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가 흔히 경험하듯 어떤 일이 끝날 무렵에는 너무 빨리지나가버렸다는 생각이 들기 마련이다. 인생의 한 순간, 역사의 한 시대 문명의 한 사상, 그리고 이 무심한 세상에서 일어나는 어떤 변화.

성토마스성당에서 사람들이 당연히 존재하지 않는 신에게 노래하듯. 주님께는 억겁의 세월도 하룻밤과 같사오니, 나도 간단히 밝히겠는데,
아, 전능하신 독자여, 내 인생도 너무 빨리 지나가버렸나이다. 2배속으로 살아가는 인생은 결국 반토막에 불과하니까. 

세상만사 모든 일이 찰나처럼 지나도다. - P229

두려움은 극단주의자다. 
전부 아니면 무, 언제나 양자택일이다. 두려움은 폭군과 같아서 어리석고 맹목적인 절대권력을 휘두르며 인간의 삶을 지배하기도 하지만, 인간이 그것을 극복하면 모든 힘을 잃고 연기처럼 사라져버린다. 그리고 또 하나의 비밀 두려움에 맞서 혁명을 일으켜 그 천박한 독재자를 무너뜨리는 방법은 이른바 ‘용기‘와는 별 상관이 없다. 비결은 훨씬 더 간단하다. 살아야 한다는 단순한 욕구.

내가 두려움을 버린 까닭은 지상에서 살아갈 시간도 부족한 마당에 한순간도 겁에 질려 낭비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

죽을 때까지는 살아야 한다. - P258

무어 연작의 공통 주제는 무어의 비극 - 즉 다양성이 통일성 때문에 파별되는 비극, ‘여럿‘이 ‘하나‘에게 패배하는 비극 - 이었으니까. - P643

"현실이라는 거대한 기계가 사람의 영혼을 마구 짓누르는 상황에서 인생을 용서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지. 아름답다는 이유로 세상을 용서할 수 있겠소? 이세상의 아름다움은 추악한 면을 감춰줄 뿐이고, 친절은 잔인성을 은폐할 뿐인데 말이오. 낮이 지나면 밤이 오듯 인생도 매끄럽게 이어진다는생각은 큰 착각이지. 사실 인생은 무방비 상태인 우리 머리통을 나무꾼의 도끼처럼 내리찍는 가혹한 단절의 연속이 아니겠소?" - P6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 한 번 분열된 가족은 영원히 분열된 가족이야. 그 집구석에선 모두 피투성이가 돼야 싸움이 끝나지." - P80

나는 헐떡이며 깨어나 잠에 취한 채 양손으로 공기를 움켜쥐고 입속으로 밀어넣지만 별로 도움이 안 된다. 그래도 숨을 내쉬기보다는 들이쉬기가 한결 쉬운 편이다. 인생이 던져주는 것을 거부하기보다 그냥 받아들이기가 더 편하듯이. 반격하기보다 얻어맞기가 더 편하듯이. 그러나씨근거리고 헐떡거리면서도 결국 숨을 내뱉는다. 드디어 해냈다. 자랑스러워할 만하다. 아픈 등을 토닥이며 자신을 칭찬해도 좋겠다. - P87

"인간의 어리석음은 용시보다 강하고" .. " 두려움보다 강하고" ..."예술보다 강하지."
....
" 다른 것은 다 한계가 있지만, 아무리 절박해도 어느 지점 이상은 안 가려 하지만, 어리석음은 한계도 없고 누가 어디까지 다다랐다는 기준도 없어. 오늘은 좀 심했다고 생각하다가도 내일은 더 어리석은 짓을 해버리니까." - P1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삶이란 얼마나 죽음과 가까이 맞닿아있는가‘ - P44

우리는 자유 의지를 가진 존재이므로 악을 불러들이기로 마음을 먹어야 악이 깃든다. - P2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죽음은 전세계를 동족으로 만든다.>
그렇다면 죽음이 없는 세계에서는 모두가 이방인이 되는 걸까,..... - P34

하지만 그런 건 상관없었다ㅡ

소문이란 스스로의 논리가 아니면 어떤 논리도 지키지 않았다. - P39

... 권력이 있는 곳에는 언제나 권력을 잡을 방법을 찾아내는 사람 있기 마련. - P1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단수사태에는 레이다 영상이 없다.
폭풍 해일도 없고, 폭풍이 휩쓸고 지나간 잔해도 없다. 단수는암처럼 조용히 덮쳤을 뿐이다. 확연히 드러나는 증세가 없으니뉴스에서도 하찮게 취급하는 것이다.. - P35

그때 알았다. 이건 실수가 아니라 사고다.
사고는 분풀이보다 수습이 먼저다. - P75

어릴 때는 누구나 부모를 우러러본다. 우리 눈에 비친 부모님은 완벽하다. 주변 세상과 나 자신을 재단하는 척도니까. 십대가 되면 슬슬 부모님이 훼방꾼처럼 느껴진다. 더는 완벽하지 않을 뿐더러 심지어 내 인생을 쥐고 흔드는 것 같다. 그러다가 어느순간 깨닫게 된다. 부모님은 영웅도 아니고 악당도 아니라는 사실을 그저 나약한 인간이라는 뼈아픈 진실을 문제는 우리가 그진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느냐다. - P180

"살아남기 위해 더러는 괴물이 돼야 할 때도 있어." - P344

그게 바로 인간 본성의 참모습이었다. 살고자 하는 의지를 잃었을 때조차 서로를 구할 힘은 기어이 우러나오는 것이다. - P4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