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의 서평을 보내주세요.
-
-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노희경 지음 / 김영사on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마주한 나는 잠시 혼란스러웠다. 저자의 이름을 많이 들어본 것 같은데, 그녀의 프로필을 보니 그나마 낯익었다는 생각이 사라져 버렸다. 그녀가 쓴 드라마 작품들이 낯설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몇몇 작품이 눈이 익어 검색을 해 보니, 최근에 종영된 '그들이 사는 세상'도 그녀의 작품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그 드라마를 본 적이 없기에 나의 기억력은 더 협소해지고 말았다. 그러다 겨우 고두심씨의 연기가 인상 깊었던 ‘꽃보다 아름다워’를 발견하고 체면치레를 하게 되었다.
과연 그녀가 쓴 드라마를 아는 것이 중요할까? 그녀의 작품을 모르더라도 충분히 글을 읽을 수 있었지만, 배경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이 부족했다. 꼭 드라마 이야기만 펼쳐지는 것은 아니었지만, 후반부에 펼쳐지는 드라마 주인공 각자의 마음을 써내려간 글은 이질감이 가득했다. 어쩌면 그녀의 글을 온 마음을 열지 못하고 접한대서 오는 역효과 일지도 모르겠다.
그녀의 글은 고백으로부터 시작한다. 첫 사랑의 고백부터 자신의 태생, 가족 이야기 등등 말 그대로 고백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이야기들로 가득했다. 그러나 이유를 알 수 없는 탐탁지 않음이 처음부터 나를 지배하기 시작했다. 내게는 아웃사이더로 보였던 그녀의 학창시절을 보아서일까? 자신을 굶어 죽게 하려 했던 엄마를 사랑한다고 말하는 이해할 수 없음 때문일까? 그녀의 글은 뿌연 안개처럼 앞을 보여주지 않았다. 지나온 과거, 자신이 써 내려간 드라마 속 인물들, 그들의 내면을 보여줄 뿐 앞길이 보이지 않았다.
어쩌면 그녀의 글에서 내가 마음을 열지 못한 이유는 그녀가 드라마 작가이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많은 작가들은 책을 통해서 모든 것을 드러내 놓지만(독자가 차지하는 부분은 잠시 제쳐두고.), 드라마 작가는 대본을 쓴다고 해서 끝난 것이 아니다. 감독과 스태프와의 호흡, 연기자들과의 소통, 시청자들의 반응이 무척이나 중요하다. 드라마 작가에 대해서 빈약한 지식을 드러내려는 것이 아니라, 내가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것들이 그러하기에 그녀의 글에서도 무언가를 더 남겨두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섣부른 추측일지도 모르겠지만, 그녀의 글에서 내가 느끼는 느낌은 그랬다. 무언가 완성되지 않은 느낌, 내게로 확연히 다가오지 않고 저만치에서 나에게 조근 조근 자신의 내면을 들려주는 느낌이 강했다.
그녀는 사랑이야기를 참 많이 했다. 자신의 사랑부터 타인의 사랑과 아직 완성시키지 못한 사랑까지 책 전체가 사랑이야기로 넘쳐났다. 책 제목처럼, 사랑하고 있지 않다면 또는 사랑한 경험이 없다면 죄를 안고 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였다. 하지만 그런 사랑이야기도 나와는 큰 소통을 나누지 못했다. 그녀는 글을 통해서 그녀는 자기 안에 무궁무진한 자신을 꺼내려 했는지도 모르겠다. ‘상처가 많을수록 좋다’는 말로 자신을 드러내며 모든 것은 드라마의 소재가 된다는 그녀. 그 과정을 통해서 자기치유를 하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누군가에게 얘기를 털어 놓는 것보다, 글로 써내려가는 것이 더 어렵다는 것을 안다. 글로 인해 모든 것을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될 터인데, 용기가 없으면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런 고백을 그녀는 이 책을 통해서 하고 있었다. 예전에 써 놓은 글을 실은 것들도 있지만, 그녀에 대해서 모두 처음 아는 것들이니 내게는 첫 고백처럼 느껴졌다. 가족에 대한 사랑이든, 타인에 대한 사랑이든, 자신이 그려내고자 하는 사랑이던지 간에 말이다.
그러나 그녀가 말 한 자신의 이야기를 제외하고는 많은 것들이 모호하게 느껴졌다. 글의 형식에, 글이 묶여진 형태에 헤맬 수밖에 없었다. 결국, 그녀와 나의 소통은 많이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그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씁쓸함이 맴도는 것은, 그녀가 드러내는 사랑에 나는 얼마나 많은 것을 느끼며 실천하고 있는 가였다. 그녀와 내가 살아온 삶이 판이하게 다르지만, 삶에서 사랑을 뺀다면 많은 부분이 무미건조 할 것이다. 그런 무미건조함을 좀 더 말랑하게 해 주는 노력이 그녀의 의도일지도 모르지만, 나는 더 건조해지고 말아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 누구나 편하게 읽을 수 있다.
• 서평 도서와 맥락을 같이 하는 '한핏줄 도서' (옵션)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 사랑에 마음을 열지 못하거나, 상처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자들.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 애정 결핍이란 말은 애정을 받지 못해 생기는 병이 아니라 애정을 주지 못해 생기는 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