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리엇 - 175년 동안 바다를 품고 살았던 갈라파고스 거북 이야기 ㅣ 보름달문고 45
한윤섭 지음, 서영아 그림 / 문학동네 / 2011년 6월
평점 :
내가 가장 두려울 때는 현재의 나를 바꿔야 하는 현실과 직면할 때와 새로운 환경에 던져진 내 자신을 마주할 때다. 그런 상황에서는 내면의 두려움으로 인해 모든 감정이 몸속에 새겨지는 것 같다. 그럴 때 내게 누군가 손을 내밀어주면 이상하게 고마움보다 서러움을 먼저 느껴 울어버리고 만다. 그런 내가 요즘에는 타인에게 먼저 다가가 도와달라고 말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 내가 손을 내밀면 진심으로 나의 문제를 받아준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기 때문이다.
태어난 지 몇 달 되지 않은 원숭이 찰리도 나처럼 두려운 상황에 놓여 있었다. 엄마와 헤어져 동물원에 보내진 찰리는 새로운 환경에 불안함을 느꼈다. 그런 찰리를 보고 다른 원숭이는 ‘중요한 건 도망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거야. 어차피 네가 살았던 숲도 원숭이의 세상이 아니라 사람들의 세상이거든.’(19쪽) 이라며 앞으로 펼쳐질 험난한 생활을 암시해 주었다. 우연히 테드라는 아이의 눈에 띄어 그들이 원하는 생활에 맞추어 살아가지만 다시 동물원으로 보내졌고, 그곳은 그동안 상상할 수 없었던 고난이 기다리고 있었다.
새로운 우리에 갇힌 찰리는 거친 개코원숭이 스미스에게 첫 날부터 괴롭힘을 당한다. 돌에 맞고 협박을 당하며 절망의 한 가운데 있을 때, 구원처럼 175년을 살아온 갈라파고스 거북 해리엇이 찰리에게 온다.
“처음이라 쉽지 않을 거야. 그리고 외로울 거야. 난 네 마음을 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라. 여기는 너 혼자가 아니다. 그걸 알려 주고 싶어 온 거야.”(61쪽)
그리고 두려워하지 말라며, 나는 너의 친구라며 찰리를 위로한다. 철저히 혼자라고 느꼈던 찰리, 그런 찰리를 보면서 앞으로의 동물원 생활이 절망적일 거라고 단정 지었던 나 또한 해리엇의 등장으로 한 줄기 희망을 보았다. 찰리에게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나를 향해 해리엇이 다정스레 말하는 것 같아 순간 눈앞이 흐려지고 말았다. 타인에게 드러내지 못한 나의 감정, 나의 내면 깊숙이 박혀 있는 외로움이 해리엇의 한 마디로 모두 드러남과 동시에 스르르 녹아버리는 기분이었다.
해리엇은 찰리를 위해 같이 밤을 보내 주었지만 스미스의 괴롭힘은 끝이 없었다. 우연히 철창 열쇠를 갖게 된 찰리를 끊임없이 협박하는 스미스를 보며 결국 해리엇은 찰리를 보호하기 위해 사육사에게 몸으로 자신의 뜻을 전한다. 새로운 우리로 옮긴 찰리는 위기에서 벗어났지만 동물원의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숙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다행히 해리엇과 함께 할 수 있어 안심이 되었지만 적대적인 스미스는 늘 두려웠다.
그러던 어느 날 스미스의 아기 원숭이가 사탕이 목에 걸려 목숨이 위태로운 사건이 일어난다. 찰리는 자기가 가진 열쇠로 문을 열고 너구리 올드와 함께 아기 원숭이를 구하려 했지만 그토록 열쇠를 원하는 스미스에게 공격을 당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하지만 아기 원숭이의 생명이 위태로워 올드와 함께 원숭이들의 우리로 향하게 되는데, 아기 원숭이를 구하고 다시 철문을 닫고 나오려는 순간까지 긴장감을 늦출 수 없었다. 그러나 스미스는 천천히 하라며 문을 닫는 찰리를 위로했고, 그 말로 인해 마음이 저릿해지는 것을 느꼈다. 그렇게 찰리를 괴롭히던 스미스가 열쇠를 빼앗지 않았고, 공격하지도 않았으며, 아기 원숭이를 살려준 사실에 드디어 마음을 연 것이다.
