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sters Grimm: Book #7: The Everafter War (Paperback) The Sisters Grimm 7
Buckley, Michael 외 지음 / Harry N Abrams Inc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The miracle of life is the most unpredictable magic there is, so we don‘t want you to get your hopes up just yet."
- P1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권>>

.. 이자율을 설명하면서 이자율과 채권 가격의 관계를 다루었다. 이를 다시 간략하게 정리해보자. 

기본적으로 이자율은 채권의가격을 결정한다. 이자율이 높아지면 채권 가격은 떨어지고 이자율이낮아지면 채권 가격은 올라간다. 그리고 채권 이자율의 기본이 되는 기준이자율을 만드는 곳은 각 나라의 중앙은행이다. 채권의 채무불이행위험에 따라 이 기준이자율보다 높게 여러 채권 이자율이 결정된다.

그런데 채권을 말할 때 항상 이자율을 거론하기 때문에, 마치 시장에서 채권은 주식이나 보통의 재화와 상당히 다르게 거래가 되는 듯한인상을 준다. 그렇지 않다. 채권 역시 주식이나 다른 자산처럼 몇 달러하는 가격으로 거래된다. 이 채권 가격을 결정하는 것은 결국 채권의 수요와 공급이다.

(중략)

● 채권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일반적으로 금웅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수익률, 위험성, 유동성이다 ......

• 수익률 return :
투자 대비 얼마나 많은 수익을 얻느냐다.
체권의 수익은 두군데서 온다.
채권의 가격 변동과 채권을 소유한 동안 받는 쿠폰이자다.

• 위험성 risk :
투자에 얼마나 많은 불확실성이 있느냐다. 이는 물론 채권 가겨의 불확실성이다.

• 유동성 liquidity :
얼마나 쉽게 사고 팔수 있느냐다.
시기에 다라 유동성에 차이가 생긴다.

(중략)

공유경제학에서 말하는 채권(금융자산)의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에는 이 세가지 이외에 하나가 더 있다.
부(저축)의 양이다.
부가 늘면 금융자산의 수요 또한 증가한다. - P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돈은 진공 상태를 싫어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자연은 진공 상태를 싫어한다. 빈 공간은 자연과 물리적 법칙에 위배되기 때문에 자연스럽지 않다는 것이다.
자연에는 진공 상태가 없다. 밀도가 높은 주변 물질이 즉시 빈 공간을채울 것이기 때문이다.
돈 역시 자연의 법칙을 따르기 때문에 진공 상태를 싫어한다. 돈은끊임없이 한 장소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 당신은 이런 자연 법칙을활용할 수 있다. 삶에 더 많은 물질적 부를 끌어들이고 싶다면 자연이채울 빈 공간을 만들어라. 당신이 새 옷을 원한다면, 낡은 옷을 팔거나자선 단체에 기부하라. 잡동사니를 갖고 있다면 채울 공간이 없다. 이런 걸 진공 번영의 법칙 the law of vacuum prosperity‘이라고 한다. 당신이 삶에서 필요한 무엇이라도 그것이 채워줄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공간을 비워놓으라는 것이다. 그것이 어떤 물질적 아이템일 수도 있지만, 마음속 공간일 수도 있다. 당신이 마지못해 결제한다면 분노로 공간을 채우고 있는 것이므로 진공 상태를 만든 게 아니다.
청구서를 받았을 때뿐만 아니라 그것을 결제할 때도 감사의 마음이머릿속을 지배하도록 물리적 공간과 머릿속 공간을 모두 비워라물리적·정서적 형태의 더 위대한 것을 위해서 하찮은 걸 내버려라. 하찮은게 위대한 걸 막는다. 저임금은 고임금을 막는다. 불평은 감사를 막는다.
- P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력을 위임해야하는 이유>>
(중략)

파레토의 법칙에 의하면 소득 창출 가치의 80퍼센트는 하는일의 20퍼센트에서 나온다. 반대로 하면 소득 창출 가치의 20퍼센트가 한 일의 80퍼센트에서 나온다는 말이다. 이것은 일하는총 시간의 20퍼센트 동안 소득 창출 가치의 네 배를 벌 수 있다는 뜻인데, 그렇다면 일하는 시간의 80퍼센트를 줄여도 20퍼센트만 손해 볼 수 있다는 뜻이다.

결과적으로 20퍼센트의 시간만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남은 시간에는 소득 창출 가치(IGV)가 높은 일을 찾아내는 것이 더 전략적인 것이다.

(중략)
80/20 법칙은 당신이 하는 모든 일에 적용된다. 20퍼센트의 시간만을 사용하여 최대의 결과를 얻도록 시간을 현명하게 투자하라.
냉철한 마음가짐으로 시간을 낭비하는 낮은 가치의 일을 버리고, 최대 효율을 내는 레버리지에 처점을 맞춰야 한다. - P72

<< 복리의 법칙 >>

돈은 돈을 끌어들인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Albert Einstein 은 복리의법칙 The Law of Compounding 을 세계 8대 불가사의라고 불렀다. 골프를 치면서 약간의 돈 내기를 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첫 홀에 1,000원을 걸고 그다음 홀마다 거는 돈을 두 배씩 늘린다고 하면, 언뜻 보기에는 별로 큰 금액이 걸린 판이 아닌 것처럼보인다. 그러나 각 홀마다 돈이 두 배로 늘어나면 9홀에서는 25만6,000원이 된다. 사실 이건 아무것도 아니다. 15홀을 돌면 1,638만 4,000 원이 된다. 복리 효과로 인해 적은 돈이 엄청나게 큰돈으로 늘어난다. 18홀을 돌면 내기 금액은 1억 3,107만 2,000원이된다. 

기업의 매출도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브랜드 평판이나 지식의 습득도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뒤에 숨어서 모든 것을 조종하는 시간 역시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는것이다.

연못에 떠 있는 수련도 마치 복리의 법칙을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 수련은 매일매일 전날 덮었던 수면의 두 배의 면적을 덮는다.
처음 며칠 동안은 별로 큰 면적을 차지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30일 후, 연못이나 호수의 수면 전체를 덮는다.

29일째 되는날 수면의 절반을 덮었다면 , 절반은 덮는 데 전체 시간의 29/30가 걸리고, 나머지 절반을 덮는 데 전체 시간의 1/30이 걸리는 것이다.

(중략)

이 법칙을 이해하고, 따르고, 지키면 엄청난 가속도의 레버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복리의 법칙은 당신이 어떤 일을 오래 할수록, 즉 끝에 더 가까이 다가갈수록 최대의 이익과 가속도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운명의 변화가 심하면 괴롭고 슬픕니다. 그런 이야기는 우리가 헛된 망상에 빠질 때 정신을 차리게 만들지요.
제생각에는 행복하든 불행하는 사람은 누구나 운명의 장난에 귀를기울여야 해요. 행복한 사람에게는 경고를 주고 불행한 사람에게는 위로를 주니 말입니다.  - P2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