굉장한 것들의 세계 - 가장 크고, 가장 빠르고, 가장 치명적인 생물의 진화
매슈 D. 러플랜트 지음, 하윤숙 옮김 / 북트리거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희생자는 나무가 아니라 북대서양대합quahog clam, 아르크티카 이슬란디카Arctica islandica로, 기후변화를 연구하던 연구자들이 수심 80m의 차가운 해저에서 비슷한 부류의 다른 조개 200개와 함께 이 대합을 건져 올렸다. 대합은 몇백 년이나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무가 나이테를 더하듯 조개도 매년 껍데기에 성장선을 더해 간다. 여기에는 형성 시기의 환경과 관련한 엄청난 정보가 담겨 있다. 나이테와 마찬가지로 성장선도 성장 여건이 우호적일 때 더 커진다.

대합은 가장 흔하게 잡히는 조개 종류였으므로(혹시 클램 차우더를 먹은 적 있다면 몇백 년 정도 살다가 잡힌 동물의 살을 먹어 소화했을 수도 있다)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 과학자들은 흔히 어부들이 그러듯이 잡은 조개를 전부 배 안의 냉장고에 집어넣었다.

이후 실험실로 돌아가 조개 성장선을 세기 시작한 과학자들은 그제야 비로소 자신들이 잡은 조개가 이제껏 연구한 다른 어떤 것보다 오래 산 조개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처음 세었을 때는 조개의 나이가 405살이었다. 다시 세어 보고, 방사성탄소연대측정까지 시도해 보니 한 세기가 늘었다. 태어났을 당시 중국이 명나라 왕조여서 ‘밍Ming‘이라는 별명이 붙은 이 조개는 죽을 때 507살이었다.(p.174~175)


* 명나라 때 태어난 조개 조오오오오오상님이라니! 또 4800년 이상 산 강털소나무...(트로이를 세울 무렵 태어난) 소나무 조오오오오오오오상님이라니! 이 책은 차례에 소개된 대로 큰 것들, 작은 것들, 오래 사는 것들, 빠른 것들, 시끄러운 것들, 강인한 것들, 치명적인 것들, 똑똑한 것들에 대한 상식을 뛰어넘는 과학적 발견, 혹은 연구 대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첫사랑과 O
김현 외 지음 / 알마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후 나는 자연스럽게 <인디아나 존스>에 빠졌다. 아서왕의 전설을 따라 성배와 성궤를 찾고 나치와 맞서 신비한 고대의 힘을 선한 편(미국...)에 돌려주는 고전적이면서 현대적인(당시 기준으로) 대모험 판타지. 이 영화에 빠진 것이 나뿐만은 아니겠지만 나는 좀 많이 빠진 것 같다.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5학년 때까지 매번 장래희망에 고고학자를 써냈으니 말이다. 어느 날 내 머리가 좀 컸다고 생각한 아버지는 나를 불러, 아들아, 한국에는 고고학자가 없단다, 있다 해도 인디아나 존스처럼 모험을 하는 게 아니라, 방구석에 처박혀 한자나 본다며 꿈을 산산조각 냈다. 아버지는 이후에도 내 꿈을 여러 번 조각냈는데 고고학자 이후 탐정으로 장래희망을 바꾼 뒤에는 불륜 커플 뒤꽁무니나 쫓는 일이다, 라고 했고 소설가가 될 거라는 말에는 소설가는 직업이 아니다, 그건 할 일 없는 사람들이나 하는 일이다(이 말은 모순적이지만 진정성의 차원에서는 진실에 가깝다...), 영화감독이 될 것이라는 말에는 영화감독은 그저 여배우나 만나려는 눈먼 자들일 뿐이다라고 했다. 결국 그가 원한 나의 장래희망은 의사나 검사였는데 그것이 고고학자보다 나와 거리가 더 멀다는 사실은 머지않아 그와 나 둘 모두 알게 되었고 나는 소설가가 되었다.(p31~32, 정지돈의 글)