이런 상황이 오기까지는 해리엇의 도움이 컸다. 혼자였던 찰리에게 다가와 위로해 주었고, 다른 동물들 사이에서 잘못된 것들을 바로잡으려는 모습을 통해 찰리가 앞으로의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발판이 되어 주었다. 찰리가 괴롭힘을 당하고 있던 밤, 해리엇이 오지 않았더라면 지금의 찰리의 모습을 보기 힘들었을 것이다. 그리고 여전히 위협적인 스미스 때문에 힘들어 하며 탈출할 생각만 했을지도 모른다. 그렇게 많은 것을 주었던 해리엇이 수명을 다하고 있었다. 너무 나이가 많아 죽음이 임박했고, 그 사실을 알고 모든 동물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했다. 동물원 안의 현자였던 해리엇이 그렇게 죽을 거라 생각하자 마음이 아팠고 서러웠다. 더 오랫동안 동물들의 곁에 남아 따뜻한 마음을 전해주길 바랐는데, 해리엇에게 시간은 더 이상 주어지지 않았다.
모두들 슬퍼하고 있을 때, 해리엇은 지금껏 아무에게도 하지 않았던 이야기를 들려준다. 175년을 살아온 이야기이자 다시는 돌아갈 수 없었던 고향이야기였다. 평화롭던 거북섬에 인간이 찾아왔고 수많은 거북이 배에 실려 이동하던 중에 잡아 먹혔다. 그곳에서 가장 어리다는 이유로 다른 거북이들에게 보호를 받으며 '누군가는 바다를 만날 거야'란 공통적인 희망을 갖고 살아남은 해리엇은 우여곡절 끝에 동물원으로 오게 되었다. 해리엇이 배를 타고 동물원에 오는 과정들에서의 인간은 파괴자였고 동물들의 삶을 순식간에 지배한 권력자였다. 그들이 살아온 곳도 '사람들의 세상' 이라고 말하던 동물들에겐 진정한 삶을 누릴 권리가 없었다. 동물원에 갇혀 서로의 삶을 구속하며 서로를 위해주지 못한 데서 오는 절망을 맛보고 있을 때, 해리엇은 동물원을 살아갈 만한 곳으로 만들어가고 있었다.
해리엇의 이야기를 들은 찰리는 해리엇을 마지막으로 바다로 데려가주고 싶었다. 바다가 해리엇을 고향으로 데려다 줄 것을 믿으며 위험한 길을 나선 그들은 해리엇이 바다를 향해 가는 모습을 보고 돌아온다. 스미스와 찰리, 올드가 해리엇을 바다에 데려다 주는 과정은 눈물을 숨겨도 되지 않을 정도로 뭉클한 장면이었다. 175년 동안 고향을 그리워했던 해리엇이 바다에 닿기만 하면 갈라파고스로 갈 수 있을 거란 희망을 그대로 보여준 부분이었다.
해리엇은 분명 갈라파고스로 돌아갔을 것이다. 그리고 동물원에 남겨진 동물들은 서로를 위하며 자기네들이 태어났던 곳보다 더 나은 곳으로 만들며 잘 살아갈 것이다. 그것이 해리엇이 남겨준 선물이었고, 찰리가 해리엇을 바다로 데려다 주려 했을 때 '다른 친구를 위해 위험을 무릅쓸 수 있는 용기 또한 해리엇이 가르쳐 준 일이다.'(143쪽) 라고 말한 것처럼 그들이 다른 친구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다.
추천의 말을 써주신 김진경 작가는 '해리엇과 같은 진정한 어른이 지금의 인간 현실 속에는 없기 때문'에 '인간이 아니라 갈라파고스 거북을 통해 그려 낼 수밖에 없었겠다는 생각이 든다.'라고 말씀하셨다. 이 작품 속에 녹아든 메시지가 누구에게로 향해있는지는 빤한 일이지만,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는 아이들뿐만 아닌 나 같은 어른아이에게도 큰 울림으로 다가온 것만은 부정할 수 없었다. 마치 번역된 소설을 읽고 있는 듯한 착각이 이는 저자의 문체와 이야기는 매혹적이었고, 우리가 깨달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알려주고 있었다. 과거도 아닌 미래도 아닌 현재에 이런 소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이 감동으로 다가오는 순간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