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이성적이 되면 자신의 내면에서 무엇인가를 끌어낼 수 있다는 말이다. - P100

철학자는 자신이 근본적으로 아주 적은 것만을 알고 있다는 점을 정확히 알고 있다. 바로 그 때문에 그는 거듭 참된 지식에 도달하려고 애쓰는 것이다. 소크라테스가 바로 그 같은 드문 사람이다. 소크라테스에겐 자신이 인생과 세계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 아주 분명했다. 그리고 이제 이것이 결정적인 요점인데 소크라테스 자신이 너무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 그를 괴롭히고 있었다는 것이다.
(중략)
소크라테스는 스스로 "내가 알고 있는 단 한가지는, 내가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하고 말했다. - P104

인간은 자기의 모든능력과 가능성을 발휘하고 이용할 수 있을 때 행복하다. - P171

".. 시간적으로 뒤따라 생기는 사건들 사이에 꼭 필연적인 인과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야. 철학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사람들이 결론을 성급하게 내리지 않도록 경고하는 일이야. 특히 성급한 결론은 여러 가지 미신을 유발한다." - P4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en given the choice between being right or being kind. choose kind. - P48

The only reason I‘m not ordinary is that no one sees me that way. - P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21-02-01 2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네요 :-) 두번째 문장

스텔라 2021-02-03 14:48   좋아요 0 | URL
저도요!! 매일 조금씩 일고 있는데. 간단 명료한 문장들이 좋아요.
 

유일하게 막을 수 없는 것은 시간이다. 시간은 서슬 퍼런 칼날처럼 단단한 것이든 무른 것이든 소리 없이 베어버리고 묵묵히 앞으로 나아간다. 그 무엇도 시간의 발걸음을 흔들 수 없지만 시간은 그 무엇도 다 바꾸어 놓는다. - P4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모든 욕망과 환상을 동원해 자연이 원하는 것을 알아내고 자연을 만들며 보살펴야 한다. 자연은 냉엄한 것이다. 얼마간은 아첨하면 뭔가를 내주기도 하고, 겉으로는 한 번쯤 속아 넘어가주는 척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럴수록 나중에 가서는 더욱 강하게 자기의 권리를 요구한다. - P14

아주 이따금, 씨앗을 뿌리고 수확하는 어느 한 순간, 땅 위의 모든 피조물 가운데 유동 우리 인간만이 이 같은 사물의 순환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것이 얼마나 이상한 일인가 하는 생각이 떠오른다. 사물의 불멸성에 만족하지 못하고, 한 번뿐인 인생인 양 자기만의 것, 별나고 특별한 것을 소유하려는 인간의 의지가 기이하게만 여겨지는 것이다 (1908년) - P17

... 자기 자신에게 열중하고, 자기 자신과 세계 사이 존재하는 수수께끼처럼 비밀스러운 관계에 열중하는 것이다.
세월이 지날수록 성숙해지면서 진실을 탐구하고자 하는 현명한 사람들은 되돌아서 이 일에 몰두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실한 내면의 세계를 잃어버리고 평생 동안 잡다한 걱정과 갈망, 목표 같은 미망에 사로잡히고 만다. 그것들 중 어느 하나도 내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그 어떤 것도 그들을 자신의 내면으로 진정한 고향으로 이끌지 못한다. - P2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통 다른 사람들은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이룰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을 생각하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유태식 세미나에서는 이렇게 가르칩니다. 자기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말도 안 된다 싶은 것을 상상하라고. 자기에겐 조금 벅찰 수도 있는 비현실적인 목표를 세워서 그것을 어떻게 이룰 수 있는지 그 실제적인 방법에 대해 생각하는 거죠. 그건 불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모든 게 다 가능하죠.‘ - P73

[두뇌 능려과 집중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15가지 유태인식 요령]
1. 기억에 의존하고 그 기억에 대해 확신을 갖는다.
2. 글씨는 흰종이에 검정색으로 분명하게 쓴다.
3. 함께 소리내어 토론하는 시간을 가진다.
4. 기쁜 마음으로 걸어 다니거나 흔들면서 공부하기
5. 마음이 내키고 영감이 떠오르는 곳에서 일하거나 공부한다.
6. 생각을 혼란스럽게 하는 것을 제거한다.
7. 집중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한다.
? ? 기도.노래. 또는 동기를 부여할 방법을 찾는다.
8. 쉽고 재미 있는 내용으로 이야기 한다.
9. 피곤한 상태 5시간 일하는 것보다 머리가 맑은 상태로 2시간 집중한
10. 리듬이 깨지면 완전하게 쉬는 시간을 갖는다.
11. 중심 단어를 통해 떠오르는 주제와 아이디어를 정리한다
12. 중심 단어를 연결해 이야기를 만든다.
13. 주제를 연대순이나 그룹으로 나누어 정리한다.
14. 머리 글자만 따서 사용한다.
15. 수없이 반복하면서 기억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