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해2. 국경이 통제 불능 상태다.
..
우선, 이입이 통제 불능 상태에 접어들 거라는 증거가 없다. 서구 사회가 경험한 이입과 정착의 수준이 수십 년 전 우리 대부분이 예상한것보다 더 높았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대체로 노동력 수요에 따라 증가한 합법적 이입이었다. 노동력 수요와 합법적 이주 통로 사이에 커다란 틈이 있고, 이 틈 때문에 불법 이입이 상당수 발생했지만, 많은사람이 생각하는 만큼 대규모는 아니다.

하지만 우리가 주목할 가장 중요한 점은 이입이 우리에게 닥친 것(감내된 이입)이 아니라 대체로 이주 노동자를 모집한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 노력에 기인한 것(선택된 이입)이라는 사실이다. 이주 노동자들이 공식적으로 ‘불청객‘이라는 누명을 쓰지만, 증거에 따르면 합법 이입과 불법 이입은 호전적으로 ‘불법 이주와 싸움‘이나 ‘밀입국과 싸움‘을 주장하는 정치적 수사가 암시하는 것보다 훨씬 더 ‘우리가 원한‘ 것이다.

현대 이주 노동자와 그 가족, 난민의 이입은 500년 넘게 무자비한 군사력을 앞세워 외국 땅을 침입해 점령한 유럽 식민주의자들의 침략이나 모험과 단순히 비교할 수 없다. 이런 비교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것이 침략당한다는 오해다. 
이는 공황과 공포를 조장하려고 의도적으로 계획된 일종의 선동이다. 정부와 언론, 이주 기관은 서구가 포위되었다는 생각을 적극적으로 꾸며내고 재활용했다. 불법 이주를 논의하는 방식뿐 아니라 불법 이주 묘사 자체도 문제다.
- P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소의 판단을 들은 이누카이는 어느 정도 동의했지만일말의 불안을 떨칠 수 없었다.
자진해서 불구덩이로 뛰어들려는 사람은 분명 적을 것이다. 그러나 발등에 불이 떨어지면 상식 밖의 행동을 보이는것 또한 사람이다. 그리고 사람은 욕심이 얽히면 대개 상식을 포기하기 마련이다. - P2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직 가정의 근거조차 갖추지 못했기에 이누카이는 입을 다물었다.
하지만 실행범 외에 범행을 유발한 장본인은 짐작이 간다. 닳고 닳은 통설지만 이번만큼 그것을 통감한 적은 없었다.

범인 중 하나는 틀림없이 ‘가난‘ 이었다. - P2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307 옮긴이의 글

1860년대의 과학적 토대에서 1960년대의 파리를 상상하고 쓴 소설을 2020년대에 서율에서 읽는다.

저자의 미래와 우리의 과거가, 상상 세계와 실제 세계가 ,하구와 리얼리티가 기억과 정보를 바탕으로 교차되고 결합된다.

[12장 여자에 대한 캥소나의 견해]
..
"그러니까 여자란 이미 사라진 종족이라는 당신의 원래 견해를 철회할 수 없다는 거군." 미셸이 빙긋 웃으며 말했다.

"이봐, 미셸. 19세기의 위대한 모럴리스트들은 이런 재난 상황을 예견했어. 그걸 알고 있던 발자크는 스탕달에 게 보내는 유명한 편지에다, 
‘여자는 열정이고 남자는 행동이다. 남자가 여자를 숭배하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라고 썼지. 
그런데 오늘날에는 여자와 남자 둘 다 행동이야.
프랑스에는 더 이상 여자가 없어."
- P200

"캥소나, 당신은 그러니까 결혼에 반대한다는 거지?"

"난 그저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어. 가정이 붕괴되고,
가족 구성원 각각의 이해관계가 서로를 흩어지게 하고 무슨 수를 써서든 부자가 되어야 한다는 요구 때문에 다정한 감정이 죽어버리는 이 시대에 결혼 같은 건 불필요하다고 말이야. 

지난 시대 작가들에 따르면 당시의 결혼은 전혀 다른 것이었던 듯해. 옛 사전을 뒤적여보면 가정이니 본가니 집이니 거처니 인생의 동반자니 하는 말들이 툭툭 튀어나오는 것에 놀라지 않을 수 없어. 
하지만 이런 표현은 이제 그 의미와 더불어 사라진지 오래야. 이제 사람들은 더 이상 그런 걸 필요로 하지 않아. 과거에는 ‘부부‘이 단어 역시 의미를 잃고 말았지가 친밀하게 생활을 공유했어. 다들, 여자의 충고는 대단한 게 아니지만, 미치지 않고서는 무시할 수 없다는 산초‘의 말을 기억하고 있었다고! 당시 사람들은 그런 말을 귀담아들었어.

 하지만 이제 얼마나 달라졌는지 봐. 오늘날에는 남편이 아내와 떨어져 살아. 모임에 참석해 거기서 점심을먹고 일을 하고 거기서 저녁을 먹고 거기서 즐기고 거기서 잠을 자. 아내는 아내 나름대로 일을 하고, 두 사람이 길에서 부딪치면 마치 남인 것처럼 인사를 나눈다고. 남편은 이따금 아내를 방문해, 월요일이나 수요일에 들르는 거지. 아내는 때때로 저녁 식사에 남편을 초대하고, 드물게는 저녁을 함께 보내. 

요컨대 오늘날 부부들은 거의만나지도 보지도 대화하지도 마음을 터놓지도 않아. 그저 자식을 낳아야 하기 때문에 서로를 필요로 하는 것뿐이지!" - P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장. 파리의 도로 개관]
...
대낮처럼 환한 대로의 가로등 불빛, 아스팔트 도로 위를 조용히 달려가는 수많은 자동차, 눈부신 불빛이 쏟아져 나오는 궁전처럼 호화로운 상점, 광장처럼 널찍한 길,
평원처럼 드넓은 광장, 2만 명의 여행객이 안락하게 묵을수 있는 대형 호텔, 초경량 고가교, 길게 이어진 멋진 아케이드, 거리와 거리를 가로질러 이어주는 다리, 환상적인 속도로 대기를 가르며 달리는 멋진 열차, 이 모든 것을 우리 조상이 보았다면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너무나도 놀란 나머지 믿기지 않아 자기 살을 꼬집어 보았으리라.  하지만 1960년대의 사람들은 이런 놀라운것들에 더 이상 감탄하지 않았다. 그들은 그것들을 당연한 듯 이용하면서 과거보다 더 행복해졌다고 느끼지 않는 듯했다. 사람들의 바쁜 듯한 태도, 서두르는 몸짓, 미국인들 같은 성급함을 보면, ‘자본의 악마‘가 휴식도 감사도 허락하지 않고 그들을 끊임없이 앞으로 떠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