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어령 선생님이 들려주는 축소지향의 일본인 세트 - 전2권 - 우리 아이들을 위한 지식의 샘
이어령 지음, 김준연 그림 / 생각의나무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나를 알고 적을 알면 백전백승이라는 말도 알고, 싫은 상대일수록 알아야 비판을 한다는 것도 알고 있지만 예외시키고 싶은 것도 참 많은게 사실이다. 하나의 예를 들어 그것이 일본이라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앞의 말이 무산되기 쉽다. 세계 강대국인 일본을 '쪽바리'들이라며 유독 우리나라 사람들만 무시한다는 우스겟 소리도 있지만 그만큼 일본과 우리나라의 골은 깊다. 그래서 일본을 알아가는 이 책을 읽는게 내키지만은 않았다. 아이들을 위한 책이라서 부담감은 덜어졌다는 것 외에는 말이다.
반성하건데 지금까지 나는 일본을 너무 몰랐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확연히 깨닫게 되었다. 단순히 일본의 땅덩이와 그들의 기질을 왈가왈부 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인들의 정신세계를 몰랐던 데에서 오는 오해와 미움이 존재했다는 것을 알아갔다. 일본이라는 나라를 보면서 참 독특하다고 인식하면서도 이질감과 이해심은 늘 밑바닥에서 치고 올라오지 못했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 난 지금은 그들을 이해심으로 대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런 생각의 이면에는 저자의 객관성이 한 몫 했던것 같다. 한국인으로써 일본을 냉정하게 바라보기 힘들었을 터인데,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이끌어 가면서도 일본에 대한 적대감을 심어주지 않았던 것, 그것이 좋았다.
이 책은 '축소지향의 일본인'이 어린이 판으로 나온 것이다. 요즘 어린이들의 수준을 잘 모르기에 읽으면서도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을까'란 의문이 들었다. 그러나 단원의 끝자락마다 서술했던 것에 대한 만화가 삽입되어 있고, 주석 또한 풍부해서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의의는 전달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가장 큰 주제는 축소지향으로 바라보는 일본인이지만 책에서 수없이 강조되고 사례를 통해 전개되므로 축소지향 하면 일본인을 쉽게 떠올릴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저자는 6가지의 축소지향 모형을 통해 일본인을 말하고 있다. 과연 6가지의 모형으로 일본인을 파악할 수 있을까란 의문이 들었지만, 그 모형을 통해 지금껏 내가 알고 있었던 일본에 대한 조각조각의 지식들이 맞춰지는 느낌이였다. 하나하나 떼어놓고 보면 이질감이 뚝뚝 흐르는데 그 안에서 그들의 의식을 찾으니 비로소 객관적으로 그들을 바라볼 수 있었다. 이레코, 쥘부채, 아네시마 인형, 도시락, 노멘, 문장을 통해 바라본 축소지향의 일본은 흥미로웠다. 앞에서 나열한 6가지의 특징은 축소된 것에 내포되어 있는 일본인들의 정신이였다. 그들이 확장형으로 나아가면 평상시에 지니고 있었던 사고와 판단력이 흐려지는 예를 보아왔듯이 6가지의 모형을 통해 일본이 작은 것에서 추구하는 것이 어떠한 것인지 충분히 알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작은 공간 속에서 단아함과 정갈함을 추구하는 것이 그들의 특징이지만, 그런 축소의 정신이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적나라하게 드러나기도 했다.
일본은 시대의 흐름을 잘 갈아타는 반향자로써 다른 문화를 베끼기 좋아한다고만 알고 있었다. 일본에 대한 무조건적인 비난이 발휘되었던 생각이기도 한데, 일본이 지금의 경쟁 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베끼기를 넘어 축소지향의 의의가 서려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들어진 상품을 다시 다듬고 보완하여 더 편리하게 만듦으로써 수 많은 사람들이 편해졌고 경제에 자신감을 드러낼 수 있었다. 그러나 그런 일본의 동향이 긍정적인 것들만 낳았던 것은 아니였다. 역수출 속에서 세계 여러 나라의 경제를 혼란스럽게 하기도 했고, 확장형으로 시선을 돌릴 경우에 나타나는 행동들은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었다. 지금껏 일본이 이러했다면 확장형의 일본인으로 성장하여 다른 나라와 그들의 문화와의 충돌을 피하라며 이 책은 마무리 하고 있다.
확장형을 추구 했다가 실패한 아시아 여러나라에 끼친 상처들을 보듬어 주지 못하고 나몰라라 하는 일본이 앞으로 해결해야 할 일은 많다. 축소에 긍정적인 시각만을 둘 수는 없지만 그들에게 배워야 할 것들도 있다. 그렇지만 우리가 가장 염두해야 할 것은 일본의 문화를 통해 그들을 이해하려는 자세일 것이다. '이러하니 일본이 이럴수 밖에 없지' 하며 비난의 화살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가지고 있는 무조건적인 경쟁의식과 미움은 그들이 더 잘 알고 있을 테니 지켜보는 마음을 기르는 것도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우리가 손놓고 의식하지 않으면 일본은 우리에게서 더 멀리 달아날 것이다. 그리고 자신들이 저지른 과오와 축소지향에서 나오는 결점을 보완하지 않는한 그들의 한계는 분명 올 것이다.
우리는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통해 일본의 과거, 현재, 미래를 내다볼 수 있었고 일본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런 객관성을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알려주고 싶다. 현재 어른들이 가지고 있는 일본에 대한 의식은 적대감 밖에 일으키지 않을 뿐더러 제자리의 한국과 일본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백전백승을 하든, 비판을 하든 우리가 먼저 해야 할 것은 일본을 아는 것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