* 책 전편을 구성하는 작가들의 글들은 기대에 못미쳤지만, 옮겨 적은 정지돈의 글을 읽고는 슬몃 웃음을 짓지 않을 수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나긴 청춘 - 어른 되기가 유예된 사회의 청년들
장 비야르 지음, 강대훈 옮김 / 황소걸음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설적이게도 여가 혁명과 인터넷 혁명은 개인이 누릴 수 있는 '자기만의 시간'을 위협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아주 어린 시절부터 위의 두 흐름에 매몰되지 않는 법을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 예를 들어 전화나 인터넷에 매몰되지 않고, 아이들을 학교 수업 외에 3~4가지 방과 후 활동에 보내지 않고, 특정 기간에는 뉴스나 신문을 보지 않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자기 시간에 대한 현대인의 갈증은 요가와 에로티시즘 시장의 성장에서 잘 드러난다. 지난 1세기 이래 개인이 내밀한 관계를 맺는 파트너 숫자는 4~5배로 증가했다. 이런 현상은 어쩌면 자기 시간에 대한 지배력, 특히 가장 내밀한 시간을 되찾겠다는 몸부림의 표시인지도 모른다.

현대사회의 노동은 1900년대보다 육체적으로 훨씬 덜 힘들다. 그러나 대개 노동강도는 훨씬 높고, 더 스트레스를 받으며, 더욱 비대면적이다. 무엇보다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근무시간과 개인 시간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인터넷 덕분에 퇴근한 뒤에도 업무에 접속할 수 있는데, 이는 노동자에게 스트레스가 되므로 법적인 규제가 필요하다. 업무와 '단절될 권리'는 현재 제도화하는 중이며, 차츰 사회적 공감대도 생겨나고 있다.(p. 36~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자의 넓이 창비시선 459
이문재 지음 / 창비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트라이크



회사 반대쪽으로 가는 버스를 탔다
이십삼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등 뒤에서 먼동이 트기 시작했다
스마트폰 전원을 껐다
이대로 가다 기차를 타면 바다가 나오리라
느리게 날카로워지는 능선에 눈길을 주다가
문득 내 이름을 불러보았다
이문재 이문재 이문재
부르면 부를수록 낯설어져서 그만두었다
버스는 마주 오는 차를 모두 비켜가며 달렸다
세상의 아침은 세상의 아침에게만 아침이었다
스마트폰을 껐는데도 내가 켜지지 않았다
다들 내보냈는데도 내가 들어오지 않았다
기차를 두어번 갈아타면 항구까지 가리라



별내



땅 이름이
땅에서 떨어지지 않듯이

경기도 남양주 별내
그 먼 곳

당신이
내 생에서 떨어지지 않듯이



1인 시위



아마존 정글 속 나비 한마리 날갯짓이
카리브해 연안에 허리케인을 일으킨다는
나비효과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나비가 1인 시위 원조라는 생각이 든다

한밤중에 구글어스 들어가 생각느니
어제 오후 턱뼈가 빠질 뻔했던 내 하품은
나비 날갯짓에 견주면 수백배 더 큰 파동이었을 텐데
그간 내가 떠벌린 말들 여기저기 써 갈긴 글들
나비 한마리 날갯짓에 비하면
수천만배 더 거대한 에너지였을 터인데

급상승 급강하 전후좌우 동서남북
구글어스 들어가 생각느니
이런 나비가 너무 많았구나
곳곳에 나비가 너무 많아서 문제였구나
눈짓 손짓 발짓은 물론이거니와
꿈과 희망 주의 주장이 너무 많았구나
나비가 아니고 온통 나비 날갯짓
하루하루 여기저기 1인 시위였구나

