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ll poppy syndrome ]

성공에 대해 너무 많은 관심을 받는 것은 오히려 악영향을 미친다. 호주 사람들은 이것을 ‘키 큰 양귀비 증후군 tall poppy syndrome‘ (재능이나 성과가뛰어난 사람을 공격하고 깎아내리는 사회현상)이라고 부른다. 가장 크게 자란양귀비의 꽃이 가장 먼저 꺾일 확률이 높은 것이다.  - P1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는 그대의 장벽일 뿐아니라 나의 장벽이기도 하고, 곧 그대에겐 내가 심각하게 필요해질 수 있어요 내 우정을 거절하지 말아요. 존 나는 사방의 적에게 심한 압박을 받으며 폭풍 속에 갇힌 그대를 보았어요. 그대에겐 적이 참으로 많지. 그 이름도 읊어줄까요?"
"저도 압니다."
"그렇게 확신하지 말아요." 멜리산드레의 목에 걸린 루비가 붉게 반짝였다

." 두려워할 상대는 그대의 면전에 대고 저주를 퍼붓는 적들이 아니라,
그대가 보고 있을 때는 웃다가 등을 돌리면 칼을 가는 적들이지요. 늑대를 가까이 두는 게 좋겠어요. 얼음, 그리고 어둠 속의 단검이 보이네요. 단단하게 얼어붙은 붉은 피 그리고 강철, 아주 추웠어요." - P93

"중도를 걷는 게가장 좋아 신뢰를 받을 만한 이들만 신뢰하되 충실하게 일하는 사람들가는 관대하고 친절해라" - P4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Mass ]

The mass of a body measures the force needed to move it orto change the way it moves. Mass is often measured by weighing thebody, but mass and weight are not the same. The weight of an objectis the force attracting it to another object, such as the Earth or theMoon, and it depends on the mass of both objects and the distancebetween them. You weigh slightly less on top of a mountain becauseyou are farther from the center of the Earth. - P99

[ E = mc² ]

Einstein was a German physicist who was born in 1879. Hediscovered that energy is equivalent to mass, according to the famousequation E=mc², where "E" is energy, "m" is mass, and "c" is thespeed of light. Because the speed of light is very large, Einstein andothers realized that this equation suggested one could make an atombomb, in which a small amount of mass is converted into a very largeamount of energy in an explosion.
Einstein also discovered that mass and energy curve space,
creating gravity. - P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345

그림을 보면 각 국면별 어떤 자산이 양호한 성과를 보이는지, 혹은 부진한지 정리가 될 겁니다.
(중략)
‘그럼 지금 저성장,저물가 국면이니까 성장주에 투자하라는 이야기 인가요?˝
아뇨, 투자는 미래를 보고 하는 거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러 스마일

9.11 이후 달러 공급이 늘면서 달러 약세를 보이죠. 달러/월 환율이 하락(원화 대비 달러 가치 하락)하게 될 겁니다. 그렇지만 자산 버블이 터지고 위기가 찾아오게 되면 너도나도 달러를 구하고자 하고, 이로 인해 달러 품귀현상이 빚어지게 되죠.

그러면 달러/원 환율이 하늘오 튀어 오르게ㅠ되는, 즉 달러가 초강세을 보이는 그런 그래프가 그러집니다. 그리고 이렇게 환율이 하늘로 날아가던 때, 이 당시를 우리는 ‘글로벌 금융 위기‘ 라고 기억하고 있죠.

이 그래프의 모양에다가 장난스럽세 누,코를 그려보면......
입술이 이상하게 한쪽만 치켜 올라간, 왠지 기분 나쁘게 씨익 쪼개는 모습이 보이지 않나요? 이걸 바로 ‘ 달러 스마일‘이라고 합니다.

( 자산시장 붕괴와 경기의 급격한 위축을 상징함)
....

달러 스마일은 자산시장이 붕괴될때 혹은 불황이 찾아올 때 달러가치가 크게 튀어 오르는 특성을 의미 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스 2022-07-10 19: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한경경제용어사전에 있는 용어군요
스마일 커브!
이름이 참 역설적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