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자가 모든 행위에서 우선적으로 의도하는 것은, 자연적 필요에서 행위하는 자유의지에서 행위하는 상관없이 자기 이미지를 드러내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행위자는 행위하는 한 그 속에서 기쁨을 얻는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자신의 존재를 원하고, 행위에서 행위자의 존재는 다소 강렬해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기쁨이 뒤따른다. 그러므로 자신의 잠재적 자아를 드러내 보이지 못하는 행위는 행위가 아니다. ・단테 - P273
노동 (Labour, Arbeiten): 인간의 생물학적 삶에 상응하는 활동, 인간의 개체보존과종족보존처럼 생존의 필연성을 충족하기 위해 인간에게 부과된 활동의 표현이노동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지상에서 생물학적 존재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노동을 할 수밖에 없다. 노동의 특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인간의 생명과정도 자연의순환운동의 한 부분인 까닭에 무한히 반복한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죽어야만끝나는 노고와 고통‘과 결합되어 있다는 점이다.
노동하는 동물 (aminal laborans): 인간은 이성을 가진 존재라는 라틴어 용어 ‘이성적 동물 (animal mationale)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인간은 생물학적 필연성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노동을 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뜻한다. 사람은 노동하는동안에는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개체이기보다는 인류라는 종의 일원일 뿐이다. 그러므로 정치적 관점에서 해석하면 생존이라는 이해관계만을 가진 사회의 구성원들은 노동의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동물의 종으로 퇴보할 가능성이 크다. - P448
인간의 조건(human condition): 인간이 지구 위에서 실존하는 데 필요한 근본조건을 의미한다. 인간이 지구로부터 탈출하여 화성과 같은 다른 행성에서 살게되면 전혀 다른 조건에서 살아야만 하는 것처럼 아렌트는 이 개념으로 인간은근본적으로 "조건에 의해 제한된 존재" (conditioned beings, bedingte Wesen)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전통철학이 "나는 무엇인가?"라는 물음으로 인간을 다른동물과 구별해주는 ‘인간본성‘ (human nature)을 알고자 했다면, 아렌트는 ‘인간의 조건‘ 이라는 개념으로 "나는 누구인가?" 라는 물음에 답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인간의 조건은 우리의 삶과 지속적인 관계를 가지는 실존조건이다.
작업 (work, Herstellen): 인간의 비자연적 세계성에 상응하는 활동, 작업은 글자그대로 주어진 자연을 변형하여 인간에게 필요한 인공적인 사물들을 만들고 제작하는 활동이다. 장인과 예술가의 작품처럼 작업의 산물인 인공세계는 인간의유한한 삶을 초월하여 비교적 오랫동안 영속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 P450
행위(action, Handeln): ‘보편적 인간‘ (Man)이 아닌 ‘복수의 인간들‘ (men)이 지구상에 살며 세계에 거주한다는 사실에 상응하는 활동으로서 사물이나 물질의 매개 없이 사람들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이루어진다. 행위는 정치적 삶의 필요조건인 ‘다원성‘ (plurality)에 부합하기 때문에 행위는 곧 정치적 행위다. 이런 점에서 아렌드의 ‘행위‘는 이와 유사한 다른 사회학적 범주들, 즉 ‘행동‘ (behaviour), ‘역할 수행‘ (role-playing), ‘업무 수행‘ (doing a job) 등과 구별된다. 사람들이 함께 사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존재하는 인간관계의 그물망 속에서말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 행위를 통해 새롭게 시작함으로써 인간세계에 참여하는 활동이 바로 ‘행위‘다. - P4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