇가지 가설이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마녀의 모습은 아니고 마녀로 분장한 여인일 것이라 추정하는데 루이14세와 그의 정부인 몽테스팡 사이의 딸로 고약한 성미로 유명해서 그의 남편은 그녀를 '루시퍼 부인'이라고 불렀다고 하죠. 실제 루이14세의 또다른 정부가 독약 사건으로 죽자 그녀의 어머니인 몽테스팡 부인이 의심을 받았는데 몽테스팡 부인이 그녀의 딸의 마법을 이용했다고 소문이 있었다죠.
책은 40점의 명화 작품을 통해서 다양한 마녀의 모습을 설명하면서 그 탄압의 역사를 알려줍니다.
저마다의 상상력을 이용해서 그려낸 마녀의 모습은 강렬하고 독특합니다. 그리고 세계의 5대 마녀의 이야기도 중간중간에 들려주어서 지루함이 없이 책을 읽을 수가 있어서 좋았습니다.
또 마녀의 그림들의 변천사를 통해서 여성을 향한 사회의 인식이 어땠는지 그 탄압의 역사와 변화되어 가는 모습을 보는 것도 좋았습니다.
- 서평이벤트에 당첨되어 책만 제공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리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