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은 기업이 어떤 식으로 생산량과 가격을 결정하는지 연구하는 데 관심이 있으므로 비용을 계산할 때 모든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감안한다. 그러나 회계는 기업으로 유입되는 돈과 기업에서 유출되는 돈의 흐름을 추적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명시적 비용만 감안하고 암묵적 비용은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경제학적 이윤economic profit 은 기업의 총수입에서 그 기업이 판매히는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에 따르는 모든 기회비용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뺀금액이다. 반면에 회계학적 이윤accounting profit은 기업의 총수입에서 명시적비용만 뺀 금액이다. 따라서 암묵적 비용을 무시한 회계학적 이윤이 경제학적 이윤보다 크다. 경제학적 관점으로 볼 때 사업에서 이윤이 발생하려면 총수입이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포함한 모든 기회비용보다 커야한다. - P31
".....사람이 권력을 사용하려면 권력을 가볍게 잡아야 하지. 너무 강하게 움켜쥐면 곧 권력에게 점령당해서 그것의 희생자가 되는 거요." - P312
정부는 오랫동안 존속하는 경우 항상 귀족 정치적인 형태에 점점 더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역사상 그 어떤 정부도 이 패턴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귀족 정치가 발달함에 따라 정부는 점점 더 지배 계급의 이익만을 위해 행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지배 계급이 세습에 의한 왕족이건, 금융 제국을 이룬 과두 독재자이건, 단단히 자신의 몸을 둘러싼 관료들이건 상관없다. - P340
훌륭한 정부는 결코 법이 아니라 그 정부를 다스리는 자의 개인적 자질에 달려 있다.정부의 조직은 언제나 그 조직을 운영하는 사람의 의기에 종속되어 있다. 따라서 정부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지도자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 P263
경쟁시장 (competitive market)이란 소비자와 판매자가 매우 많아서 개별 소비자나 판매자가 시장가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시장을말한다. (중략)완전경쟁시장은 (1) 판매되는 재화들이 동일하며, (2) 소비자와 판매자의수가 너무 많아서 가 소비자와 판매자는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시장이다. 완전겅쟁시장에서는 소비자나 판매자가 시장에서 결정되는 가격을 받아들어야 하므로 이들을 가격수용자(price takers)라고 한다. - P27
".........감정이 없는 사람이야말로 두려워해야 할 대상이지.하지만 깊은 감정이 있는 사람은.……. 아, 그런 사람들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굴복시킬 수 있다." - P678
인간의 무의식 깊은 곳에는 이해 가능한 논리적 우주에 대한 욕구가 배어 있다. 그러나 현실 속의 우주는 항상 논리에서 한 발짝 벗어나 있다. - P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