1인의 시위만 있고 1인의 삶은 없었구나
1인들의 시위만 있고 1인들의 사회는 없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쓰레기를 그만 버리기로 했다 - 어렵지 않게 하나씩! 처음 시작하는 제로 웨이스트
케이트 아넬 지음, 배지혜 옮김 / 미호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일 새 옷이 800억 벌씩 소비된다. 이는 20년 전보다 네 배 많은 양이라고 한다. 불과 얼마 전까지는 패션에 4계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52계절이 존재한다. 시내 중심가에는 매주 패스트패션 브랜드의 신상품들이 걸린다. 이런 옷들은 보통 값싼 합성섬유로 만들어지며 오랫동안 입을 수 없도록 디자인된 옷들이다. 지속가능하지 않은 패스트패션에 맞서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옷을 덜 사는 것이다. 쇼핑 횟수를 한 계절에 한두 번으로 줄일 수 있을지 시험해보고 여러 번 고민하고 정말 필요한 옷들만 산다.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편안한 옷과 신발, 액세서리를 활용해 옷장에 두는 의류의 가짓수를 제한하는 '캡슐 옷장'(계절마다 꼭 필요한 최소한의 옷만 구분해서 채운 옷장)이 점점 인기를 끌고 있다. 계절마다 새로운 옷을 들이는 대신 이미 가지고 있는 옷들을 알뜰하게 활용하자는 의미다. 자주 입는 옷을 생각해보고 새 옷과 입던 옷의 개수를 균형있게 유지해보자.(p.164~165)

제로 웨이스트를 지향하면 반드시 따라올 수밖에 없는 고민거리다. '어차피 쓰레기가 어마어마하게 나올 텐데 굳이 내가 이렇게 살아야 하나?'라는 회의감이 문득 들 때도 있다. 포장되지 않은 제품을 찾을 수 없거나, 됐다고 미리 말했는데도 음료에 빨대가 꽂혀 나오면 특히 이런 생각이 든다. 그럴 때마다 나는 일상에서 내가 실천한 긍정적인 변화를 되새기고, 제로 웨이스트를 알고 노력하기 전에 내가 쓰레기를 얼마나 많이 버렸었는지 다시 한번 떠올린다.

친구나 가족과 대화를 하면서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난처한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친구가 새 블라우스나 신발을 샀다고 하면 겉으로는 칭찬을 하면서도 마음속으로 '플라스틱인 폴리에스터로 만들어져서 생분해가 안 되겠네. 만드는 사람은 해로운 독성 화학 성분에 노출된 환경에서 블라우스는 만들었겠지. 화학 성분은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그 지역 하수관과 환경도 오염시켰을 거야. 세탁할 때 떨어져 나올 미세섬유는 생각하고 싶지도 않고'라고 생각하게 된다. 서로 다른 관점 사이에서 균형을 찾기는 쉽지 않다. 사람들에게 싫은 소리를 하고 싶어 입어 근질근질해도 무작정 화를 내거나 가르치려고 하지는 말자. 상대방의 기분만 상하게 할 뿐이다. 대신 스스로 좋은 본보기가 되자.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운영되는 브랜드의 옷이나 중고 옷을 멋지게 소화해서 '윗도리가 참 예쁘다. 어디에서 샀어?'라는 칭찬을 들을 수 있으면 좋다. 제로 웨이스트에 관심을 보이는 사람이 있으면 성심성의껏 설명해준다. 단, 일장연설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제로 웨이스트 원칙을 지키다 보면 완벽주의로 빠지기 쉽다. 좌절하거나 고민이 될 때도 있겠지만 긍정적인 변화에 집중하고 매순간 최선을 다하면 된다. 꼭 완벽해야지만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p.149~151)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후즈음 2021-10-08 2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회식을 못해서 가끔 포장 주문을 하고 다 먹고 난후 버릴때마다 정말 죄의식을 가져요. 쓰레기가 너무 많이 나와서 괴롭더라고요. 그때 난감한 표정을 지으면 주변에서 불편한 모습을 하니 뭐라 말하기도 힘들더라고요.